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강한 불연속을 포함한 유한요소를 이용한 균열의 삼차원 해석
3D Analysis of Cracking Using Finite Elements Involving Strong Discontinuities 원문보기

전산 구조 공학 = Journal of the Computational Structural Engineering Institute of Korea, v.31 no.3, 2018년, pp.23 - 30  

김종헌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첨담궤도토목본부)

초록이 없습니다.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원고에서는 균열의 삼차원 해석을 위한 유한요소 기법으로서 강한 불연속 접근법, 일반 유한요소법, 다중 스케일 일반 유한요소법을 소개하였다. 또한 점성 균열 전파 문제의 수치 해석 예제를 통하여 이들의 유효성과 서로간의 장단점을 예증하였다.
  • 이에 해당하는 대표적인 기법에는 강한 불연속 접근법(strong discontinuity approach, SDA)(Simo et al, 1993)과 일반 유한요소법(generalized finite element method, GFEM)(Babuska & Melenk, 1997)이 있으며, 이러한 기법들은 기존의 응집 영역 모델과 비교하여 불연속 면전파의 기하학적 표현이 자유로우며 망 독립적인 해를 얻을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에 본 원고에서는 강한 불연속 접근법과 일반 유한요소법의 이론과 이 기법들을 이용하여 균열 전파 문제를 해석한 예제를 소개한다.

가설 설정

  • 이 시험의 특징은 Mode I 형태의 균열이 지배적이라는 것이며 균열의 경로를 미리 알고 있는 경우에 해당한다. 따라서 일반 유한요소법의 경우 예상 경로를 따라 불연속 면을 미리 삽입하고 노치에 대해서만 트랙션이 발생하지 않는다고 가정하여 모델링하였다. 이와 달리 강한 불연속 접근법의 경우 균열 경로에 대한 이러한 선험적 정보를 사용하지 않고 오직 현재 하중 단계에서의 해의 분포를 분석함으로써 다음 하중 단계에서의 균열의 전파를 예측하였다.
  • 이와 달리 강한 불연속 접근법의 경우 균열 경로에 대한 이러한 선험적 정보를 사용하지 않고 오직 현재 하중 단계에서의 해의 분포를 분석함으로써 다음 하중 단계에서의 균열의 전파를 예측하였다. 이를 위하여 균열의 생성(initiation)과 방향(direction)에 대한 판단 기준(failure criterion)이 필요하며, 본 예제에서는 최대 주응력(maximum principal stress)이 재료의 인장 강도에 도달할 때 균열이 생성되고 이 때 균열의 방향은 최대 주응력 방향과 직각을 이룬다고 가정하였다.
  • Petersson(1981)이 수행한 실험 에서 사용한 것과 동일한 크기의 시편에 대하여 모델링하였으며 그림 5에 시편의 형상과 경계 조건을 나타내었다. 콘크리트 시편의 재료 성질은 선형 탄성과 이선형(bilinear) 응집 법칙(Park et al., 2008)으로 가정하였으며 세부적인 물성치는 생략한다. 모델링에 사용한 요소의 종류는 강한 불연속 접근법의 경우 8절점 육면체 요소, 일반 유한요소법의 경우 4절점 사면체 요소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유한요소법(finite element method)은 무엇인가? 균열이 발생하는 좁은 구역은 수학적으로 변위장에서의 불연속, 또는 강한 불연속(strong discontinuity)으로 모델링할 수 있다. 또한 유한요소법(finite element method)은 오늘날 공학 분야에서 가장 널리 사용되는 수치 해석 기법 중 하나로서 이를 이용하여 강한 불연속을 모델링하고 효과적으로 균열을 해석할 수 있다. 이 중 비교적 초창기에 개발된 기법으로는 응집 영역 모델(cohesive zone model)이 대표적이다(Needleman, 1987).
토목 구조물과 같은 거대 시스템에서 종종 관찰되는 균열은 어떤 문제를 야기할 수 있는가? 토목 구조물과 같은 거대 시스템에서 종종 관찰되는 균열은 주로 국부적인 영역에 국한하여 발생함에도 불구하고 전체 구조물의 수명을 단축시키고 예기치 않은 붕괴를 야기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실험과(experimental) 해석적인(analytical) 방법을 통하여 균열 문제를 모델링 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으며, 따라서 균열의 발생과 성장에 대한 정확하고 효율적인 수치적(numerical) 모사는 설계 과정에서 필수적인 요소 중 하나이다.
응집 영역 모델(cohesive zone model) 방법의 기본 아이디어는 무엇인가? 이 중 비교적 초창기에 개발된 기법으로는 응집 영역 모델(cohesive zone model)이 대표적이다(Needleman, 1987). 이 방법의 기본 아이디어는 요소의 경계면에 소위 응집 요소(cohesive element)라 불리는 새로운 요소를 삽입하여 강한 불연속을 모델링하고 연화(softening)에 의한 에너지 소산(dissipation)을 표현하는 것이다. 그러나 이 방법에서는 강한 불연속의 경로가 요소의 경계면에 국한되기 때문에 상응하는 해는 요소망에 의존적(mesh dependent)이며, 따라서 적응적 세분화(adaptive refinement)를 추가적으로 수행하여야 하는 단점이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6)

  1. Needleman, A. (1987) A continuum model for void nucleation by inclusion debonding, Journal of Applied Mechanics, 54, pp.525-531 

  2. Kim, J., Simone, A., Duarte, C. A. (2017) Mesh refinement strategies without mapping of nonlinear solutions for the generalized and standard FEM analysis of 3-D cohesive fractures, International Journal for Numerical Methods in Engineering, 109, pp.235-258 

  3. Simo, J. C., Oliver, J., Armero, F. (1993) An analysis of strong discontinuities induced by strain-softening in rate independent inelastic solids, Computational Mechanics, 12, pp.277-296. 

  4. Armero, F. (2001) On the characterization of localized solutions in inelastic solids: an analysis of wave propagation in a softening bar, Computational Methods in Applied Mechanics and Engineering, 191, pp.181-213. 

  5. Armero, F., Kim, J. (2012) Three-dimensional finite elements with embedded strong discontinuities to model material failure in the infinitesimal range, International Journal for Numerical Methods in Engineering, 91, pp.1291-1330. 

  6. Kim, J., Armero, F. (2017) Three-dimensional finite elements with embedded strong discontinuities for the analysis of solids at failure in the finite deformation range, Computer Methods in Applied Mechanics and Engineering, 317, pp.890-926. 

  7. Babuska, I., Melenk, J. M. (1997) The partition of unity finite element method, International Journal for Numerical Methods in Engineering, 40, pp.727-758. 

  8. Duarte, C. A., Babuska, I., Oden, J. T. (2000) Generalized finite element methods for three dimensional structural mechanics problems, Computers and Structures, 77, pp. 215-232. 

  9. Duarte, C. A., Kim, D. J. (2008) Analysis and applications of a generalized finite element method with global-local enrichment functions, Computer Methods in Applied Mechanics and Engineering, 197, pp.487-504. 

  10. Kim, J., Duarte, C. A. (2015) A new generalized finite element method for two-scale simulations of propagating cohesive fractures in 3-D, International Journal for Numerical Methods in Engineering, 104, pp.1139-1172. 

  11. Pal, M., Rajagopal, A. (2014) Sensitivity analysis of linear elastic cracked structures using generalized finite element method, International Journal for Computational Methods in Engineering Science and Mechanics, 15, pp.422-437. 

  12. Kim, D. J., Duarte, C. A., Proenca S. (2012) A generalized finite element method with global-local enrichment functions for confined plasticity problems, Computational Mechanics, 50, pp.563-578. 

  13. O'Hara, P., Duarte, C. A., Eason, T., Garzon, J. (2013) Efficient analysis of transient heat transfer problems exhibiting sharp thermal gradients, Computational Mechanics, 51, pp.743-764. 

  14. Kim, J., Duarte, C. A. (2015) A new generalized finite element method for two-scale simulations of propagating cohesive fractures in 3-D, International Journal for Numerical Methods in Engineering, 104, pp.1139-1172. 

  15. Park, K., Paulino, G. H., Roesler, J. R. (2008) Determination of the kink point in the bilinear softening model for cocrete, Engineering Fracture Mechanics, 75, pp. 3806-3818. 

  16. Petersson, P. E. (1981) Crack growth and development of fracture zones in plain concrete and similar materials, Report No TVBM-1006, Division of Building Materials, University of Lund, Sweden.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