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간호대학생의 환자안전관리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Factors Influencing the Patient Safety Management Activity of Nursing Students 원문보기

한국간호교육학회지 =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v.24 no.4, 2018년, pp.358 - 366  

장경숙 (청주대학교 간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level of knowledge and attitude of patient safety and patient safety management activity (PSMA) and identify influencing factors of PSMA in nursing students. Methods: The participants were 210 fourth-year nursing students in C and G city. Data ...

주제어

표/그림 (4)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4학년 간호대학생은 졸업과 동시에 의료진의 한 구성원이 되어 복잡한 의료 시스템에서 환자의 안전을 보장할 수 있어야 하므로 학부과정에서 부터 임상에서 요구되는 수준의 환자안전에 대한지식 태도 기술로 구성된 역량을 갖춰야 한다. 따라서 간호대학생의 환자안전에 대한 지식과 태도 환자안전관리활동 정도를 파악하고, 환자안전관리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규명하여 간호대학생의 환자안전역량을 강화할 수 있는 교육과정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4학년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환자안전에 대한지식 태도와 환자안전관리활동 정도를 파악하고 환자안전관리 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규명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본연구결과를 통해 대상자의 환자안전지식은 보통수준이었으며,태도는 긍정적이었고 환자안전관리활동은 높은 수준이었다.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환자안전에 대한 지식과 태도 및 환자안전관리활동 정도를 확인하고 환자안전관리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환자안전에 대한 지식과 태도 및 환자안전관리활동의 정도를 파악하고 환자안전관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여 간호대학생의 환자안전관리활동을 향상시키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되었다.
  • 본 연구의 목적은 간호대학생의 환자안전에 대한 지식과 태도 및 환자안전관리활동 정도를 파악하고 환자안전관리활동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규명하고자 함이며, 이를 위한 구체적 목적은 다음과 같다.
  • Park과 Park (2014)은 간호학과 4학년을 대상으로 환자안전에 대한 지식, 태도 및 수행자신감과의 관계를 연구하였으나, 환자안전관리활동의 영향요인에 대한 추후 연구를 제시하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4학년을 대상으로 하여, 환자안전관리활동 수준을 파악하고 영향요인을 규명하고자 한다. 4학년 간호대학생은 졸업과 동시에 의료진의 한 구성원이 되어 복잡한 의료 시스템에서 환자의 안전을 보장할 수 있어야 하므로 학부과정에서 부터 임상에서 요구되는 수준의 환자안전에 대한지식 태도 기술로 구성된 역량을 갖춰야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환자안전사고가 사회적으로 중요한 보건문제로 뽑히는 이유는 무엇인가? 병원에서 발생하는 환자안전사고는 환자의 생명을 위협할 뿐 만 아니라, 의료서비스의 질에 심각한 영향을 끼치는 사회적으로 중요한 보건문제이다. 환자안전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증가하고 중요한 보건의료 문제로 대두되기 시작한 것은 미국 의료환경에서 의료과오로 사망하는 사람이 1년에 48,000-98,000명으로 자동차사고(43,458명), 유방암(42,297명), 후천성면역결핍증(Acquired Immune Deficiency Syndrome, AIDS)(16,516명)으로 인한 사망보다 더 많은 것으로 보고되면서 부터이다(Kohn, Corrigan, & Donaldson, 2000).
우리나라의 환자안전사고 발생의 원인은 무엇인가? 3%)순으로 발생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우리나라의 경우 자율보고로 접수된 2017년 환자안전사고는 낙상(49.7%) 및 약물오류(28%)가 전체의 77.7%로 가장 많았으며, 이중 약물 오류 유형은 의사의 처방오류(43.8%), 간호사의 투약 과정 실수(34.2%), 약사의 조제오류(20.1%)순으로 발생했다(Korea Institute for Healthcare Accreditation. 2018).
환자안전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증가하고 중요한 보건의료 문제로 대두되기 시작한 이유는 무엇인가? 병원에서 발생하는 환자안전사고는 환자의 생명을 위협할 뿐 만 아니라, 의료서비스의 질에 심각한 영향을 끼치는 사회적으로 중요한 보건문제이다. 환자안전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증가하고 중요한 보건의료 문제로 대두되기 시작한 것은 미국 의료환경에서 의료과오로 사망하는 사람이 1년에 48,000-98,000명으로 자동차사고(43,458명), 유방암(42,297명), 후천성면역결핍증(Acquired Immune Deficiency Syndrome, AIDS)(16,516명)으로 인한 사망보다 더 많은 것으로 보고되면서 부터이다(Kohn, Corrigan, & Donaldson, 2000). 외국의 병원 내 유해사건에 대한 체계적 문헌고찰 결과 유해 사례 발생 확률은 9.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6)

  1. Chenot, T. M., & Daniel, L. G. (2010). Frameworks for patient safety in the nursing curriculum. Journal of Nursing Education, 49(10), 559-568. http://dx.doi.org/10.3928/01484834-20100730-02 

  2. Cho, S. S., & Gang, M. H. (2013). Perception of patient safety culture and safety care activity of entry-level nurses.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Nursing, 22(1), 24-34. http://dx.doi.org/10.11111/jkana.2011.17.4.462 

  3. Choi, S. H., & Lee, H. (2015). Factors affecting nursing students' practice of patient safety management in clinical practicum.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21(2), 184-192. http://dx.doi.org/10.11111/jkana.2015.21.2.184 

  4. Cronenwett, L., Sherwood, G., Barnsteiner, J., Disch, J., Johnson, J., Mitchell, P., et al. (2007). Quality and safety education for nurses. Nursing Outlook, 55(3), 122-131. http://dx.doi.org/10.1016/j.outlook.2007.02.006 

  5. Cunningham, J. B., & McCrum-Gardner, E. (2007). Power, effect and sample size using GPower: Practical issues for researchers and members of research ethics committees. Evidence-Based Midwifery, 5(4), 132-137. 

  6. de Vries, E. N., Ramrattan, M. A., Smorenburg, S. M., Gouma, D. J., & Boermeester, M. A. (2008). The incidence and nature of in-hospital adverse events: A systematic review. The British Medical Journal Quality & Safety, 17(3), 216-223. http://dx.doi.org/10.1136/qshc.2007.023622 

  7. Flin, R., Patey, R., Jackson, J., Mearns, K., & Dissanayaka, U. (2009). Year 1 medical undergraduates' knowledge of and attitudes to medical error. Medical Education, 43(12), 1147-1155. http://dx.doi.org/10.1111/j.1365-2923.2009.03499.x 

  8. Greiner, A. C., & Knebel, E. (2003). Health professions education: A bridge to quality. Retrieved July 6, 2018. from National Academy of Sciences Web site: https://www.nap.edu/catalog/10681 

  9. Ham, Y. L., Park, M. J., & Lee, H. Y. (2017). Knowledge, attitude and confidence on patient safety management among emergency medical technician students. The Korean Journal of Emergency Medical Services, 21(1), 75-85. http://dx.doi.org/10.14408/kjems.2017.21.1.075 

  10. Huh, S. S., & Kang, H. Y. (2015). The attitude of patient safety and patient safety management activity in nursing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16(8), 5458-5467. http://dx.doi.org/10.5762/KAIS.2015.16.8.5458 

  11. Hwang, J. I., Chin, H. J., & Chang, Y. S. (2014). Characteristics associated with the occurrence of adverse events: A retrospective medical record review using the global trigger tool in a fully digitalized tertiary teaching hospital in korea. Journal of Evaluation in Clinical Practice, 20(1), 27-35. http://dx.doi.org/10.1111/jep.12075 

  12. Jang, H., & Lee, N. J. (2017). Patient safety competency and educational needs of nursing educators in South Korea. PLoS One, 12(9), e0183536. http://dx.doi.org/10.1371/journal.pone.0183536 

  13. Kim, I. S., Park, M. J., Park, M. Y., Yoo, H. N., & Choi, J. H. (2013). Factors affecting the perception of importance and practice of patient safety management among hospital employees in korea. Asian Nursing Research, 7(1), 26-32. http://dx.doi.org/10.1016/j.anr.2013.01.001 

  14. Kim, M. S., & Kim, Y. H. (2012).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patient safety reporting promoting education program.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13(1), 284-295. http://dx.doi.org/10.5762/KAIS.2012.13.1.284 

  15. Kohn, L. T., Corrigan, J. M., & Donaldson, M. S. (2000). To err is human: Building a safer health system. Retrieved January 3, 2018, from National Academy of Sciences Web site: https://www.nap.edu/read/9728 

  16. Korea Institute for Healthcare Accreditation. (2016). Survey process guide for hospital accreditation (version 2.1). Retrieved September 10, 2018, from the Korea Institute for Healthcare Accreditation Web site: https://www.koiha.or.kr/member/kr/board/establish 

  17. Korea Institute for Healthcare Accreditation. (2018). 2017 Patient safety statistics annual report. Retrieved September 11, 2018, from the Korea Institute for Healthcare Accreditation Web site: https://www.kops.or.kr/portal. 

  18. Lee, H. Y. (2009). JCI accreditation and patient safety. Quality Improvement in Health Care, 15(1), 49-54. 

  19. Lee, S. I. (2015). Approaches to improve patient safety in healthcare organizations. Journal of the Korean Medical Association, 58(2), 90-92. http://dx.doi.org/10.5124/jkma.2015.58.2.90 

  20. Lee, S. I. (2016). Significance and challenges of patient safety law. Health and Welfare Policy Forum. 240, 2-4. 

  21. Madigosky, W. S., Headrick, L. A., Nelson, K., Cox, K. R., & Anderson, T. (2006). Changing and sustaining medical students' knowledge, skills, and attitudes about patient safety and medical fallibility. Journal of the Association of American Medical Colleges, 81(1), 94-101. 

  22. Park, J. H., & Park, M. H. (2014). Knowledge, attitude, and confidence on patient safety of undergraduate nursing students.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20(1), 5-14. http://dx.doi.org/10.5977/jkasne.2014.20.1.5 

  23. Schnall, R., Stone, P., Currie, L., Desjardins, K., John, R. M., & Bakken, S. (2008). Development of a self-report instrument to measure patient safety attitudes, skills, and knowledge. Journal of Nursing Scholarship, 40(4), 391-394. http://dx.doi.org/10.1111/j.1547-5069.2008.00256.x 

  24. The Joint Commission. (2013). Joint commission international accreditation standards for hospitals. Oakbrook Terrace, IL: The Joint Commission Resources. 

  25. Thomas, E. J., Studdert, D. M., Burstin, H. R., Orav, E. J., Zeena, T., Williams, E. J., et al. (2000). Incidence and types of adverse events and negligent care in Utah and Colorado. Medical care, 38(3), 261-271. 

  26. Yoo, H. N., & Lee, H. Y. (2014). The initial application of the patient safety management activity scale (PSM-A) for nursing students: Brief on reliability and validity.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16(6B), 3423-3436.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