$\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한국 성인에서 수면시간과 영구치 우식증 및 치주질환과의 관련성: 2013~2014 국민건강영양조사
Association between Sleep Duration, Dental Caries, and Periodontitis in Korean Adults: The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2013~2014 원문보기

치위생과학회지 = Journal of dental hygiene science, v.17 no.1, 2017년, pp.38 - 45  

이다현 (충청대학교 치위생과) ,  이영훈 (원광대학교 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 및 원광의과학연구소)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수면시간에 따른 치아우식증치주질환의 관련성을 평가하였다. 2013~2014년 국민건강영양조사의 원시자료를 이용하였으며, 최종 8,356명을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수면시간에 따른 치아우식증 유병률은 U자형 곡선 모양이었으며, 수면시간에 따라 치아우식증은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20). 특히, 수면시간 7시간 그룹의 치아우식증 유병률이 28.4%로 가장 낮은 반면, 수면시간 5시간 이하 그룹의 유병률은 33.4%, 수면시간 9시간 이상 그룹의 유병률은 31.8%로 높았다. 모형 1과 모형 2 및 모든 변수를 보정한 모형 3로지스틱 회귀분석 결과, 수면시간 7시간 기준으로 수면시간 5시간 이하의 OR이 유의하게 높았다(모형 3: OR, 1.23; 95% CI, 1.06~1.43). 한편, 수면시간에 따른 치주질환 유병률은 U자형 곡선 모양이었으며, 수면시간에 따라 치주질환은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01). 수면시간 7시간 그룹의 치주질환 유병률이 28.1%로 가장 낮은 반면, 수면시간 5시간 이하 그룹의 유병률은 34.4%, 수면시간 9시간 이상 그룹의 유병률은 32.5%로 높았다. 로지스틱 회귀 분석 결과, 수면시간 7시간을 기준으로 수면시간 9시간 이상의 OR이 모형 1 (OR, 1.25; 95% CI, 1.00~1.56)과 모형 2 (OR, 1.27; 95% CI, 1.01~1.59)에서 유의하게 높았지만, 모든 변수를 보정한 모형 3에서는 수면시간과 치주질환의 관련성은 더 이상 유의하지 않았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통해서 수면시간이 치아우식증 및 치주질환과 유의한 관련이 있음을 확인하였으며, 치아우식증과 치주질환의 위험을 줄이기 위해 적정시간의 수면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We evaluated the association between sleep duration, dental caries, and periodontitis by using representative nationwide data. We examined 8,356 subjects aged ${\geq}19$ years who participated in the sixth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2013~2014). Sleep duration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국민건강영양조사의 원시 자료를 이용하여 수면시간과 치아(영구치)우식증 및 치주질환의 관련성 알아보고자 하였다. 그 결과, 수면시간에 따른 치아우식증 및 치주질환의 유병률은 모두 U자형 곡선 모양으로 나타났으며, 치아우식증 발생 위험은 수면시간 7시간과 비교해서 수면시간 5시간 이하에서 유의하게 높았다.
  • 이상의 연구 결과를 통해서 수면시간이 치아우식증 및 치주질환과 유의한 관련이 있음을 확인하였으며, 치아우식증과 치주질환의 위험을 줄이기 위해 적정시간의 수면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본 연구는 대표성과 신뢰성을 갖춘 국민건강영양조사자료를 이용하여 수면시간과 영구치 치아우식증 및 치주질환과의 관련성을 알아보고자 하였으며, 특히 치아우식증과 수면시간과의 관련성은 국내 연구 중 처음 시도된 연구로 의의가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본 연구는 단면연구이기 때문에 두 요인의 관련성을 인과관계로 해석하는 것은 힘들고 수면의 질이 반영되지 않았으므로, 향후 수면의 질 및 시간과 구강질환의 인과관계를 증명하기 위한 전향적 연구가 필요하겠다.
  • 본 연구는 수면시간에 따른 치아우식증과 치주질환의 관련성을 평가하였다. 2013∼2014년 국민건강영양조사의 원시자료를 이용하였으며, 최종 8,356명을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 이와 같이 그동안 국내에서 치주질환의 발생요인에 관한 연구는 비교적 활발히 진행되었지만, 수면시간과 치주질환과의 관련성을 평가한 연구는 드물었고, 치아우식증과 수면시간과의 관련성에 대한 연구는 없었다. 이에 본 연구는 우리나라를 대표하는 국민건강영양조사자료(2013∼2014년)를 이용하여 성인에서 수면시간과 치아우식증 및 치주질환과의 관련성을 평가하여 향후 구강건강 관련 생활양식 측정도구 개발에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수면이 인간에게 미치는 영향은 무엇인가? 수면은 인생의 삼 분의 일 혹은 사 분의 일을 차지하는 삶의 또 다른 중요한 과정으로, 일반적으로 의미 없는 외부 자극에 대하여 반응하지 않는 행동적이고 생리적인 상태이다1). 인간에게 있어 수면은 정신적, 생리적 항상성을 유지하는 데 필수적인 요소이며 건강과 사회생활 및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친다. 충분한 수면으로 건강과 안위를 증진시키기도 하지만, 수면 부족은 졸음, 피로, 초조, 긴장, 집중력 감소 등을 초래하여 주간의 신체기능에 영향을 미치며2), 인체의 면역반응에 영향을 미치므로 양질의 적정시간 수면은 건강증진 및 유지의 필수요건이다3).
치주질환의 예방 및 치료를 위해 다양한 위험요인이 함께 고려되어야 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최근 유병률이 증가하고 있는 치주질환은 치면세균막과 이에 대한 숙주의 반응에 의해 치주조직이 파괴되어 결과적으로는 치아 상실을 유발하는 만성 염증성 질환으로, 성인 치아 상실의 주된 원인으로 대두되고 있다8). 최근에는 치주질환이 단순한 치과 질환에서 벗어나 심장질환, 뇌졸중, 호흡기 질환, 당뇨병, 조산, 임신자간증 등과의 유의한 연관성이 보고되고 있다9). 치주질환을 야기하는 위험요인에는 세균뿐만 아니라 연령, 사회·경제적 요인, 심리적 요인, 유전, 구강관리 습관, 흡연, 전신질환 등이 있으며8), 이러한 위험요인들이 인체의 면역반응에 영향을 미쳐서 결과적으로 치주질환을 발생시킨다10). 따라서 치주질환의 예방 및 치료를 위해서는 세균 요인뿐만 아니라 다양한 위험요인을 함께 고려해야 한다11).
수면이란? 수면은 인생의 삼 분의 일 혹은 사 분의 일을 차지하는 삶의 또 다른 중요한 과정으로, 일반적으로 의미 없는 외부 자극에 대하여 반응하지 않는 행동적이고 생리적인 상태이다1). 인간에게 있어 수면은 정신적, 생리적 항상성을 유지하는 데 필수적인 요소이며 건강과 사회생활 및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9)

  1. Carskadon MA, Dement WC: Normal human sleep: an overview. In: Kryger MH, Roth T, Dement WC, eds. Principles and practice of sleep medicine. 3rd ed. W.B. Saunders Co., Philadelphia, pp.15-25, 2000. 

  2. Liu X, Uchiyama M, Kim K, et al.: Sleep loss and daytime sleepiness in the general adult population of Japan. Psychiatry Res 93: 1-11, 2000. 

  3. Hong SH, Kim SY: Effects of sleep promoting program on sleep and immune response in elderly. Korean J Adult Nurs 21: 167-178, 2009. 

  4. Seo SG, Kim SW: Effects on health by sleeping habits from few local university students. J Korean Soc Sch Health Educ 8: 61-77, 2007. 

  5. Grover V, Malhotra R, Kaur H: Exploring association between sleep deprivation and chronic periodontitis: a pilot study. J Indian Soc Periodontol 19: 304-307, 2015. 

  6. Health Insurance Review and Assessment Service. Retrieved August 2, 2016, from http://opendata.hira.or.kr/op/opc/olapHifrqSickInfo.do(2016, April 12). 

  7. Horowitz HS: Research issues in early childhood caries. Community Dent Oral Epidemiol 26(1 Suppl): 67-81, 1998. 

  8. Burt B; Research, Science and Therapy Committee of the American Academy of Periodontology: Position paper: epidemiology of periodontal diseases. J Periodontol 76: 1406-1419, 2005. 

  9. Han GS, Bae GH, Lee MJ, Choi JS: Evaluation of periodontal status according to sociodemographic and health behavior characteristics. J Dent Hyg Sci 8: 395-401, 2008. 

  10. Sheiham A, Nicolau B: Evaluation of social and psychological factors in periodontal disease. Periodontol 2000 39: 118-131, 2005. 

  11. Petersen PE, Ogawa H: Strengthening the prevention of periodontal disease: the WHO approach. J Periodontol 76: 2187-2193, 2005. 

  12. Rethman J: Trends in preventive care: caries risk assessment and indications for sealants. J Am Dent Assoc 131 Suppl: 8S-12S, 2000. 

  13. Hong MH: Risk factors for the prevalence of periodontal diseases among adult workers. J Korea Acad-Ind Cooper Soc 15: 3706-3713, 2014. 

  14. Lee WJ: Effects of sleep habit on the level of streptococcus mutans in college students. J Korean Acad Dent Hyg 15: 115-126, 2013. 

  15.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orea Health Statistics 2014. Retrieved August 2, 2016, from https://knhanes.cdc.go.kr/knhanes/index.do(2015, December 23). 

  16. Woo DH, You HY, Kim MJ, Kim HN, Kim JB, Jeong SH: Risk indicators of periodontal disease in Korean adults. J Korean Acad Oral Health 37: 95-102, 2013. 

  17. Shin DK, Jeong SH, Park JH, Choi YH, Song KB: A study of oral health status and it’s related factors among disabled people in Korea. J Korean Acad Oral Health 31: 248-262, 2007. 

  18. Lee SJ, Hong YM, Back JH, Nam YS: The relationship between metabolic syndrome and periodontal disease except patients with hypertension and type 2 diabetes mellitus in Korea. J Korean Acad Oral Health 33: 451-460, 2009. 

  19. Baek HJ, Choi YH, Lee SG, Song KB, Kwon HJ: The association of metabolic syndrome and periodontitis in Korean adult population. J Korean Acad Oral Health 34: 338-345, 2010. 

  20. Kim JW, Kwon HJ, Lee SG, Choi YH: The relationship between periodontal disease and the prevalence of cardiovascular diseases. J Korean Acad Oral Health 31: 387-395, 2007. 

  21. Han DH, Kim JB: The association between smoking and periodontitis: findings from the Korean national oral health survey 2006. J Korean Acad Oral Health 33: 634-643, 2009. 

  22. Harris R, Nicoll AD, Adair PM, Pine CM: Risk factors for dental caries in young children: a systematic review of the literature. Community Dent Health 21(1 Suppl): 71-85, 2004. 

  23. Kim JY, Kim YS, Lee HJ, Hong JS, Chang KW: Factors influencing oral discomfort in elderly people. J Korean Acad Oral Health 40: 49-54, 2016. 

  24. Roth T, Roehrs TA: Etiologies and sequelae of excessive daytime sleepiness. Clin Ther 18: 562-576, 1996. 

  25. Hong JP: Halitosis and oral disease. J Korean Dent Assoc 36: 29-31, 1998. 

  26. Friedlander AH, Mahler ME: Major depressive disorder. Psychopathology, medical management and dental implications. J Am Dent Assoc 132: 629-638, 2001. 

  27. Son KK, Park JH, Shon SM, Kim JS, Lee JH, Cho YW: The Prevalences of anxiety and depressive disorders in patients of pediatric sleep disorders. J Korean Child Neurol Soc 17: 200-208, 2009. 

  28. Roberts RE, Lewinsohn PM, Seeley JR: Symptoms of DSM-III-R major depression in adolescence: evidence from an epidemiological survey. J Am Acad Child Adolesc Psychiatry 34: 1608-1617, 1995. 

  29. Ford DE, Kamerow DB: Epidemiologic study of sleep disturbances and psychiatric disorders. An opportunity for prevention? JAMA 262: 1479-1484, 1989. 

  30. Lustberg L, Reynolds CF: Depression and insomnia: questions of cause and effect. Sleep Med Rev 4: 253-262, 2000. 

  31. Knutson KL, Van Cauter E: Associations between sleep loss and increased risk of obesity and diabetes. Ann N Y Acad Sci 1129: 287-304, 2008. 

  32. Nedeltcheva AV, Kessler L, Imperial J, Penev PD: Exposure to recurrent sleep restriction in the setting of high caloric intake and physical inactivity results in increased insulin resistance and reduced glucose tolerance. J Clin Endocrinol Metab 94: 3242-3250, 2009. 

  33. Spiegel K, Tasali E, Penev P, Van Cauter E: Brief communication: sleep curtailment in healthy young men is associated with decreased leptin levels, elevated ghrelin levels, and increased hunger and appetite. Ann Intern Med 141: 846-850, 2004. 

  34. Nedeltcheva AV, Kilkus JM, Imperial J, Kasza K, Schoeller DA, Penev PD: Sleep curtailment is accompanied by increased intake of calories from snacks. Am J Clin Nutr 89: 126-133, 2009. 

  35. Pihlstrom BL, Michalowicz BS, Johnson NW: Periodontal diseases. Lancet 366: 1809-1820, 2005. 

  36. Won JH, Ha MN: An association of periodontitis and diabetes. J Dent Hyg Sci 14: 107-113, 2014. 

  37. Kim J, Ahn E: Association of periodontal status with health lifestyle in adults. J Dent Hyg Sci 15: 83-89, 2015. 

  38. Wiener RC: Relationship of routine inadequate sleep duration and periodontitis in a nationally representative sample. Sleep Disord 2016: 9158195, 2016. 

  39. Eun KS, Cha SE: Gender differentials and covariates of sleep time in daily life of Korea. Statistics Res 15: 82-103, 201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