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건설현장 물체에 맞음 사고 저감을 위한 줄걸이 작업 전문 자격제도 도입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Introduction of a Rigging and Slinging Certificate System to Reduce a Struck by Object Accidents 원문보기

한국안전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afety, v.33 no.5, 2018년, pp.92 - 100  

염춘호 (서울시립대학교 국제도시과학대학원) ,  이진호 (대림산업(주) 토목SQ팀) ,  박현 (서울시립대학교 국제도시과학대학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Industrial Accidents in 2016' by Ministry of Employment and Labor, the number of deaths caused by accidents in the construction field is 391, accounting for 47% of 826 industrial fatalities in all industries. The breakdown of the 391 fatalities of the construction indus...

주제어

표/그림 (12)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먼저 문헌고찰을 통해 국내외 줄걸이 작업과 관련한 연구를 검토하여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한다. 다음으로 국내와 안전관리 선진 4개국의 줄걸이 작업 관련 안전사고를 분석하고 교육을 포함한 관련 제도 등도 검토하여 개선방안을 확인하고자 한다. 또한 국내 건설현장에 줄걸이 작업자 자격부여 및 등급관리 시범운용을 실시하고 전문 줄걸이 작업 근로자와 건설 분야 관리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한다.
  • 이를 위해 물체에 맞음 사고의 주요 원인 중 하나인 줄걸이 작업 안전사고 저감을 위한 줄걸이 작업 전문 자격제도의 필요성을 검토 및 분석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또한 연구 목적 달성을 위해 국내 줄걸이 작업 현황에 대한 분석, 관련 실무자 설문조사와 함께 국외 줄걸이 관련 선진제도 등을 검토하여 현실성 있고 실효성 있는 제도 개선방안을 연구하고자 한다.
  • 먼저 문헌고찰을 통해 국내외 줄걸이 작업과 관련한 연구를 검토하여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한다. 다음으로 국내와 안전관리 선진 4개국의 줄걸이 작업 관련 안전사고를 분석하고 교육을 포함한 관련 제도 등도 검토하여 개선방안을 확인하고자 한다.
  • 본 연구를 통해 ‘물체에 맞음’ 재해의 한 부분을 구성하는 줄걸이 작업 안전사고를 줄이기 위해 줄걸이작업 전문자격제도 도입을 분석하고 연구했다.
  • 본 연구를 통해 건설 분야 주요 사망사고의 하나인‘물체에 맞음’ 사고를 줄일 수 있는 방안을 찾고자 한다.
  • 본 절에서는 ‘물체에 맞음’사고를 줄이기 위한 줄걸이 작업 관련 국내외 사고 분석, 관련 제도 검토, 줄걸이 자격제도 시범운영 및 설문조사를 통해 줄걸이 작업 관련 안전사고의 저감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 이를 바탕으로 ‘물체에 맞음’ 재해의 주요 원인인 줄걸이 작업 안전사고에 대한 개선방안을 도출하는 방향으로 본 연구를 수행하고자 한다.
  • 본 연구를 통해 건설 분야 주요 사망사고의 하나인‘물체에 맞음’ 사고를 줄일 수 있는 방안을 찾고자 한다. 이를 위해 물체에 맞음 사고의 주요 원인 중 하나인 줄걸이 작업 안전사고 저감을 위한 줄걸이 작업 전문 자격제도의 필요성을 검토 및 분석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또한 연구 목적 달성을 위해 국내 줄걸이 작업 현황에 대한 분석, 관련 실무자 설문조사와 함께 국외 줄걸이 관련 선진제도 등을 검토하여 현실성 있고 실효성 있는 제도 개선방안을 연구하고자 한다.
  • 이에 본 연구를 통해 건설 분야 ‘물체에 맞음’ 사고를 줄이기 위한 줄걸이 작업의 전문 자격제도에 대한 심층적인 검토와 분석을 실시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줄걸이 작업의 장단점은? 줄걸이 작업은 건설업 외에도 제조업, 전기⋅가스⋅수도업 및 운수⋅창고⋅통신업등 다양한 산업분야에서 필요하다. 평면적 공간이 넓은 장소에서 이루어지는 이동작업의 경우 운반 장비를 이용하여 무리 없이 작업을 할 수 있으나, 공간이 좁거나 장애물이 있는 경우, 또는 중량물을 낮은 장소에서 높은 장소로 또는 반대의 경우 등 수직⋅수평적인 운반작업을 위해서는 줄걸이 용구와 양중장비를 조합하여야만 이동작업이 가능하다.
줄걸이 작업이란? 줄걸이 작업은 중량물에 와이어로프, 체인, 섬유벨트 등의 줄걸이 용구 및 샤클, 소켓 등 줄걸이 보조용구를 조합 후 훅에 걸어 윈치, 호이스트, 데릭, 크레인 등의 동력을 이용하여 원하는 위치로 이동시키는 일련의 작업을 의미하며, 고도의 숙련을 요하는 매우 위험한 작업으로 분류된다14). 줄걸이 작업은 건설업 외에도 제조업, 전기⋅가스⋅수도업 및 운수⋅창고⋅통신업등 다양한 산업분야에서 필요하다.
줄걸이 작업이 활용되는 분야는? 줄걸이 작업은 중량물에 와이어로프, 체인, 섬유벨트 등의 줄걸이 용구 및 샤클, 소켓 등 줄걸이 보조용구를 조합 후 훅에 걸어 윈치, 호이스트, 데릭, 크레인 등의 동력을 이용하여 원하는 위치로 이동시키는 일련의 작업을 의미하며, 고도의 숙련을 요하는 매우 위험한 작업으로 분류된다14). 줄걸이 작업은 건설업 외에도 제조업, 전기⋅가스⋅수도업 및 운수⋅창고⋅통신업등 다양한 산업분야에서 필요하다. 평면적 공간이 넓은 장소에서 이루어지는 이동작업의 경우 운반 장비를 이용하여 무리 없이 작업을 할 수 있으나, 공간이 좁거나 장애물이 있는 경우, 또는 중량물을 낮은 장소에서 높은 장소로 또는 반대의 경우 등 수직⋅수평적인 운반작업을 위해서는 줄걸이 용구와 양중장비를 조합하여야만 이동작업이 가능하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OSHRI, "Analysis of Industrial Accidents in 2016", KOSHA, 2017. 

  2. R. E. Levitt and N. M. Samelson, "Construction Safety Management", John Wiley & Sons, 1993. 

  3. J. H. Kim, "A Study on Protective Purposes and Intents of Use of Safety Helmets as for Reduction of Falls", J. Korean Soc. Saf., Vol. 28, No. 5, pp. 83-89, 2013. 

  4. E. J. Kim and H. S. Ahn, "Effective Disaster Risk Management Measures Fall", J. Korean Soc. Saf., Vol. 27, No. 2, pp. 41-47, 2012. 

  5. H. J. Kim and S. W. Baek, "A Study on the Cause Analysis of Fall Accidents at Temporary Construction Sites", J. Korean Soc. Saf., Vol. 25, No. 1, pp. 62-64, 2010. 

  6. H. S. Kim, S. W. Lee, W. J. Cheong and B. H. Ryu, "A Study on the Preventive Measures against Fall Injuries in Manufacturing Industry Focusing on the Portable Ladders", J. Korean Soc. Saf., Vol. 24, No. 6, pp. 136-143, 2009. 

  7. J. H. Kim and E. S. Kim, "Forensic Engineering Study on the Evaluation of the Structural Stability of the Mobile Crane Accident", J. Korean Soc. Saf., Vol. 28, No. 3, pp. 11-17, 2013. 

  8. W. C. Shin and Y. S. Hong, "The Development of the Slope Monitoring System(SMS) ofthe Tower Crane", J. Korean Soc. Saf., Vol. 25, No. 6, pp. 60-64, 2010. 

  9. G. H. Shim and D. H. Rie, "A Quantitative Risk Analysis of Related to Tower Crane Using the FMEA", J. Korean Soc. Saf., Vol. 25, No. 6, pp. 34-39, 2010. 

  10. J. H. Park, T. J. Park, H. G. Lim and E. H. Seo, "Analysis of Crane Accidents by Using a Man-Machine System Model", J. Korean Soc. Saf., Vol. 22, No. 2, pp. 59-66, 2007. 

  11. D. H. Kee and W. K. Kim, "Status of Fatal Crane Accidents and Their Safety Measures", J. Korean Soc. Saf., Vol. 20, No. 1, pp. 137-142, 2005. 

  12. OSHRI, "A Study on Cause Analyses of Fatal Insuries by the Mobile Cranes", KOSHA, 2014. 

  13. H. H. Cho, "Protecting Workers from Dangerous Work in Occupational Safety and Heath Act", The Journal of Labor Law, Vol. 42, No. 4, pp. 69-121, 2018. 

  14. KOSHA, Rigging and Slinging Safety, 2007. 

  15. MOEL,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Act, 2017. 

  16. MOEL, Orders on Mistry of Employment and Labor, 2017 

  17. MOEL, Regulations for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Act, 2017. 

  18. C. W. Park, "A Study on Improvement of the Special Safety Training for the Slinging Work at the Construction Site", Incheon University, 2014. 

  19. J. W. Lee, C. H. Han, Y. J. Woo, J. H. Lee and C. H. Lee,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Rigging and Slinging Course for Seafares", Journal of Fishries and Marine Sciences Education, Vol. 28, No. 6, pp. 1561-1572, 2016. 

  20. Y. A. Onur, "Investigation of the Effect of the Sling Angle and Size on the Reliability of Lifting Hooks", Simulation, pp. 1-12, 2017. 

  21. U.S. Department of Energy, Synthetic Sling Failure - Evaluations and Recommendations, 2009. 

  22. A. Shapira and B. Lyachin, "Identification and Analysis of Factors Affecting Safety on Construction Sites with Tower Cranes", Journal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Vol. 135, No. 1, pp. 24-33, 2009. 

  23. J. E. Beavers, J. R. Moore, R. Rinehart and W. R. Schriver, "Crane-related Fatalities in the Construction Industry", Journal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Vol. 132, No. 9, pp. 901-910, 2006. 

  24. Singapore WSH Council, WSH Statistic & Resources, www.wshc.sg. 

  25. Japan Ministry of Health, Labour and Welfare, www.mhlw.go.jp. 

  26. U.K. Health and Safety Executive, Reporting of Injuries, Diseases and Dangerous Occurrences Regulations, www.hse.gov.uk. 

  27. U.S. Bureau of Labor Statistics, Census of Fatal Occupational Injuries, www.bls.gov. 

  28. PLASA, Professional Lighting and Sound Association, www.plasa.org. 

  29. U.S. OSHA, Safety and Health Regulations for Construction, www.osha.gov.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