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표면반응분석법을 활용한 뼈 연화 및 비린내 저감화 고등어(Scomber japonicus) 가공품의 가공공정 최적화
Optimization of the Bone-softening and Fishy Odor-reducing Processing of Mackerel Scomber japonicus Products using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원문보기

한국수산과학회지 = Korean journal of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 v.51 no.5, 2018년, pp.499 - 509  

박선영 (경상대학교 해양식품생명의학과) ,  김용중 (부산지방식품의약품안전청 유해물질분석과) ,  강상인 (경상대학교 해양식품생명의학과) ,  이정석 (경상대학교 수산식품산업화 기술지원센터) ,  김진수 (경상대학교 해양식품생명의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optimized the bone-softening and fishy odor-reducing process for mackerel Scomber japonicus products using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RSM). The RSM showed that the optimum concentrations of doenjang and citric acid for reducing the fishy odor in bone-softened mackerel were 11.8% and 0....

주제어

표/그림 (16)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고품질 뼈 연화 및 비린내 저감화한 고등어 가공품의 개발을 위하여 최종 제품의 뼈 연화는 물론이고 비린내 저감화 및 어피 탈락 방지 가공공정의 최적화를 시도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고등어는 어떤 어종인가? 고등어는 대표적인 적색육 어류로 우리나라 연근해에도 다량 서식하거나 회유(Kim et al., 2007)하여 일시에 다량으로 어획[최근 10년(2008-2017년)간 국내 어획량이 95-188천M/T] (KOSIS, 2018)되어 다소비 되는 대표적인 어종(Kim, 2017)이다. 이와 같은 고등어는 곡류 제한 아미노산으로 알려져 있는 lysine과 threonine이 풍부하고(Leu et al.
고등어 수산가공품의 고급 소재화를 위한 잔가시, 비린내, 고염 등의 문제를 해결하게된 배경은? 한편, 최근 국내 식품소비자들은 사회적 경제적 변화에 의하여 1인 가구와 맞벌이 부부 등과 같은 1, 2인 가구의 대거 증가 등으로 인하여 조리가 간편하면서 시간이 짧은 가정간편식(HMR, home meal replacement)의 수요가 나날이 급증하고 있다(aT FIS, 2015). 그리고, 최근 국내외 소비자들의 수산물에 대한 소비 트랜드는 잔가시와 비린내에 대한 개선과 저염화, 건강지향, 안전성 및 조리의 간편화 및 고급화를 들 수 있다. 이러한 일면에서 고등어는 수산가공품의 고급 소재로 이용되기 위하여 잔가시, 비린내, 고염 등의 문제를 해결하여야 할 것이다.
고등어에 들어있는 성분은 무엇이있는가? , 2007)하여 일시에 다량으로 어획[최근 10년(2008-2017년)간 국내 어획량이 95-188천M/T] (KOSIS, 2018)되어 다소비 되는 대표적인 어종(Kim, 2017)이다. 이와 같은 고등어는 곡류 제한 아미노산으로 알려져 있는 lysine과 threonine이 풍부하고(Leu et al., 1981), 혈소판 응집 억제작용, 노인성 치매 예방, 학습기능의 향상, 항암 및 항알러지(anti-allergy) 작용 등의 기능을 가진 eicosapentaenoic acid(EPA) 및 docosahexaenoic acid (DHA)와 같은 n-3계 고도불포화지방산의 조성비가 높을 뿐만이 아니라, 삼투압 조절에 의한 고혈압 예방(Thurston et al., 1980), 간기능 향상(Gaull et al., 1983), 근육의 수축 개선(Sebring and Huxtable, 1985) 등의 효과가 있는 타우린(taurine) 함량이 높으면서, 미오글로빈(myglobin)이나 혈액색소인 헤모글로빈(hemoglobin) 등과 같은 헴(heme)을 가지고 있는 색소 단백질(Park et al., 1995) 함량이 높아 영양 생리적인 측면에서 상당히 의미가 있는 수산가공 원료 중의 하나이다(Simopoulou, 1991). 하지만, 고등어는 조기와 같은 백색육 어류에 비하여 지질을 다량 함유하고 있어 어획 후 저장, 가공 및 유통 중 산화와 기타 다른 요인으로 인하여 비린내가 많이 나고, 잔가시가 많으며, 빠른 선도 저하로 인하여 고염 처리를 많이 하고 있다(Park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8)

  1. Agustinelli SP and Yeannes MI. 2015. Sensorial characterization and consumer preference analysis of smoked mackerel (Scomber japonicus) fillets. IFRJ 22, 2010-2017. http://dx.doi.org/10.1111/ijfs.13338. 

  2. aT FIS. 2015. 2015 Processing food classification market status (Ready-to-Eat Foods). Retrieved from https://www.atfis.or.kr/article/M001050000/view.do?articleId2736 on Feb 8, 2017. 

  3. Chang CL, Ding Z, Patchigolla VN, Zuaue B and Savran CA. 2010. Diffractometric biochemical sensing with smart hydrogels. IEEE SENSORS Conference publications, Waikoloa, Hawaill, U.S.A., 1617-1621. http://dx.doi.org/10.1109/ICSENS.2010.5690402. 

  4. Gaull GE, Wright CE and Tallan HH. 1983. Taurine in human lymphoblastoid cell: uptake and role in proliferation. Prog Clin Biol Res 125, 297-303 

  5. Ishikawa M, Mori SJ, Watanabe HSK and Sakai Y. 1987. Softening of fish bone I. Relation between softening rate and solubilization rate of organic matter from fish bone. J Food Proeess Preserv 11, 277-287. https://doi.org/10.1111/j.1745-4549.1989.tb00095.x. 

  6. Ishikawa M, Mori SJ, Watanabe HSK and Sakai Y. 1989. Softening of fish bone. II. Effect of acetic acid on softening rate and solubilization rate of organic matter from fish bone. J Food Proeess Preserv 13, 123-132. https://doi.org/10.1111/j.1745-4549.1989.tb00095.x. 

  7. Jung TK, Kim BS and Kim MH. 2014. The optimization and quality characteristics of mackerel soybean paste marinadesauce prepared using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J Food service Management 17, 247-272. 

  8. Kapute F, Likonwe J and Kang'ombe J. 2012. Quality assessment of fresh lake Malwi tilapia (Chambo) collected from selected local and super markets in Malawi. J Food Safety 14, 113-121. 

  9. Kim JS, Heu MS, Kim HS and Ha JH. 2007. Fundamentals and applications of seafood processing. Hyoil Publishing Co., Seoul, Korea, 19-23. 

  10. Kim GW, Kim HK, Kim JS, An HY, Hu GW, Son JK, Kim OS and Cho SY. 2008. Characterizing the quality of salted mackerel prepared with deep seawater. Korean J Fish Aquat Sci 41, 163-169. 

  11. Kim KBWR, Jung DH, Park SH, Kang BK, Pak WM, Kang JE, Park HM and Ahn DH. 2013. Quality properties and processing optimization of mackerel (Scomber japonicus) sausage. Korean J Food Nutr 42, 1656-1663. http://dx.doi.org/10.3746/jkfn.2013.42.10.1656. 

  12. Kim MJ. 2017. Monitoring and risk assessments of biogenic amine in mainly consumed seafoods. MS. Thesis,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Tongyeong, Korea. 

  13. KOSIS (Korean Statistical Information Service). 2018. Product statistic. Retrieved from http://kosis.kr/statisticsList/statisticsListIndex.do?menuIdM_01_01&vwcdMT_ZTITLE&parmTabIdM_01_01 on Mar 20, 2018. 

  14. Leu SS, Jhaveri SN, Karakoltsidis P and Constantinides SN. 1981. Atlantic mackerel (Scomber scombrus, L): seasonal variation in proximate composition and distribution of chemical nutrients. J Food Sci 46, 1635-1638. 

  15. Lee EH. 1990. Studies on the processing of frozen seasoned mackerel meat. Korean J Food Nutr 19, 107-114. 

  16. Lee EH, Kim MC, Kim JS, Ahn CB, Joo DS and Kim SK. 1990. Studies on the processing of frozen seasoned mackerel meat. 1. Processing of frozen seasoned mackerel meat and changes in its taste compounds during storage. Korean J Food Nutr 18, 355-362. 

  17. Luo X, Yang R, Zhao W, Cheng Z and Jiang X. 2010. Gelling properties of Spanish mackerel (Scomberomorus niphonius) surimi as affected by washing process and high pressure. Int J Food Eng 6, 1-16. http://dx.doi.org/10.2202/1556-3758.1913. 

  18. Mao W, Xu X, Xu YS, Jiang QX and Xia WS. 2014. Effects of high-temperature cooking of bighead carp cube on small fishbone softening in the muscles and texture quality. J Ferment Bioeng 46, 22-26. 

  19. MFDS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2018. Food code. Retrieved from http://www.foodsafetykorea.go.kr/foodcode/01_01.jsp on Feb 20 2018. 

  20. Park YH, Chang DS and Kim SB. 1995. Processing and utilization of fisheries. Hyungsueol Publishing Co. Ltd., Seoul, Korea. 

  21. Park JH and Lee KH. 2005. Quality characteristics of beef meat of various places of origin. Korean J Soc Food Cook Sci 21, 528-535. 

  22. Steel RGD and Torrie H. 1980. Principle and Procedures of Statistics. 1st ed. McGraw-Hill Kogakucha, Tokyo, Japan. 

  23. Sebring LA and Huxtable RJ. 1985. Taurine modulation of calcium binding to cardiac sarcolemma. J Pharmacol Exp Ther 232, 445-451. 

  24. Shimosaka C, Shimomura M and Terai M. 1987. Change in the physical properties and composition of fish bone during cooking by heating under normal pressure. J Home Economics Japan 47, 1213-1218. 

  25. Simopoulou AP. 1991. Omega-3 fatty acids in health and disease and in growth and development. Am J Clim Nutr 54, 438-463. 

  26. Thurston JH, Hauhart RE and Dirgo JA. 1980. Taurine, a role in osmotic regulation of mammalian brain and possible clinical significance. Life Sci 26, 1561-1568. https://dx.doi.org/10.1016/0024-3205(80)90358-6. 

  27. Yu GY and Cho IH. 2016. Comparison on physico-chemical and affective properties in mackerel cooked by electric pan and under superheated steam. Korean J Food Cook Sci 32, 204-210. http://dx.doi.org/10.9724/kfcs.2016.32.2.204. 

  28. Zhou P and Regenstein JM. 2004. Optimization of extraction conditions for pollock skin gelatin. J Food Sci 69, 393-398. https://doi.org/10.1111/j.1365-2621.2004.tb10704.x.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