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북한 주요 인프라 실태 예측에 의한 유지관리 수준 분석 및 평가
Assessment and Analysis of Maintenance Level According to Actual Prediction on the Main Infrastructures of North Korea 원문보기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논문집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for Structural Maintenance and Inspection, v.22 no.5, 2018년, pp.39 - 46  

이정석 (한국시설안전공단 진단본부 건축생활시설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최근 한반도는 동계올림픽 단일팀 참가, 남북정상회담 이후 남북 경제협력 방안이 본격적으로 논의될 것으로 보이고, 도로, 철도 등 남북 주요 인프라에 대한 관심이 커지고 있다. 그리고 대부분의 북한 시설물은 고령화, 노후화 및 유지관리 불량 등 시설물의 안전성과 기능성에 대한 문제점이 제기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북한 인프라 개선 및 개발에 대한 새로운 전략을 마련하기 위하여 성능관점의 북한 유지관리 수준을 분석하고 남북 상호 인프라 유지관리 수준을 비교하였다. 본 연구결과, 북한의 도로, 철도 등 국가기반시설과 전력 및 통신, 상하수도 등 생활기반시설의 유지관리가 매우 취약한 것으로 조사되었고, 이에 대한 보수 보강 등 개선이 시급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본 연구는 안전과 성능에 대한 평가를 통해 남북 유지관리 수준의 격차를 줄이고, 향후 통합 한반도 안전 및 유지관리 체계를 구축하는데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fter the North-South Korean summit and PyeongChang Winter Olympics, it is recently expected that the North-South economic cooperation plan will be discussed in earnest. And it will be growing interest of the major infrastructure facilities such as roads and railways, and so on North-South Korean. M...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는 북한지역에 다양하게 분포되어있는 인프라의 시설 종류와 현황, 특성 등을 조사하여 해당지역별 유지관리 수준을 예측하기 위함이다. 또한 향후 통일 추진 시 북한 인프라를 대상으로 안전점검 및 유지관리 전략 로드맵을 수립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함이다.
  • 마지막으로 본 연구는 앞서 기술된 남북 인프라 유지관리 수준을 상호비교하여 종합적인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남북 인프라 유지관리 수준의 상호비교를 위하여 Table 4과 Table 7을 비교하였으며, 분석된 Fig.
  • 본 연구는 앞서 분석된 북한 인프라의 유지관리 수준과 별개로 북한이탈주민이 체감하는 남한 인프라에 대한 유지관리 수준을 측정하고자 하였으며, 이를 통해 남북 인프라 유지관리 수준 차이와 향후 인프라 개선을 위한 참고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향후 통일대비 한반도 시설물 통합 인프라 구축 전략의 일환으로 북한의 주요 시설물에 대한 유지관리 특성과 수준을 고찰하였다. 이는 남북 시설물의 안전에 대한 건전도와 성능에 대한 사용성을 평가하여 남북 유지관리 수준에 대한 격차를 줄이고, 최종통합 한반도 안전 및 유지관리 체계를 구축하는데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독일 사례 중 통일이전과 이후로 구분하여 인프라 현황 및 특성을 조사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북한 인프라 시설별 내용연수 및 설계/시공수준을 간접적으로 파악하기 위해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측정 및 평가하였다. 시설별 내용연수의 구성은 “10년 이하”, “11년~20년 이하”, “21~30년 이하”, “31년~40년 이하”, “41년 이상”, “무응답/모름”으로 평가항목을 구성하였으며, 시설별 설문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 본 연구는 향후 통일대비 한반도 시설물 통합 인프라 구축 전략의 일환으로 북한의 주요 시설물에 대한 유지관리 특성과 수준을 고찰하였다. 이는 남북 시설물의 안전에 대한 건전도와 성능에 대한 사용성을 평가하여 남북 유지관리 수준에 대한 격차를 줄이고, 최종통합 한반도 안전 및 유지관리 체계를 구축하는데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 이는 남북 시설물의 안전에 대한 건전도와 성능에 대한 사용성을 평가하여 남북 유지관리 수준에 대한 격차를 줄이고, 통합 한반도 안전 및 유지관리 체계를 구축함으로써 통일비용 대비 통일편익을 극대화시키는 데 활용하고자 한다.
  • 이에 본 연구는 북한 인프라를 대상으로 성능관점 측면의 시설물 실태를 예측하기 위해 자료수집및 설문조사 등을 실시하였고, 남북 유지관리 수준을 비교 분석 및 평가하였다.
  • 이와 같은 배경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향후 통일대비 한반도 시설물 통합 인프라 구축 전략의 일환으로 북한의 주요 시설물에 대한 실태를 예측하여 성능관점의 유지관리 수준을 분석 및 평가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1989년 당시 서독은 주 교통수단은 무엇이였는가? 1989년 당시 서독은 주 교통수단으로 도로시설을 사용하였으며, 단위면적당 도로연장은 698.8km/1,000km²로 동독의 단위면적당연장 보다 1.
1989년 당시 동독의 주 교통수단은? 6배 길게 설치되어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에 반해 동독은 주 교통수단으로 철도시설을 사용하고 있지만 단위면적당 철도연장은 서독과 26.7km /1,000km² 밖에 차이가 나지 않으며, 동독의 철도시설이 남북, 동서 교통망이 제대로 형성되어있지 않았다.
통일 이전을 기점으로 독일의 주택, 교통, 상하수도 등 관련 인프라 특성은 무엇인가? 먼저 통일 이전을 기점으로 독일의 주택, 교통, 상하수도 등 관련 인프라 특성은 다음과 같다. 서독은 주택건설 활동이 1949∼1978년 사이에 55% 이상 진행된 반면 동독은 같은 시기에 30%정도 건설되었으며, 동독 내의 타 주택 건축물은 1949년 이전에 건설되었다. 이렇다 보니 1993년 당시 동독의 주택노후비율이 52%로 서독의 주택노후비율보다 29%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5)

  1. Hwang, J. H. (2010), Standardization Study Construction Technology Port Area of North and South Korea, Korea Institute of Maritime and Fisheries Technology 

  2. KISTEC (2016), The Strategy for Establishment of Construction Infrastructure to Preparing Unification in the Korean Peninsula, Korea Infrastructure Safety and Technology Corporation. 

  3. National Statistical Office(2017), 2014 North Korea's key statistical indicators 

  4. The bank of Korea(2017), ECOS, Economic Statistics System, Retrieved June 1, 2017 from http://ecos.bok.or.kr. 

  5. The Ministry of Unification(2013), Statistics Comparison of North and South Korea, Retrieved June 1, 2013 from http://nkinfo.unikorea.go.kr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