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국민 건강보험 급여 한약 처방 56종의 치매 주요 생리지표 및 신경세포 변화에 대한 효능 비교 연구
Screening of 56 Herbal formulas covered by the National Health Insurance Service on Dementia-related Factors 원문보기

Journal of Korean Medicine = 대한한의학회지, v.39 no.3, 2018년, pp.1 - 16  

임혜선 (한국한의학연구원 임상의학부) ,  김유진 (한국한의학연구원 임상의학부) ,  김윤주 (한국한의학연구원 임상의학부) ,  김부여 (한국한의학연구원 임상의학부) ,  정수진 (한국한의학연구원 임상의학부)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56 herbal formulae covered by the National Health Insurance Corporation (NHIC) on dementia-related biomarkers and neuronal cell changes. Methods: The 56 herbal formulae were extracted with 70% ethanol at $100^{\circ}C$

Keyword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 본 연구에서는 추가적으로 56종의 건강보험급여 기준 처방의 치매 병리기전에서의 주요 효능 평가지표들의 변화를 측정하여 이들의 유효성에 대한 과학적 근거를 구축하고자 하였다. 치매의 생리지표인 아세틸콜린 분해효소(acetylcholinesterase) 활성 및 아밀로이드 베타(amyloid-β, Aβ) 단백질 응집에 대한 효능과 자유 라디칼 소거능 측정을 통한 항산화 효능을 검색하였다.
  • 아세틸콜린분해효소의 활성화 및 아밀로이드 베타의 응집은 치매환자에서의 주요 현상으로 알려져 있다17, 22). 따라서 56종 처방들의 아세틸콜린 분해효소 활성 및 아밀로이드 베타 응집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였다. 56종 처방 중 9종이 아세틸콜린 분해효소의 활성을 저해하였다(당귀육황탕, 반하사심탕, 삼황사심탕, 청위산, 황련해독탕, 반하백출천마탕, 자음강화탕, 청서익기탕, 회춘양격산) (Table 1).
  • . 따라서 주요 바이오마커들의 활성에 효과를 나타낸 10종 한약처방들의 신경세포 손상에 대한 보호 효능에 대한 평가를 실시하였다. HT22 마우스 유래 신경 해마 세포주를 사용하였으며 각각 처방들의 세포 독성을 측정하여 HT22 세포에 대한 비독성 농도 범위에서 다음의 실험을 수행하였다(Table 2).
  • 활성화된 미세아교세포는 NO를 비롯한 염증 매개 물질을 분비를 촉진한다24). 본 연구에서는 항뇌염증 효능을 평가하기 위하여 10종 한약처방의 NO 생성에 미치는 영향을 측정하였다. BV-2 미세아교세포주의 세포독성을 평가한 다음(Table 3), 비독성 범위의 다양한 농도로 한약처방 추출물을 처리하고, LPS를 처리하여 염증 반응을 유도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국민건강보험 급여 한약처방 56종의 치매 관련 평가 지표에 대한 영향을 분석하여 유효처방의 과학적 근거를 확보하고자 하였다. 한약처방 56종 중 당귀육황탕, 반하사심탕, 청위산, 황련해독탕, 반하백출천마탕, 자음강화탕, 청서익기탕, 회춘양격산이 아세틸콜린분해효소 활성 저해 효능을 보였고, 도인승기탕이 아밀로이드 베타 응집 억제 효능을 나타내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2017년 한방건강보험의 급여범위는? 우리나라의 한방 건강보험은 1984년부터 1986년까지 시범사업을 거쳐 1987년부터 건강보험 피보험자에게 전국적으로 확대 실시되었다. 2017년 현재 한방건강보험의 급여범위는 진찰료, 검사, 처치, 시술, 한방요법, 입원료, 식대, 약제 항목이 포함되어 있으며, 이 중 약제 항목에는 혼합엑스산제 56종과 단미엑스산 제 68종이 포함되어 있다1). 과거에는 한약은 보약이라는 인식이 강하여 치료보다는 예방의 역할이 더 강하게 부각 되었었으나, 실제 한약은 전통적으로 치료약으로 사용되어 온 것이 사실이다.
국민건강보험 급여 한약처방 56종의 치매 관련 평가 지표에 대한 영향을 분석한 결과는? 본 연구에서는 국민건강보험 급여 한약처방 56종의 치매 관련 평가 지표에 대한 영향을 분석하여 유효처방의 과학적 근거를 확보하고자 하였다. 한약처방 56종 중 당귀육황탕, 반하사심탕, 청위산, 황련해독탕, 반하백출천마탕, 자음강화탕, 청서익기탕, 회춘양격산이 아세틸콜린분해효소 활성 저해 효능을 보였고, 도인승기탕이 아밀로이드 베타 응집 억제 효능을 나타내었다. 또한 삼황사심탕은 두 가지 지표 모두에 효과를 나타내었다. 치매 주요지표에 대한 효능이 확인된 총 10종 처방들은 항산화 활성, 신경세포보호, 뇌염증 억제에 대한 효능이 있음이 확인되었다. 향후 이들 처방들에 대하여 치매 동물 모델에서 유효성 검증이 필요할 것이다.
서양의학에서 치매의 정의는? 현재 우리 정부에서는 ‘치매국가책임제’를 통한 치매에 대한 관리, 예방 및 치료 등에 대한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고, 이 시점에서 치매의 예방 및 치료에 대한 한의학의 역할 및 위치를 확고히 할 필요가 있다. 서양의학에서 치매의 정의는 여러 가지 원인에 의하여 뇌기능이 급격히 손상 및 저하되는 상태를 말하며, 치매관리법에서는 퇴행성 뇌질환 또는 뇌혈관계 질환등으로 인하여 기억력, 언어능력, 지남력, 판단력 및 수행능력 등의 기능이 저하됨으로써 일상생활에서 지장을 초래하는 후천적인 다발성 장애로 정의하고 있다2). 한의학에서는 매병, 건망, 치병 등의 범주에 속하며 기혈을 소통시켜 담과 어혈을 없애 몸을 보하는 치료를 적용하고 있다3).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2)

  1. Son CH, Kim YH, Lim S. A Study on Korean Oriental Medical Doctors' Use of Uninsured Herbal Extracts and How to Promote the Insurance Coverage of Such Herbal Extracts. J Korean Oriental Med. 2009;30(4):64-78. 

  2. Burns A1, Iliffe S. Dementia. BMJ. 2009;338:b75. 

  3. Akhondzadeh S, Abbasi SH. Herbal medicine in the treatment of Alzheimer's disease. Am J Alzheimers Dis Other Demen. 2006;21(2):113-8. 

  4. Cho HY, Hong SS, Whang WW, Cho SH. A Retrospective Study on Dementia Outpatients in Oriental Neuropsychiatry Clinic of One Medical Center. J of Oriental Neuropsychiatry. 2010;21(4):137-49. 

  5. Kim BG, Hyun KC, Kim JW, Whang WW. A Clinical Study on the Effects of Oriental Medical Treatment on Dementia of Alzheimer type. J of Oriental Neuropsychiatry. 1998;9(1);25-43. 

  6. Terasawa K, Shimada Y, Kita T, Yamamoto T, Tosa H, Tanaka N, et al. Choto-san in the treatment of vascular dementia: a double-blind, placebo-controlled study. Phytomedicine. 1997;4(1):15-22. 

  7. Matsuda Y, Kishi T, Shibayama H, Iwata N. Yokukansan in the treatment of behavioral and psychological symptoms of dementia: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of randomized controlled trials. Hum Psychopharmacol. 2013;28(1):80-6. 

  8. Lim HS, Kim Y, Kim OS, Jeong SJ. Screening of 50 Korean Herbal formulas with Inhibitory Effects on Acetylcholinesterase Activity and Amyloid- $\beta$ Aggregation. Kor J Pharmacogn. 2016;47(3):287-294. 

  9.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Notice. No. 2014-56. 2014 Apr 18. 

  10. Lim HS, Ha H, Seo CS, Jin SE, Kim Y, Jeon WY, et al. Comparative study on efficacies and ingredient contents of different solvent extracts of Insampaedok-san. Kor. J. Herbology. 2012:27(6):115-122. 

  11. Ellman GL, Courtney KD, Andres VJr, Feather-Stone RM. A new and rapid colorimetric determination of acetylcholinesterase activity. Biochem Pharmacol. 1961;7:88-95. 

  12. Habtemariam S. The therapeutic potential of Berberis darwinii stem-bark: quantification of berberine and in vitro evidence for Alzheimer's disease therapy. Nat Prod Commun 2011:6(8): 1089-90. 

  13. Hellstrand E, Boland B, Walsh DM, Linse S. Amyloid $\beta$ -protein aggregation produces highly reproducible kinetic data and occurs by a two-phase process. ACS Chem. Neurosci. 2010;1:13-8. 

  14. Lemkul JA, Bevan DR. Morin inhibits the early stages of amyloid $\beta$ -peptide aggregation by altering tertiary and quaternary interactions to produce "off-pathway" structures. Biochemistry. 2012:51(30):5990-6009. 

  15. Re R, Pellegrini N, Proteggente A, Pannala A, Yang M, Rice-evans C. Antioxidant activity applying an improved ABTS radical cation decolorization assay. Free Radical Biol Med. 1999;26:1231-7. 

  16. Prince M, Ali GC, Guerchet M, Prina AM, Albanese E, Wu YT. Recent global trends in the prevalence and incidence of dementia, and survival with dementia. Alzheimers Res Ther. 2016;8(1):23. 

  17. Raina P, Santaguida P, Ismaila A, Patterson C, Cowan D, Levine M, et al. Effectiveness of cholinesterase inhibitors and memantine for treating dementia: evidence review for a clinical practice guideline. Ann Intern Med. 2008;148(5):379-97. 

  18. Naik RS, Hartmann J, Kiewert C, Duysen EG, Lockridge O, Klein J. Effects of rivastigmine and donepezil on brain acetylcholine levels in acetylcholinesterase-deficient mice. J Pharm Pharm Sci. 2009;12:79-85. 

  19. Ames BN, Shigenaga MK, Hagen TM. Oxidants, antioxidants, and the degenerative diseases of aging. Proc Natl Acad Sci USA. 1993;90:7915-7922. 

  20. Koo JS, Seo BI, Park JH, Roh SS. Analysis of papers on Oriental herbal medicines(prescriptions and herbs) for dementia. Kor J Herbology. 2010;25:131-137. 

  21. Kim W, Jeon W, Heo E, Park S, Han C. Literature review and suggestions: dementia clinical studies in Korean Oriental Medicine. Kor J Orient Med. 2011;17:39-46. 

  22. Vetrivel KS, Thinakaran G. Amyloidogenic processing of betaamyloid precursor protein in intracellular compartments. Neurology. 2006;66:S69-73. 

  23. Eikelenboom P, van Gool WA. Neuroinflammatory perspectives on the two faces of Alzheimer's disease. J Neural Transm. 2004;111:281-94. 

  24. Liu B, Hong JS. Role of microglia in inflammation-mediated neurodegenerative diseases:mechanisms and strategies for therapeutic intervention. J Pharmacol Exp Ther. 2003;304:1-7. 

  25.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Notice. No. 2015-35. 2015 Feb 23. 

  26. Hsu YL, Kuo PI, Tzeng TF, Sung SC, Yen MH, Lin YT, et al. Huang-lian-jie-du-tang, a traditional Chinese medicine prescription, induces cell-cycle arrest and apoptosis in human liver cancer cells in vitro and in vivo. J Gastroenterol Hepatol. 2008;23:e290-9. 

  27. Lu J, Wang JS, Kong LY. Anti-inflammatory effects of Huang-Lian-Jie-Du decoction, its two fractions and four typical compounds. J Ethnopharmacol. 2011;134:911-8. 

  28. Sasaki K, Sudo T, Kurusu T, Kiuchi T, Yoshizaki F. The mechanism of alteration of monoamine metabolism in brain regions in marble burying behavior-isolated housing mice and effect of oren-gedoku-to on this alteration. Yakugaku Zasshi. 2000;120(6):559-67. 

  29. Chung SY, Kim JW, Lee JR, Jang HH, Kim HT, Whang WW. The Effects of Whangryonghaedoktang on Morris Water Maze and Tyrosine Hydroxylase Expression in Ventral Tegmental Area and Locus Coeruleus of the Chronic Mild Stress Animal Model of Depression. J of Oriental Neuropsychiatry. 2003;14(1):1-16. 

  30. Guoxin DU, Shangqin LIU, Xiaoxi XIE, Li HE, Xiaoling ZHU, Wenyu RONG, et al. The efficacy of Huang-Lian-Jie-Du-Tang combined with chemotherapy for multiple myeloma. J Clinical Hematology. 2012;25(5):306-8. 

  31. Sao L, Goto K, Shimada Y, Terasawa Y. Clinical comparative study of Huangyang detoxification hot water boiled rhubarb and atorvastatin for hyperlipidemia: including diet control, comparison with Placebo. Japan Toyo Kagaku Journal. 2004;55:236. 

  32. Tohru S. Significance of Combined Use of Huangyaku Toxin for Insomnia in Manic Condition. Journal of Japan Toyo Medical Journal. 2004;55:179. 

  33. Kim HY, Shin SH, Lee I. Neuroprotective Effect of Hwangryunhaedok-tang Against Glucosedeprivation Induced Cytotoxicity in PC-12 Cells. Korean J Oriental Physiology & Pathology. 2008;22(6):1462-9. 

  34. Qing F, Xiaoping Z, Jianwei M, Mei S. The therapeutic effect of Huanglian Jiedu Decoction on AD rats and its effect on cytokine content. J of Tradit Chin Med. 2004;29(6):575-8. 

  35. Qiu Y, Chen G, Mei G, Wang W, Wang K, Pan S. Effect of Huanglian Jiedu Decoction on free radical metabolism and IL-6, IL- $1{\beta}$ content in brain tissue of mice with APP/PS1 double transgenic Alzheimer's disease. Stroke and neurological diseases. 2011;18(2):72-4. 

  36. Chen G, Shan P, Qiu Y. Clinical study of Huanglian Jiedu Decoction in the treatment of senile dementia (Heart and Liver). Chinese Journal of Emergency Medicine. 2007;16(4):386-7. 

  37.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Notice. No. 2017-214. 2017 Nov 27. 

  38. Lee JY, Kook YB. Effects of Samhwangsasimtang on obesity-related metabolic disease in mice. Herbal formula science. 2014;22(1):93-104. 

  39. Lee HC, Jeong MY, Choi JH, Park SY. Effects of Samhwangsasim-tang Gamibang on Atopic Dermatitis in Mice. Herbal formula science. 2017;25(3)337-47. 

  40. Koo JS, Kwon DK, Seo BI, Park JH, Roh SS, Kim SM, et al. The Antimicrobial Activity of Samhwangsasimtang against pseudomonas aeruginosa 38 isolated from an acne patient. Kor J Herbology. 2010;25(2):11-9. 

  41. Seok SH, Kim JH, Kim GW, Koo BS. A case of insomnia incurable by neuropsychiatric medication alone, but made possible with Sam-Hwang-Sa-Sim-Tang. J of Oriental Neuropsychiatry. 2006; 17(3):117-29. 

  42. Shin SU, Lee JS, Kim SS. Effect of modified Samhwangsasim-tang(三黃瀉心湯加味方) on Suspicious Dementia of Multiple Infarction Induced by Hypoxia: A Case ReportJ Oriental Rehab Med. 2001;11(2):219-26 

저자의 다른 논문 :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