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제주 국가지질공원 교육·안내 체계 개선방향 연구
Geological Education and Communication Enhancement Study of Jeju National Geopark 원문보기

한국조경학회지 =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v.46 no.5, 2018년, pp.93 - 107  

조선 (서울대학교 대학원 생태조경.지역시스템공학부 생태조경학전공) ,  정욱주 (서울대학교 조경.지역시스템공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관광의 패러다임이 변화하고 지질을 보호하고 보존해야하는 유산으로 인식하기 시작하면서 지오투어리즘과 지질공원의 개념이 등장하였다. 유네스코와 각 국가에서 지정하는 지질공원이 세계적으로 늘고 있다. 본 논문은 제주 지질공원이 지질 교육의 장으로서 기능하기 위한 발전 방향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지질공원의 교육, 안내의 매체와 시설현황을 검토하고, 지질 교육에 필요한 조건이 무엇인지 살펴보았다. 연구 방법은 자료 조사, 현장 답사, 설문 조사, 인터뷰로 이를 통해 지질공원 전반의 교육 및 안내 체계, 물리적 공간 구성과 운영 및 관리 방식의 현황을 검토하였다. 연구 과정은 다음과 같다. 먼저, 자료 조사 자료를 중심으로 유네스코 평가 기준에 맞춰 제주 지질공원의 교육과 안내의 현황을 분석하였다. 둘째, 지질 탐방로, 공간 구성과 배치, 안내와 교육 시설, 안내판의 체계와 디자인의 4가지 항목을 중심으로 지질명소 내에서 이루어지는 교육과 안내 시설과 매체 현황을 분석하고 평가하였다. 셋째, 설문 조사를 통해 지질공원 방문객의 인식과 만족도를 파악하였다. 넷째, 관계자 인터뷰를 통해 제주 지질공원의 잠재력과 한계를 정리하였다. 분석 결과를 종합적으로 고찰하여, 효과적인 지질 교육을 위해서는 지질공원의 탐방 환경, 안내 매체, 운영 관리 제도적 차원에서 보완이 필요하다고 제언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지질공원 개선 방향을 제시하였고, 평가 기준에 따른 관리 및 유지, 탐방환경의 질적 개선, 안내 매체와 시설의 내용 보완, 운영 및 관리 조직과 체계의 4가지 차원에서 발전이 요구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concepts of geotourism and geoparks have emerged due to the paradigm shift in tourism and the increased recognition of geosites and geoheritage as legacies that must be protected and preserved. The number of geoparks designated by UNESCO and national governments is increasing globally. The purpo...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지질공원이란 개념이 생겨난 배경은? 지질공원이라는 개념은 지질 보존, 지오투어리즘 등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면서 생성되었다. 20세기 후반부터 지질을 다양한 지질작용과 생물, 인류의 진화사를 기록하는 유산이며, 회복 불가능한 보존․보호의 대상으로 인식하기 시작하였다(Brocx and Semeniuk, 2007).
제주도가 다양한 화산 생성물을 관찰할 수 있는 지질교육 현장임에도 불구하고 지질과 관련된 활동에 집중하기 힘든 이유는 무엇인가? 제주도 지질명소 대부분은 관광지로 개발되어 성산일출봉, 천지연폭포, 중문 대포 주상절리대는 연간 방문객이 약 300만, 190만, 170만 명인 대형 관광지이다. 이곳을 방문한 대부분의 사람들은 주로 경관을 향유하고 휴양하는 관광 활동을 하고 있어, 지질과 관련된 정보 습득과 지질 보존 필요성의 이해 등의 활동에 집중하기는 어려운 실정이다. 현 상황에서 지질의 교육적 콘텐츠는 여러 관람의 대상이나 아이템 중 하나로서 관광객들에게 인식되고 있으며, 지질경관은 인물사진의 배경으로 소비되고 있다.
지오투어리즘의 정의는? 20세기 후반부터 지질을 다양한 지질작용과 생물, 인류의 진화사를 기록하는 유산이며, 회복 불가능한 보존․보호의 대상으로 인식하기 시작하였다(Brocx and Semeniuk, 2007). 동시에 관광의 패러다임이 지속가능한 관광, 생태 관광 등으로 변화하고(Yoon and Kim, 2015), 지질 경관을 즐기면서 지질의 형성과정을 이해하고 지질 유산의 보존 가치를 느낄 수 있는 관광 활동인 지오투어리즘이 등장하였다(Newsome and Dowling, 2010). 지오투어리즘이 주목받으면서 2001년에 유럽 지질공원 네트워크, 2004년에 유네스코에서 세계지질공원 네트워크 프로그램(Global Geopark Network, GGN)을 통해 지질학적 가치가 있는 곳을 지질공원으로 지정 하는 제도가 형성되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5)

  1. Brocx M. and V. Semeniuk(2007) Geoheritage and geoconservation: History, definition, scope and scale. Journal of the Royal Society of Western Australia 90(2): 53-87. 

  2. Frey, M.-L.(1998) Geologie-Geo-Tourismus-Umweltbildung: Themen und Tatigkeitsbereiche im Spannungsfeld Okonomie und Nachhaltige Entwicklung.Terra Nostra, Schriften der Alfred-Wegener Stiftung, 98/3, 150. 

  3. Hose T. A.(1995) Selling the story of Britain's stone. Environmental Interpretation 10(2): 16-17. 

  4. Jeju Province(2017) 3rd Jeju Island Geopark Management and Operation Plan(2018-2022), Jeju World Natural Heritage Management Division. 

  5. Jeon, Y. M. and J. G. Koh(2017) Research of Mt. Sanbangsan-Yongmeori Coast Geotrail Activation, World Heritage Office, Jeju Special Self-Governing Province. 

  6. Jeon, Y. M., J.-G. Koh, J.-S. Ki and S. J. Lee(2016) A case study on the geotrail revitalization in the Jeju Island Geopark, Journal of the Geological Society of Korea. 52(5): 527-538. 

  7. Jeon, Y. M., S. J. Kang and J. G. Koh(2016) Jeju Island Geopark with Volcano, Institute of World Heritage and Halla Mountain. 

  8. Ju, S. O. and K. S. Woo(2016) National geoparks in Korea: Current status and their implementation. Journal of the Geological Society of Korea 52(5): 587-607. 

  9. Kim, B. H.(2013) Research trends and tasks of geotourism studies in Korea.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Regional Geographers 19(3): 476-493. 

  10. Kim, B. H.(2014) An Activation of Geotourism for the Sustainable Tourism in Jeju Island: A case of Seongsan Ilchulbong Peak Graduate School, Ph.D. Dissertation, Jeju National University. Korea. 

  11. Kim, C. H. and H. Y. Jeong.(2014). A study on the Geopark utilizes as a place of teaching and learning: The case of Gangwon Peace Geopark. Journal of the association of Korean geographers, 3(2), 89-96. 

  12. Kim, J. Y.(2012) A study on experience facility on green growth: A case of Eden Project, U. K. Jorunal of Photo Geography(Sajin Chiri), 22(3): 1-20. 

  13. Kim, T. H. and J.-D. Lim(2016) Research on activation plan of national geoparks through analysis on education programs of national geoparks. Journal of the Geological Society of Korea 52(5): 609-621. 

  14. Koh, J.-G. and Y. M. Jeon(2018) Report Template for UNESCO Globale Geoparks. Jeju Island Geopark. 

  15. Lee, H. J., K. U. Lim and H. S. Jin(2014) An study of activation for the geotourism of Jeju Island global geopark. Jorunal of Photo Geography(Sajin Chiri) 24(2): 53-66. 

  16. Lee, S. J.(2014) A feasibility study regarding the introduction of the national geotrail system in Korea. Korea Environment Institute, Report 2014(0): 636-743. 

  17. Lee, S. J.(2016) A Study on the Revision of National Geoparks Operational Regulations in Relation to UNESCO Global Geoparks. 

  18. Moon, C. K., W. S. Ryu and S. J. Lee(2016) National geoparks system of Korea. Journal of the Geological Society of Korea 52(5): 575-586. 

  19. Newsome D. and R. K. Dowling(2010) Geotourism: The Tourism of Geology and Landscape, Goodfellow Publishers. 

  20. Yoon, K. H. and N. J. Kim(2015) The role and meaning of geotourism from the perspective of national geoparks appointment. The Journal of Tourism Studies 27(2): 53-82. 

  21. You, G. J.(2016). A study on the status and conservation of the Korea National Geopark. Jorunal of Photo Geography(Sajin Chiri), 26(2): 39-56. 

  22. Global Geopark Network/ http://www.globalgeopark.org 

  23. Jeju Island Global Geopark/ http://geopark.jeju.go.kr 

  24. Korea National Geopark/ http://www.koreageoparks.kr 

  25. UNESCO Global Geoparks/ http://www.unesco.org/new/en/natural-sciences/environment/earth-sciences/unesco-global-geoparks/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