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선체부착생물관리와 수중제거기술
Ship's Hull Fouling Management and In-Water Cleaning Techniques 원문보기

海洋環境安全學會誌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rine environment & safety, v.24 no.6, 2018년, pp.785 - 795  

현봉길 (한국해양과학기술원 선박평형수연구센터) ,  장풍국 (한국해양과학기술원 선박평형수연구센터) ,  신경순 (한국해양과학기술원 선박평형수연구센터) ,  강정훈 (한국해양과학기술원 위해성분석연구센터) ,  장민철 (한국해양과학기술원 선박평형수연구센터)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국제해사기구는 선체부착생물의 위험성을 인식해서 2011년 '선체부착생물에 의한 외래위해종 이동 저감을 위한 관리 및 제어 가이드라인'을 공표하였고, 향후 이를 강제화하기 위한 국제 협약을 계획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향후 강제화 될 국제협약에 효과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선체부착생물관리 관련 선도국 사례를 소개하고 수중제거에 대한 환경 위해성 평가 기법에 대해서도 알아보았다. 선체부착생물관리 관련해서 선도국인 호주와 뉴질랜드는 수중제거 시나리오 의거해 수행한 생물 및 화학 위해성 평가를 근간으로 선체부착생물관리규제안을 마련하였다. 자국 정부의 특별한 규정이 없는 대부분의 유럽 국가들은 국제해사기구의 선체부착생물 규정에 따라 수중제거를 수행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우리나라인 경우 선체부착생물에 대한 국내법은 존재하지 않고, 해양 생태계법에 의거해서 약 17종의 해양생태게교란생물만 지정해서 관리하고 있다. 선박 선체에 대한 수중제거는 외래생물 확산 및 수생 환경으로의 화학 물질 방출을 수반하므로, 생물학적 위해성평가와 화학적 위해성평가를 별개로 수행한 후 이 둘의 평가를 종합하여 수중제거 수용 여부를 판단하였다. 생물학적 위해성평가는 수중제거과정에서 외래생물 유입에 영향을 미치는 핵심요소를 기반으로 40 code의 수중제거 시나리오 작성하고 위해성우선순위(Risk Priority Number, RPN) 점수를 산정하였다. 화학적 위해성평가는 수중제거 시 용출되는 구리(Copper) 농도를 기준으로 MAMPEC(Marine Antifoulant Model to Predict Environmental Concentrations) 모델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PEC(Predict Environmental Concentration) 값과 PNEC(Predict No Effect Concentration) 값을 산출하였다. 최종적으로 PEC/PNEC 비의 값이 1 이상이면 화학적 위해성이 높음을 의미한다. R/V 이어호가 부산감천항에서 수중제거를 수행한다는 가정하에 위해성평가를 시범 실시한 결과, 생물학적 위해성은 RPN이 <10,000 이어서 저위험으로 판단되었으나, PEC/PNEC 비의 값이 1 이상으로 화학적 위해성이 높아 최종적으로 수중제거가 불가능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따라서 우리나라도 선도국 사례를 참조해서 수중제거기술을 개발하고 또한 국내 항만 현실에 맞는 선체부착생물규제 국내법을 제정해야 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International Maritime Organization (IMO) has recognized the risk of hull fouling and announced '2011 Guidelines for the control and management of ship's biofouling to minimize the transfer of invasive aquatic species'and is planning international regulations to enforce them in the future. In th...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로 인해 무분별한 선체부착생물 수중제거과정에 노출된 우리나라 주요 항만 환경은 활성물질 오염과 외래종 유입 위험성에 그대로 노출되어 있어서, 해당 해양생태계 뿐만 아니라 국민의 건강에도 심대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 그래서 본 연구에서는 국내 주요항으로 입항하는 선박의 선체부착생물을 효과적으로 관리하기 위해서 친환경적인 수중제거기술개발 및 국가적 차원에서 선체부착생물 관련 국내법 제정 필요성에 대해서 강조하였다. 또한 뉴질랜드 사례를 참고해서 감천항에서 가상의 생물 및 화학적 위해성 시범 평가도 수행하였다.
  • 현재 선체부착생물 관련 국내 연구는 뉴질랜드와 같은 선도국에 비해 많이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선체부착생물관리 관련 선도국 사례를 소개하고, 수중제거 위해성 평가를 통해 선체부착생물규제 국내법 제정의 필요성에 대해서 알아보고자 하였다.

가설 설정

  • 보다 자세한 실험 방법 및 연구 결과는 Kang(2018)의 연구 결과 보고서에서 확인 할 수 있다. 이렇게 획득한 자료를 이용해서 이어도호가 감천항내에서 water-jet 방식으로 선체부착생물 수중 제거를 수행한다는 가정하에 부산물 위해성 시범 평가를 수행했다. 수중 제거 부산물 위해성 평가는 크게 외래종의 유무 및 환경 적응 가능성 등을 고려해서 평가하는 생물학적 위해성 평가와 수중 제거 시 발생하는 유출수내 중금속 및 살생물제 농도와 발생량 결과를 활용한 화학적 위해성 평가로 나누어서 수행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선체부착생물오손이란? , 2015). 선체부착생물오손이란 미세생물로부터 동물에 이르기까지 의도하지 않았지만 해수면에 잠긴 선박의 구조물에 생물이 부착된 상황을 말하며, 생물들의 선체 부착으로 인해 선박의 운항 속도가 감소하고, 연료 소모율이 최대 40%까지 증가하며, 부착된 구조물을 부식시켜서 구조물 수명을 단축시킬 뿐만 아니라, 부착생물 제거를 위해 건식 도크(Dry dock) 이용 시 시간 및 추가적인 비용도 발생된다(e.g.
방오도료를 사용한 생물 오손방지기술 중 TBT 계열 방오도료의 장점 및 단점은? 1960년대 Tributyltin(TBT) 계열의 방오도료가 개발 되었고(Kotrikla, 2009), 1970년대 이후 널리 사용되었다(Champ and Seligman, 1996). 하지만 TBT 계열 방오도료는 매우 우수한 생물부착방지효율을 가졌지만, 상대적으로 매우 낮은 농도(part per trillionl level)에서도 해양 생물에게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연구 결과가 발표되어서 세계 각국은 TBT 계열 방오 도료 사용에 대해 많은 고심을 하게 되었다(e.g.
선체부착생물오손으로 인해 발생하는 문제점은? , 2015). 선체부착생물오손이란 미세생물로부터 동물에 이르기까지 의도하지 않았지만 해수면에 잠긴 선박의 구조물에 생물이 부착된 상황을 말하며, 생물들의 선체 부착으로 인해 선박의 운항 속도가 감소하고, 연료 소모율이 최대 40%까지 증가하며, 부착된 구조물을 부식시켜서 구조물 수명을 단축시킬 뿐만 아니라, 부착생물 제거를 위해 건식 도크(Dry dock) 이용 시 시간 및 추가적인 비용도 발생된다(e.g.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3)

  1. Alzieu, C. and M. Heral(1984), Ecotoxicological effects of organotin compounds on oyster culture. In: Ecotoxicological Testing for the Marine Environment; G. Persoone & al. (Eds.), Ghent & Inst. Mar. Scient. Res., Belgium, Vol. 2, pp. 187-196. 

  2. ANZECC(1996), Working together to reduce impacts from shipping operations: code of practice for antifouling and in-water hull cleaning and maintenance. Australia and New Zealand Environment and Conservation Council, Canberra, p. 10. 

  3. Beaumont, A. R. and M. D. Budd(1984). High mortality of the larvae of the common mussel at low concentrations of tributyltin, Marine pollution bulletin, Vol. 15, No. 11, pp. 402-405. 

  4. Brand, L. E., W. G. Sunda and R. R. Guillard(1986), Reduction of marine phytoplankton reproduction rates by copper and cadmium. Journal of Experimental Marine Biology and Ecology, Vol. 96, No. 3, pp. 225-250. 

  5. Champ, M. A. and P. F. Seligman(1996), Organotin: environmental fate and effects, London: Chapman & Hall. 

  6. Chan, F. T., J. J. MacIsaac and S. A. Bailey(2015), Relative importance of vessel hull fouling and ballast water as transport vectors of nonindigenous species to the Canadian Arctic, Canadian Journal of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 Vo. 72, No. 8, pp. 1230-1242. 

  7. Cheung, K. C., M. H. Wong and Y. K. Yung(2003), Toxicity assessment of sediments containing tributyltin around Hong Kong harbour, Toxicology letters, Vol. 137, No. 1-2, pp. 121-131. 

  8. Coutts, A. D. and B. M. Forrest(2007),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tools for incursion response: lessons learned from the management of the fouling pest Didemnum vexillum, Journal of Experimental Marine Biology and Ecology, Vol. 342, No. 1, pp. 154-162. 

  9. Coutts, A. D. M. and B. M. Forrest(2005), Evaluation of eradication tools for the clubbed tunicate Styela clava, Cawthron Report, Vol. 1110, p. 48. 

  10. de Castro, I. B., F. C. Perina and G. Fillmann(2012), Organotin contamination in South American coastal areas, Environmental Monitoring and Assessment, Vol. 184, No. 3, pp. 1781-1799. 

  11. De Stasio, B. T., M. B. Schrimpf and B. H. Cornwell(2014), Phytoplankton communities in Green Bay, Lake Michigan after invasion by dreissenid mussels: Increased dominance by cyanobacteria, Diversity, Vol. 6, No. 4, pp. 681-704. 

  12. Hearin, J., K. Z. Hunsucker, G. Swain, A. Stephens, H. Gardner, K. Lieberman and M. Harper(2015), Analysis of long-term mechanical grooming on large-scale test panels coated with an antifouling and a fouling-release coating, Biofouling, Vo. 31, No. 8, pp. 625-638. 

  13. Hyun, B., S. H. Baek, K. Shin and K. H. Choi(2017), Assessment of phytoplankton invasion risks in the ballast water of international ships in different growth conditions, Aquatic Ecosystem Health & Management, Vol. 20, No. 4, pp. 423-434. 

  14. Hyun, B., K. Shin, M. C. Jang, P. G. Jang, W. J. Lee, C. Park and K. H. Choi(2016), Potential invasions of phytoplankton in ship ballast water at South Korean ports, Marine and Freshwater Research, Vol. 67, No. 12, pp. 1906-1917. 

  15. IMO(2005), International Concentration on the control of harmful antifouling systems (AES) on ship, 2005 Edition, IMO, London, p. 69. 

  16. Kang(2018), Development of risk assessment for control technology to reduce transfer fo ships' biofouling: In-water cleaning technique. 

  17. Kim, N. S., S. H. Hong, J. G. An, K. H. Shin and W. J. Shim(2015), Distribution of butyltins and alternative antifouling biocides in sediments from shipping and shipbuilding areas in South Korea, Marine pollution bulletin, Vol. 95, No. 1, pp. 484-490. 

  18. Kotrikla, A.(2009). Environmental management aspects for TBT antifouling wastes from the shipyards, Journal of Environmental Management, Vol. 90, S77-S85. 

  19. Leung, K. M., J. R. Wheeler, D. Morritt and M. Crane(2001), Endocrine disruption in fishes and invertebrates: issues for saltwater ecological risk assessment, Coastal and Estuarine Risk Assessment, Lewis Publishers, Boca Raton, pp. 189-216. 

  20. MEPC(2011), Guidelines for the Control and Management of Ships' Biofouling to Minimise the Transfer of Invasive Aquatic Species. 

  21. Morrisey, D. and C. Woods(2015), In-water cleaning technologies: Review of information, MPI Technical Paper. 

  22. Morrisey, D. J. Gadd, M. Page, J. Lewis, A. Bell and E. Georgiades(2013), In-water cleaning of vessels: Biosecurity and chemical contamination risks, MPI Technical Paper, 2013/11, Wellington, New Zealand, p. 267. 

  23. Moller, J. K. and F. Stuer-Lauridsen(2016), Non-indigenous species from hull fouling in Danish marine waters. 

  24. Nimmo, D. R. and T. L. Hamaker(1982), Mysids in toxicity testing-a review, In Ecology of Mysidacea (pp. 171-178), Springer, Dordrecht. 

  25. Readman, J. W.(2006), Development, Occurrence and Regulationof Antifouling Paint Biocides: Historical Review and Future Trends, In Antifouling paint biocides, Springer, Berlin, Heidelberg, pp. 1-15. 

  26. Ruiz, G. M., T. K. Rawlings, F. C. Dobbs, L. A. Drake, T. Mullady, A. Huq and R. R. Colwell(2000), Global spread of microorganisms by ships, Nature, Vol. 408, No. 6808, p. 49. 

  27. Sapozhnikova, Y., E. Wirth, K. Schiff and M. Fulton(2013), Antifouling biocides in water and sediments from California marinas, Marine pollution bulletin, Vol. 69, No. 1-2, pp. 189-194. 

  28. Silkina, A., A. Bazes, F. Vouve, V. Le Tilly, P. Douzenel, J. L. Mouget and N. Bourgougnon(2009), Antifouling activity of macroalgal extracts on Fragilaria pinnata (Bacillariophyceae): a comparison with Diuron, Aquatic toxicology, Vol. 94, No. 4, pp. 245-254. 

  29. Suk, J. H.(2018), A Study on the Regulatory Framework Related to Ship's Biofouling. The Korea Institute Of Maritime Law, Vol. 30, No. 1, pp. 139-173. 

  30. Thomas, K. V. and S. Brooks(2010), The environmental fate and effects of antifouling paint biocides, Biofouling, Vol. 26, No. 1, pp. 73-88. 

  31. Woods, C., O. Floerl, I. Fitridge, O. Johnston, K. Robinson, D. Rupp, N. Davey, N. Rush and M. Smith(2007), Evaluation of the seasonal efficacy of hull cleaning methods, Biosecurity New Zealand Technical Report, ZBS2005-22, p. 119. 

  32. Yebra, D. M., S. Kiil and K. Dam-Johansen(2004), Antifouling technology - past, present and future steps towards efficient and environmentally friendly antifouling coatings, Progress in organic coatings, Vol. 50, No. 2, pp. 75-104. 

  33. Zhou, J. L.(2008), Occurrence and persistence of antifouling biocide Irgarol 1051 and its main metabolite in the coastal waters of Southern England, Science of the total environment, Vol. 406, No. 1-2, pp. 239-246.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