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확대단면에서의 띠철근 배근 방법에 따른 보강 기둥의 중심 축하중 거동 평가
Evaluation of Axial Behavior of Columns Strengthened with Different Transverse Reinforcements in Jacket Section 원문보기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논문집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for Structural Maintenance and Inspection, v.22 no.6, 2018년, pp.81 - 88  

황용하 (경기대학교 일반대학원 건축공학과) ,  양근혁 (경기대학교 건축공학과) ,  심재일 (포엠(주)) ,  최용수 (포엠(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이 연구에서는 실제 단면크기를 갖는 철근 콘크리트 기둥의 내진보강을 위한 단면확대 공법에서 효율적인 띠철근 배근 방법을 평가하였다. 비내진 상세를 갖는 기존 기둥의 단면크기는 $450{\times}450mm$이며, 단면확대 보강기둥의 단면크기는 $750{\times}750mm$이다. 확대 단면에서의 폐쇄형 외부 띠철근 배근을 위해 ㄷ-형 띠철근의 겹칩이음 및 철근 선조립 공법을 제시하였으며, 보조 띠철근으로서 크로스타이 앵커링 시공 및 V-타이를 고려하였다. 실험 결과, 무보강 기둥 및 ㄷ-형 외부 띠철근을 적용한 보강기둥의 압축내력은 ACI 318-14의 공칭내력과 비슷한 수준인 반면 철근 선조립 공법을 적용한 기둥의 압축내력은 ACI 318-14의 공칭내력 대비 1.25배 높았다. 특히 철근 선조립 공법을 적용한 보강 기둥의 압축 연성비는 크기효과에 의한 연성비 저하 가능성에도 불구하고 기존 기둥에 비해 139% 증가하였다. 즉, 제시된 철근 선조립 공법은 단면확대 보강기둥에서 주철근 조기 좌굴방지 및 콘크리트 구속에 효율적인 띠철근 상세로 평가될 수 있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resent study evaluated the effective arrangement approach of transverse reinforcement in the jacket section for seismic strengthening of reinforced concrete columns. To simulate the full-scale columns, the section dimensions were determined as $450{\times}450mm$ for non-seismic exis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 연구에서는 단면확대 보강기둥의 연성향상을 위하여 확대 단면에서 효율적인 띠철근 배근방법을 평가였다. 실제 단면크기를 고려한 단면확대 보강기둥의 압축거동은 비내진 상세를 갖는 기존 기둥 및 탄소섬유 보강 기둥의 거동과 비교 하였다.
  • 이 연구의 목적은 단면확대 보강기둥의 연성향상을 위한 효율적인 띠철근 배근방법의 평가이다. 실제 기둥단면 크기를 고려하기 위하여 기존 비내진 상세를 가는 기둥의 단면크기는 450 × 450 mm로 설정하였으며, 단면확대 후 단면의 크기는 750 × 750 mm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RC 기둥의 자켓팅 보강 (jacketing strengthening)의 구분에 대해 설명하라 최근 수직 증축 리모델링에 대한 규제 완화 및 국내 지진 발생 빈도가 증가함에 따라 보와 슬래브의 수평부재 하중을 지지하는 철근콘크리트 (reinforcement concrete, RC) 기둥의 보강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RC 기둥의 자켓팅 보강 (jacketing strengthening)은 철판 및 탄소섬유시트를 이용한 부착형 공법과 기존기둥에 동일 재료인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일체화 시키는 단면확대 공법으로 구분될 수 있다(Georgia and Iman, 2018). 에폭시 등의 접착제를 이용하는 부착형 공법은 기둥의 연성향상을 위한 방법으로 단면확대 공법에 비해 시공이 비교적 빠르다.
접착제를 이용하는 부착형 공법의 문제점은? 에폭시 등의 접착제를 이용하는 부착형 공법은 기둥의 연성향상을 위한 방법으로 단면확대 공법에 비해 시공이 비교적 빠르다. 하지만 부착형 공법에서 사용되는 에폭시 접착제는 보강재 및 콘크리트와 상이한 열팽창 특성을 갖기 때문에 보강기둥의 대변형 및 장기적인 측면에서 보강재가 탈락할 가능성이 높다(Kim et al., 2008).
단면확대 공법의 장점은? 반면 기존 부재의 단면을 증가시키는 단면확대 공법은 기둥 또는 전체 구조물의 강성과 내력향상에 유리하다. 특히 확대 단면에서의 주철근이 기둥 상·하부 보 또는 기초에 정착이 됨으로서 횡하중 전달에도 비교적 유리하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5)

  1. ACI Committee 318 (2014), Building Code Requirements for Structural Concrete (ACI 318-14) and Commentary, American Concrete Institute, Farmington Hills, Michigan. 

  2. Adilson, R. T, Joao, B. H., and Amir, M. (2007), Preloaded RC Columns Strengthened with High-Strength Concrete jackets under Uniaxial Compression, Materials and Structures, 41, 1251-1262. 

  3. Ali, K. S., and Mario, M. A. (2012), A Stress-Strain Model for Uniaxial and Confined Concrete under Compression, Engineering Structures, 41, 335-349. 

  4. Branco, F., Julio, E. S., and Silva, V. D. (2008), Reinforced Concrete Jacketing-Interface Influence on Cyclic Loading Response, ACI Structure Journal, 105(4), 471-477. 

  5. Georgia, E. T., and Iman, H. (2018), Compressive Behaviour of Concrete Columns Confined with Steel-Reinforced Grout Jackets, Composites Part B: Engineering, 138, 222-231. 

  6. Kim, Y. I., Jo, B. H., and Hong, S. H.(2008), An Experiment on Anchorage and Usefulness of Expanded Steel-Plate Nets of RC Beams Strengthened by Increasing Section. Journal of the Korea Architectural Institute, 24(8), 65-74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7. Lee, K. I., Yoon, H. S., and Yang, K. H.(2018), Compressive and Adhesive Strengths of Mortars using Polymer and Ultra-Rapid-Hardening Cement,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Building Construction, under review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8. Jin, L., Du, M., Li, D., Du, X., and Xu, H. (2017), Effects of Cross Section Size and Lateral Rebar on the Behavior of Short Squared RC Columns under Axial Compression, Engineering Structures, 142, 223-239. 

  9. Mini, S., and Jebin, M. (2018), Rehabilitation of RC Columns using Ferrocement Jacketing, Construction and Building materials, 181, 156-162. 

  10. Ozcebe, G., and Saatcioglu, M. (1987), Confinement of Concrete Columns for Seismic Loading, ACI Structural Journal, 84(4), 308-315. 

  11. Penelis, G. G., and Kappos, A. J. (1997), Earthquake resistant concrete structures, CRC Press, Florida. 

  12. Saatcioglu, M., and Razvi, S. R. (1992), Strength and Ductility of Confined Concrete, Structural Engineering, ASCE, 118(6), 1590-1607. 

  13. Troung, G. T., Kim, J. C., and Choi, K. K. (2017), Seismic Performance of Reinforced Concrete Columns Retrofitted by Various Methods, Engineering Structures, 134, 217-235. 

  14. Yang, K. H., and Kim, W. W. (2016), Axial Compression Performance of Reinforced Concrete Short Columns with Supplementary V-Shaped Ties, ACI Structural Journal, 113(6), 1347-1356. 

  15. Yoo, Y. J., Lee, K. H., Kim, H. C., Lee, Y. H., and Hong, W. K. (2008), Experimental Study on Compressive Strength of Concrete Column Retrofitted by Carbon FRP Sheet,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for Structural Maintenance and Inspection, 12(3), 199-126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