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일부 시판 구강양치액이 치아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Some Commercially Available Mouthwashes on Teeth 원문보기

치위생과학회지 = Journal of dental hygiene science, v.18 no.4, 2018년, pp.265 - 270  

민지현 (청주대학교 보건의료과학대학 치위생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일부 시판 구강양치액의 화학적 특성을 조사하고, 구강양치액이 치아에 무기질 소실에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하고자 하였다. 국내 3대 대형마트에서 공통으로 시판되는 구강양치액 5개 제품을 선정하였다(페리오토탈7 스트롱후레쉬[PS], 가그린 오리지널[GO], 가그린 제로[GZ], 리스테린 시트러스[LC], 리스테린 쿨민트[LM]). 구강양치액의 구성 성분과 pH와 적정산도를 조사하였다. 각 구강양치액 군별로 6개의 우치시편을 제작하였다. 각 구강양치액 30ml에 우치 시편 6개씩을 1분, 30분, 90분, 120분간 침적하였으며, 이때 $36.5^{\circ}C$ 교반 배양기에 위치하였다. 이후 치아의 무기질 소실 정도는 QLF-D를 이용하여 정상치아 대비구강양치액 노출 부위의 무기질 소실 정도(${\Delta}F$)를 분석하였다. 구강양치액군 간의 ${\Delta}F$의 차이를 Kruskal-Wallis H검정을 시행하여 알아보았다(${\alpha}=0.05$). 구강양치액의 성분은 리스테린 제품과 그 외 제품별로 차이가 있었으며, pH는 4.09~6.75의 범위를 보였다. 적정산도는 PS 제품이 평균 0.63 ml로 가장 적었으며 LM은 9.25 ml로 조사 제품 중 가장 높은 적정산도 값을 보였다. 리스테린 제품, LC와 LM에 90분 이상 치아 시편을 침적하였을 때 매우 적은 무기질 소실이 확인되었으나 통계적으로는 무기질 소실이 일어나지 않은 군과 유의한 차이가 확인되지 않았다(p>0.05). 결론적으로 시판 구강양치액 5종 모두 치아의 법랑질에는 위해가 없음을 확인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hemical properties of some commercially available mouthwashes and to ascertain whether the mouthwashes accelerated mineral loss in dental enamel. Five commercially available mouthwashes were selected from the three largest malls in Korea: Perio Total...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일부 시판 구강양치액의 화학적 특성을 조사하고, 구강양치액이 치아에 무기질 소실에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하고자 하였다. 국내 3대 대형마트에서 공통으로 시판되는 구강양치액 5개 제품을 선정하였다(페리오토탈7 스트롱후레쉬[PS], 가그린 오리지널[GO], 가그린 제로[GZ], 리스테린 시트러스[LC], 리스테린 쿨민트[LM]).
  • 따라서 우리나라에 시판되는 구강양치액에 대한 화학적인 특성 평가와 안전성 평가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에 시판되고 있는 일부 구강양치액의 화학적 특성을 조사하고, 이 일부 시판 구강양치액이 치아의 무기질 소실 정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치과위생사은 무엇인가? 치과위생사는 면허를 받은 예방적 구강보건 전문가로서1) 대상자의 구강건강을 증진시키고 유지시킴으로써 전반적인 건강과 삶의 질에 기여한다 2) . 미국치과위생사협회에서는 치과위생사의 역할을 임상가, 기업인, 보건인, 교육자, 관리자, 사업가로 정의하고 있다1) .
시판되는 구강양치액 5개 제품의 pH 수치는 얼마의 범위에 있나? 05). 구강양치액의 성분은 리스테린 제품과 그 외 제품별로 차이가 있었으며, pH는 4.09∼6.75의 범위를 보였다. 적정산도는 PS 제품이 평균 0.
미국치광위생사협회가 정의한 치과위생사의 역할은 무엇인가? 치과위생사는 면허를 받은 예방적 구강보건 전문가로서1) 대상자의 구강건강을 증진시키고 유지시킴으로써 전반적인 건강과 삶의 질에 기여한다 2) . 미국치과위생사협회에서는 치과위생사의 역할을 임상가, 기업인, 보건인, 교육자, 관리자, 사업가로 정의하고 있다1) . 특히 임상가로서의 치과위생사는 대상자에게 구강질환의 예방 및 건강 증진을 위한 예방서비스, 구강질환의 정지 및 관리를 위한 치료서비스, 임상치위생 관리의 예방적이며 치료적인 면에 대한 교육서비스를 제공할 책임이 있다 2) .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6)

  1. American Dental Hygienists' Association (ADHA): American Dental Hygienists' Association educational standards position paper 2011. ADHA Publishing, Chicago, pp.1-3, 2011. 

  2. Darby ML, Walsh MM: Dental hygiene: theory and practice. 4th ed. Elsevier, St. Louis, pp.1-12, 2015. 

  3. van der Weijden F, Slot DE: Oral hygiene in the prevention of periodontal diseases: the evidence. Periodontol 2000 55: 104-123, 2011. https://doi.org/10.1111/j.1600-0757.2009.00337.x 

  4. Searching on PubMed: oral care products. Retrieved July 9, 2018, from https://www.ncbi.nlm.nih.gov/pubmed/?termoral+care+products(2018, July 9). 

  5. Jin BH, Ma DS, Jeong SH, et al.: A study on standards and specifications for systematic management of oral care products.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Seoul, pp.1-28, 2017. 

  6. Harrison P: Plaque control and oral hygiene methods. J Ir Dent Assoc 63: 151-156, 2017. 

  7. Pontefract H, Hughes J, Kemp K, Yates R, Newcombe RG, Addy M: The erosive effects of some mouthrinses on enamel: a study in situ. J Clin Periodontol 28: 319-324, 2001. https://doi.org/10.1034/j.1600-51x.2001.028004319.x 

  8. Choi HJ, Lee HJ, Jeong SS, Choi CJ, Hong SJ: Effect of mouthrinse with low pH on the surface microhardness of artificial carious enamel. J Korean Acad Oral Health 36: 161-166, 2012. 

  9. Vani G, Babu Ganesh M, Panchanatham N: Toothpaste brands: a study of consumer behavior in Bangalore city. J Econ Behav Stud 1: 27-39, 2010. 

  10. Opeodu OI, Gbadebo SO: Factors influencing choice of oral hygiene products by dental patients in a Nigerian Teaching Hospital. Ann Ib Postgrad Med 15: 51-56, 2017. 

  11. Han YS, Lee JE, Moon HJ, Lim SR, Cho YS: An analysis on the purchase satisfaction, repurchase intention and recommendation according toothpaste choice standard. J Dent Hyg Sci 15: 77-82, 2015. https://doi.org/10.17135/jdhs.2015.15.1.77 

  12. Kim SK: A study on the status of recognition and practical application of oral hygiene devices: with outpatient as the central figure. J Dent Hyg Sci 2: 95-103, 2002. 

  13. Ganss C, Klimek J, Schaffer U, Spall T: Effectiveness of two fluoridation measures on erosion progression in human enamel and dentine in vitro. Caries Res 35: 325-330, 2001. https://doi.org/10.1159/000047470 

  14. Kim BI, Kwon HK, Kim YS, et al.: Textbook of oral care products. 2nd ed. CharmYun Publishing, Seoul, pp.87-95, 2016. 

  15. Bakkali F, Averbeck S, Averbeck D, Idaomar M: Biological effects of essential oils: a review. Food Chem Toxicol 46:446-475, 2008. https://doi.org/10.1016/j.fct.2007.09.106 

  16. Santos FA, Rao VS: Antiinflammatory and antinociceptive effects of 1,8-cineole a terpenoid oxide present in many plant essential oils. Phytother Res 14: 240-244, 2000. https://doi.org/10.1002/1099-1573(200006)14:4 3.0.co;2-x 

  17. Fine DH, Furgang D, Sinatra K, Charles C, McGuire A, Kumar LD: In vivo antimicrobial effectiveness of an essential oil-containing mouth rinse 12 h after a single use and 14 days’ use. J Clin Periodontol 32: 335-340, 2005. https://doi.org/10.1111/j.1600-051x.2005.00674.x 

  18. Ingram LO: Ethanol tolerance in bacteria. Crit Rev Biotechnol 9: 305-319, 1989. https://doi.org/10.3109/07388558909036741 

  19. Sissons CH, Wong L, Cutress TW: Inhibition by ethanol of the growth of biofilm and dispersed microcosm dental plaques. Arch Oral Biol 41: 27-34, 1996. https://doi.org/10.1016/0003-9969(95)00103-4 

  20. ten Cate JM, Imfeld T: Dental erosion, summary. Eur J Oral Sci 104: 241-244, 1996. https://doi.org/10.1111/j.1600-0722.1996.tb00073.x 

  21. Dawes C: What is the critical pH and why does a tooth dissolve in acid? J Can Dent Assoc 69: 722-724, 2003. 

  22. Meurman JH, ten Cate JM: Pathogenesis and modifying factors of dental erosion. Eur J Oral Sci 104: 199-206, 1996. https://doi.org/10.1111/j.1600-0722.1996.tb00068.x 

  23. Pretty IA, Edgar WM, Higham SM: The validation of quantitative light-induced fluorescence to quantify acid erosion of human enamel. Arch Oral Biol 49: 285-294, 2004. https://doi.org/10.1016/j.archoralbio.2003.11.008 

  24. Emami Z, al-Khateeb S, de Josselin de Jong E, Sundstrom F, Trollsas K, Angmar-Mansson B: Mineral loss in incipient caries lesions quantified with laser fluorescence and longitudinal microradiography: a methodologic study. Acta Odontol Scand 54: 8-13, 1996. https://doi.org/10.3109/00016359609003502 

  25. Nakata K, Nikaido T, Ikeda M, Foxton RM, Tagami J: Relationship between fluorescence loss of QLF and depth of demineralization in an enamel erosion model. Dent Mater J 28: 523-529, 2009. https://doi.org/10.4012/dmj.28.523 

  26. Pretty IA, Edgar WM, Higham SM: The erosive potential of commercially available mouthrinses on enamel as measured by Quantitative Light-induced Fluorescence (QLF). J Dent 31: 313-319, 2003. https://doi.org/10.1016/s0300-5712(03)00067-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