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제황상유인첩(題黃裳幽人帖)」에 나타난 다산(茶山)의 정원상(庭園想)
Dasan's Conceptual Thoughts on the Garden in 「Jaehwangsangyuincheop」 원문보기

한국조경학회지 =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v.46 no.5, 2018년, pp.22 - 35  

정수진 (서울대학교 대학원 협동과정)

초록

본 연구는 다산 정약용의 의원기(意園記)라 할 수 있는 "제황상유인첩"의 제작 경위와 글에 나타난 주거지의 입지 및 정원 조영의 특성을 분석하여 다산이 추구한 이상적 정원에 대한 생각을 이해하고자 했다. 본 논문은 "제황상유인첩"이 이상적 주거향의 설계도로 기능했을 것으로 가정하였다. 주요 연구 대상은 "제황상유인첩"에 서술된 외부 경관이며, 관련 저작의 분석을 통해 정원 요소와 공간 조영을 수묵화로 시각화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제황상유인첩"은 다산이 강진에서 유배하던 1805년(순조 5) 겨울 보은산방에서 은자의 거처에 대해 물어오던 애제자 황상의 질문에 답하여 써준 글이다. 황상은 이를 참고하여 이후 강진 대구면 천개산 아래 일속산방을 조성하였다. 둘째, "제황상유인첩" 속 주거지는 배산임수의 입지를 취하였고 생활과 여가를 겸하는 곳으로 사용되었다. 이곳은 은둔하고 있는 선비의 이상적 주거지였다. 셋째, "제황상유인첩"에 나타난 정원의 특성은 주거지 입지에 있어서의 자연지리의 운용, 다양한 식물재료의 실용적 이용, 정원의 물리적 경계 확장, 정원 요소 향유에 있어서 공감각적 미학 추구, 확장된 정원에서의 적극적 풍류체험으로 살펴볼 수 있었다. "제황상유인첩"은 유배 이후 다산이 원했던 은일하는 선비의 아취 있는 삶의 모습을 담았다. 이는 일속산방으로 구현되었다. "제황상유인첩"은 다산의 정원상이 충실하게 반영된 실현가능한 주거의 이상향으로 해석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idea of the ideal garden, pursued by Dasan, by analyzing the production process of his writing and the location of his dwelling,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garden in the writings of Dasan (茶山) Jeong Yag-Yong (丁若鏞)'...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의원기가 무엇인가요? 이러한 성과물 중에 선비의 이상적인 원림생활을 꿈꾸었던 제황상유인첩(題黃裳幽人帖) 이라는 의원기(意園記) 한 편이 있다. 의원기란 의원(意園)을 다룬 글을 일컫는다. 의원이란 여러 현실 요인으로 인해 현실 세계가 아닌 가상의 세계에 조성한 상상의 정원을 일컫는다.
정원 요소에 들어가는 식물의 종류는 어떻게 되나요? 정원 요소는 다음과 같다. 식물의 경우 화훼류는 석류, 치자, 백목련, 국화 48종, 매괴 수 천 그루, 연, 마름, 가시연 등으로 총 8종 이상이다. 수목류는 무성한 숲(茂林), 대나무, 소나무 몇 그루로 총 3종 이상이다.
제황상유인첩의 입지에 영향을 받게 되는 공간 구성은 어떻게 되는가? 입지에 영향을 받게 되는 공간 구성은 다음과 같다. 건물은 대지 중앙에 본채로 쓰이는 초가집 1채, 본채 동북쪽에 초각 1채, 본채 북쪽에 잠실 1채로 총 3채로 구성된다. 초각은 대나무로 난간을 두른다. 사립문은 뜰 동쪽에 1개, 본채와 잠실 사이에 1개로 총 2개 만들어 위요경관을 형성하였다. 수경시설은 규모가 작은 연못은 주거지 내 뜰 서쪽10)에 마련하고 대규모의방죽은 주거지 외부 남쪽에 위치한다. 남새밭은 본채 남쪽에 채포 1개, 북쪽에 약포 1개로 총 2개가 위치한다. 본채 남동쪽에 전답을 마련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3)

  1. Ahn, D. H.(2001) The imaginary garden. Literature and Interpretation 16: 17-30. 

  2. Ahn, D. H.(2004) The housing culture in the 18, 19th century and the imaginary garden. Chintanhakbo 97: 111-138. 

  3. Go, Y. H.(2001) A consideration of the poems on flower and interest in floriculture of Jeong Yak-Yong. The Eastern Classic Studies 7: 39-57. 

  4. Gwangju National Museum(2008) Heo Ryeon, the master of southern school painting: The special exhibition commemorating the 200th anniversary of Heo Ryeon's birth. Gwangju: Gwangju National Museum. pp. 244. 

  5. Hong, H. S. and W. H. Lee(2006a) Landscape approach to poetry Hanghae Hong Giljoo's Sooksoonyum(孰遂念).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 24(3): 67-78. 

  6. Hong, H. S. and W. H. Lee(2006b) A study on the ideal place of her Kyun's literature.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 24(4): 111-120. 

  7. Huang, Z. X.(1833) Jangchwiwongi(將就園記). In C. Zhang, compile, M. D. Xin, eds., Sodaechongseo(昭代叢書) Gap-jip(甲集) 23. Qing(淸): Shikaitang(世楷堂). 

  8. Hwang, S.(2008) Chiwonyugo(?園遺稿). In Academy of East Asian Studies and Daedong Institute for Korean Studies eds., Dasanhakdan Munheonjipseung 5(茶山學團 文獻集成 5). Seoul: Sungkyunkwan University Press. 

  9. Jeong, Y. Y.(1934-1938) Simun-jip(詩文集). In S. J. Kim, eds., I. B. Jeong, and J. H. An, revise, Yeoyudang-jeonseo 1-11(與猶堂全書1-11). Seoul(Gyeong-seong): Sinjoseonsa. 

  10. Jeong, Y. Y.(1996a) Yeoyudang-jeonseo Simun-jip 3(與猶堂全書 詩文集 3). In H. Y. Yang, trans., Minjokmunhwachujinhoe eds., (Gukyeok)Dasan Simun-jip 2(國譯 茶山 詩文集 2). Seoul: SolBook. 

  11. Jeong, Y. Y.(1996b) Yeoyudang-jeonseo Simun-jip 4(與猶堂全書 詩文集 4). In H. Y. Yang, trans., Minjokmunhwachujinhoe eds., (Gukyeok) Dasan Simun-jip 2(國譯 茶山 詩文集 2). Seoul: SolBook. 

  12. Jeong, Y. Y.(1996c) Yeoyudang-jeonseo Simun-jip 5(與猶堂全書 詩文集 5). In H. Y. Yang, trans., Minjokmunhwachujinhoe eds., (Gukyeok) Dasan Simun-jip 2(國譯 茶山 詩文集 2). Seoul: SolBook. 

  13. Jeong, Y. Y.(1996d) Yeoyudang-jeonseo Simun-jip 13(與猶堂全書 詩文集 13). In J. S. Lee, and D. R. Kim, trans., Minjokmunhwachujinhoe eds., (Gukyeok)Dasan Simun-jip 6(國譯 茶山 詩文集 6). Seoul: SolBook. 

  14. Jeong, Y. Y.(1996e) Yeoyudang-jeonseo Simun-jip 14(與猶堂全書 詩文集 14). In D. R. Kim, and J. H. Jang, trans., Minjokmunhwachujinhoe eds., (Gukyeok)Dasan Simun-jip 6(國譯 茶山 詩文集 6). Seoul: SolBook. 

  15. Jeong, Y. Y.(1996f) Yeoyudang-jeonseo Simun-jip 16(與猶堂全書 詩文集 16). In J. S. Lee, trans., Minjokmunhwachujinhoe eds., (Gukyeok) Dasan Simun-jip 7(國譯 茶山 詩文集 7). Seoul: SolBook. 

  16. Jeong, Y. Y.(1996g) Yeoyudang-jeonseo Simun-jip 21(與猶堂全書 詩文集 21). In B. H. Seong, trans., Minjokmunhwachujinhoe eds., (Gukyeok)Dasan Simun-jip 9(國譯 茶山 詩文集 9). Seoul: SolBook. 

  17. Jung, M.(2003) Meeting that changed their lives. Literature and Interpretation 25: 9-18. 

  18. Jung, M.(2006) Dasan and Hwang Sang. Literature and Interpretation 36: 11-26. 

  19. Jung, M.(2008) Contents and material value of letters tasan sent to his pupil Hwang Sang. Journal of Tasan Studies 13: 307-351. 

  20. Jung, M.(2010) Hwang Sang's management of Ilsoksanbang and life in mountain. The Journal of Tasan and the Contemporary Times 3: 231-268. 

  21. Jung, M.(2014) Jeungeoncheop and Baekjeoksanjangdo which given by Dasan to Hwang Sang. Literature and Interpretation 68: 217-236. 

  22. Kang, H. S.(2003) How to enjoy the chrysanthemum. Literature and Interpretation 25: 35-52. 

  23. Keum, J. T.(2012) (A Practical Theorist)Cheong Yagyong (2nd ed.). Paju: Eeclio. 

  24. Kim, S. Y.(2002) Sochi Heo Ryeon. Seoul: Hakyounmunhwasa. pp. 46-58. 

  25. Lee, C. H.(2006) Review and its meaning of Hwang, Sang, A successor of Dasan poetics: Centered upon analysis of preface of Choosah Sancheon. Daedong Institute of Korean Studies 53: 229-253. 

  26. Lee, E. H.(1963) Consideration on the Dasingyejeolmok left in Gangjin, Jeonnam. The Journal of Honam Area Studies 1: 31-38. 

  27. Lee, W. H., D. H. Kim, and J. H. Choi(2014) Wonrim-enjoying culture of the Gyeonghwasejok in the late Joseon dynasty as described in Euiwongis.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 International Edition 12(0): 32-44. 

  28. Lim, H. T.(1998) Educational activity and the result of Jeong Yak-Yong's exile period in Gangjin. Journal of Korean Literature in Hanmun 21: 113-150. 

  29. Park, C. S.(2010a) Chiwon Hwang Sang's Association with Chusa School. The Journal of Tasan and the Contemporary Times 3: 213-229. 

  30. Park, D. C.(2010b) The friendship of Chiwon Hwang Sang and Seon Master Cho-ui. The Journal of Tasan and the Contemporary Times 3: 269-289. 

  31. Park, H. S. and J. S. Cho(1997) Chung Yakyong's view of nature and the meanings of his garden, Tasanchodangwon.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25(3): 131-142. 

  32. Park, K. J.(2002) Study on the landscape architecture of Dasan Jongyakyong's Dasancheodyang(茶山 丁若鏞의 茶山草堂 조경 연구). THe Study of The Eastern Classic 17: 161-174. 

  33. Rho, J. H., S. S. Shin and Y. J. Park(2008) The prototype scenery research of Dasanchodang represented in Dasando(茶山圖).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 26(2): 31-41. 

  34. Rim, S. P. eds.(1997) (Gukyeok)Dasan Simun-jip 10 Indes(國譯 茶山 詩文集 10 索引). Seoul: SolBook. 

  35. Yoon, C. S.(1975) The measuring units of scale in Korean Architecture. Review of Architecture and Building Science 19(2): 2-10. 

  36. Seoul Arts Center Seoul Calligraphy Art Museum(2008) Sochi Huh Ryun 200th Anniversary Exhibition. http://www.sac.or.kr/program/schedule/view.jsp?seq13571&s_date20081227 (accessed Feb, 10, 2017). 

  37. Sim, K. H.(2000) The Sense of Returning Home Contained in Jeong Yak-yong's Miwoneunsaga(丁若鏞의 薇源隱士歌에 담긴 歸田園 意識). In The Understanding of Korean Poetry(한국 한시의 이해). Seoul: Thaehaksa. pp. 489-505. 

  38. Korean Classics Comprehensive DB. http://db.itkc.or.kr (accessed Feb, 10, 2017). 

  39. Korean History Information Integration System. http://www.koreanhistory.or.kr (accessed Feb, 4, 2017). 

  40. NAVER Hanja Dictionary https://hanja.dict.naver.com (accessed Sep, 01, 2018). 

  41. NAVER Unit Conversion https://search.naver.com/search.naver?wherenexearch&smtop_hty&fbm1&ieutf8&query%E9%87%8C (accessed Sep, 01, 2018). 

  42. NAVER Knowledge Encyclopedia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1140312&cid40942&categoryId33544 (accessed Sep, 01, 2018). 

  43. NAVER Knowledge Encyclopedia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2627758&cid51893&categoryId53810 (accessed Feb, 08, 2017).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