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구강건조증이란 주관적인 구강 내 건조감으로 정의되며, 이는 약물, 타액선 질환, 방사선 치료, 쉐그렌 증후군, 심리적 요인 등과 같은 다양한 원인에서 비롯된다. 구강 건조증 환자 중 현저한 타액선 기능 감소가 존재하는 경우 구강캔디다증, 치아우식증, 치주질환, 미각변화, 구취 등의 병발증이 나타날 수 있다. 이러한 구강건조증의 치료로는 우선적으로 구강건조를 유발하는 원인요소를 제거하거나, 환자의 불편감을 감소시키기 위한 대증요법이 주가 되며 실제로 타액 분비 기능이 감소된 경우 이로 인한 합병증을 예방하기 위한 치료와 타액분비를 자극할 수 있는 약물치료를 시행할 수 있다. 이 중 타액분비를 촉진시키는 약물인 필로카핀은 구강건조증 치료제로 널리 사용되어 왔다. 하지만 발한작용, 비뇨기 및 위장관계의 비정상적인 기능유도, 심혈관계 및 호흡기계에 대한 위험 등의 부작용이 있어 천식, 만성폐질환, 심혈관계 질환자에게는 주의 깊은 사용이 요구되며, 특히 조절되지 않는 천식환자의 경우 필로카핀의 절대적 금기증으로 사용이 금지된다. 이처럼 구강건조증 치료에 있어 필로카핀은 부작용으로 인해 전신적인 투여에 많은 제한이 있다. 따라서, 필로카핀의 부작용을 최소화하기 위해 국소적으로 사용되는 방법 중의 하나인 필로카핀 양치액을 이용하여 치료한 증례를 통해 그 효과를 확인해보고자 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Xerostomia is subjective feeling of dry mouth, a symptom that may or may not be accompanied by hyposalivation, an objective decrease in salivary flow. There are many causes induced xerostomia like drugs, salivary gland diseases, radiation therapy to the head and neck region, Sjogren syndrome, emoti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부작용을 최소화하면서 구강건조증을 조절하기 위해 필로카핀을 양치액, 껌 등과 같은 방법으로 국소적으로 적용한 연구들이 보고되어 왔으나 이 역시 표준화되지 않은 방법 등으로 인해 실제 임상에서는 적극적으로 활용되고 있지 않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문헌상에 보고되었던 최소 농도의 필로 카핀 양치액을 이용하여 양호한 결과를 보인 증례를 통해 그 임상적 효용성에 대해 검토하고자 하였다.2-4)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구강건조증이란? 구강건조증이란 타액선기능 감소가 객관적으로 확인되지 않는 상태에서도 발생할 수 있는 주관적인 구강내 건조감을 말한다.1) 구강내 건조감을 유발하는 원인으로는 삼환성 항우울제나 고혈압제재의 복용, 방사선치료, 타액선 질환 등이 있으며 현저한 타액선 기능 감소가 존재하는 경우 구강캔디다증, 치아우식증, 치주질환, 미각변화, 구취 등의 병발증이 나타날 수 있다.
구강내 건조감을 유발하는 원인은? 구강건조증이란 타액선기능 감소가 객관적으로 확인되지 않는 상태에서도 발생할 수 있는 주관적인 구강내 건조감을 말한다.1) 구강내 건조감을 유발하는 원인으로는 삼환성 항우울제나 고혈압제재의 복용, 방사선치료, 타액선 질환 등이 있으며 현저한 타액선 기능 감소가 존재하는 경우 구강캔디다증, 치아우식증, 치주질환, 미각변화, 구취 등의 병발증이 나타날 수 있다. 구강건조증의 가장 근본적인 치료는 유발원인을 찾아내어 조절하는 것이지만, 원인을 조절하기 어렵거나 타액선 기능이 비가역적으로 감소되어 회복하기 어려운 경우에는 수분섭취, 인공타액제재 등의 대증요법으로 관리하게 된다.
필로카핀의 부작용은? 필로카핀은 부교감신경 효현제(parasympathetic agonist)로, 무스카린성 수용체(muscarinic receptor) 에 비선택적으로 결합하여 위장관계 및 비뇨기, 호흡기 등의 평활근에 작용하며 침샘 및 땀샘의 분비 기능을 촉진한다. 따라서 타액 분비를 촉진할 수 있으나 발한, 비뇨기 및 위장관계의 비정상적인 기능유도, 심혈관계 및 호흡기계의 위험 등의 부작용이 발생 할 수 있다. 그러므로 천식, 만성폐질환, 심혈관계 질환자에게는 주의 깊은 사용이 요구되며 급성 천식 발작, 협전방각녹내장, 홍채염 등은 필로카핀의 절대적 금기증으로 사용이 금지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1)

  1. Napenas JJ, Brennan MT, Fox PC. Diagnosis and treatment of xerostomia (dry mouth). Odontology 2009;97:76-83. 

  2. Bernardi R, Perin C, Becker FL et al. Effect of pilocarpine mouthwash on salivary flow. Brazilian Journal of Medical and Biological Research 2002;35: 105-110. 

  3. Crispian Scully, Dry mouth (Xerostomia), Oral and maxillofacial medicine. 2nd ed., Philadelphia, 2008, Churchill livingstone Elsevier., pp. 79-86. 

  4. Bertram G. Katzung, Cholinoceptor-activating & cholinesterase-inhibiting drugs, Basic & Clinical pharmacology. 8th ed., America, 2001, McGraw-Hill., pp. 92-106. 

  5. Mikhail. Pilocarpine mouthwash for drymouth relief. United state patent 1980. 

  6. M.M Furguson, P. Hayes, J. Highton, D.S. Jones, E.E.Macfadyen, D.G.Palmer. Pilocarpine oral solution. Letters 1991:251. 

  7. 이선경, 현기용, 이승우. 필로카핀 투여 방법에 따른 구강 건조증 환자의 치료 효과에 관한 연구. 대한구강내과학회지 1994;19:25-44. 

  8. Davies AN, Daniels C, Pugh R, Sharma K. A comparison of artificial saliva and pilocarpine in radiation induced xerostomia. The Journal of Laryngology and Otology 1994;108:663-665. 

  9. Hamlar DD, Schuller DE, Gahbauer RA et al. Determination of the efficacy of topical oral pilocarpine for postirradiation xerostomia in patient with head and neck carcinoma. Laryngoscope 1996;106(8):972-6. 

  10. Frydrych AM, Davies GR, Slack-Smith LM, Heywood J. An investigation into the use of pilocarpine as a sialagogue in patients with radiation induced xerostomia. Australian Dental Journal 2002;47:(3)249-253. 

  11. Eliasson L, Birkhed D, Carl?n A. Feeling of dry mouth in relation to whole and minor gland saliva secretion rate. Arc Oral Biol 2009;54:263-267.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