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가뭄 분석을 위한 지하수위 모니터링 및 예측기법 개발(I) - 표준지하수지수(SGI)를 이용한 지하수 가뭄 모니터링
Development of groundwater level monitoring and forecasting technique for drought analysis (I) - Groundwater drought monitoring using standardized groundwater level index (SGI) 원문보기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v.51 no.11, 2018년, pp.1011 - 1020  

이정주 (한국수자원공사 물정보종합센터) ,  강신욱 (K-water융합연구원) ,  정지혜 (한국수자원공사 낙동강사업계획처) ,  전근일 (한국수자원공사 물정보종합센터)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미급수지역의 주요 수원인 지하수위 현황을 이용한 가뭄 모니터링 기법을 개발하기 위해 256개의 국가지하수관측망 관측 자료를 이용하여 관측소별, 월별 수위분포를 핵밀도함수로 추정하였다. 추정된 누적분포함수를 이용하여 월별 지하수위의 분위수를 구하고, 분위수를 정규화 하여 표준지하수지수(SGI)를 산정하였다. 관측소별로 산정된 SGI는 티센망을 이용하여 167개 시군별 SGI로 변환하였다. SGI의 범위에 따른 가뭄등급을 설정하여 시군별 지하수 가뭄 정도를 모니터링 할 수 있는 기법을 제시하였다. 이를 통해 계측이 이루어지지 않는 미급수지역의 지하수가뭄상황을 국가지하수관측망을 활용해 간접적으로 판단할 수 있도록 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ims to develop a drought monitoring scheme based on groundwater which can be exploit for water supply under drought stress. In this context, groundwater level can be used as a proxy for better understanding the temporal evolution of drought state. First, kernel density estimator is prese...

주제어

표/그림 (17)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국가 가뭄 예․경보 분석에 활용할 생․공용수분야 가뭄정보 분석 자료의 하나로서 지하수위 관측 자료를 이용한 미급수지역 가뭄 모니터링 기법을 개발하였다. 기존의 SPI6를 이용한 간접적인 가뭄상황 판단을 대신하여 미급수지역의 주 수원인 지하수의 수위현황을 가뭄 판단에 활용할 수 있는 기법을 개발하고자 하였으며, 소규모 급수시설의 지하수위 관측 자료가 전무한 현실을 반영하여 국가지하수관측망 자료를 이용해 지역별 지하수 가뭄 정도를 판단할 수 있도록 하였다. 가뭄 모니터링 과정에서 기상학적 인자인 SPI 대신 지하수위 관측자료를 이용한 가뭄 판단 기법으로의 개선은 가뭄 예․경보에서 생․공용수 가뭄 판단이 댐, 하천 등 수원의 현황을 토대로 작성되고 있는 것과 동일한 개념으로 미급수지역의 주 수원인 지하수 상황을 가뭄판단의 기초자료로 이용하게 되었다는 의미를 갖는다.
  • 지하수를 수원으로 하는 지방상수도 취수시설의 경우 취수를 위한 펌프시설 이외에 지하수위 관측시설이 전무한 실정이며, 이로 인해 대상 지하수 취수시설의 수위관측 자료를 직접 사용하여 가뭄모니터링에 활용할 수 없는 것이 현실이다. 따라서 전국에 산재한 지하수 공급․사용지역의 지하수위 변동 현황을 모니터링하기 위해 해당 지역의 국가 지하수관측망을 활용하고자 한다. 국가 지하수관측망은 지하수 수위 및 수질 변동을 지속적으로 감시․관측하기 위해 국토교통부에서 설치한 지하수 관측시설이다.
  • 본 연구에서는 국가 가뭄 예․경보 분석에 활용할 생․공용수분야 가뭄정보 분석 자료의 하나로서 지하수위 관측 자료를 이용한 미급수지역 가뭄 모니터링 기법을 개발하였다. 기존의 SPI6를 이용한 간접적인 가뭄상황 판단을 대신하여 미급수지역의 주 수원인 지하수의 수위현황을 가뭄 판단에 활용할 수 있는 기법을 개발하고자 하였으며, 소규모 급수시설의 지하수위 관측 자료가 전무한 현실을 반영하여 국가지하수관측망 자료를 이용해 지역별 지하수 가뭄 정도를 판단할 수 있도록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지하수 관측공별 가뭄판단 기준을 SGI 지수를 통해 일반화 하여 모니터링 할 수 있는 기법을 정립하고자 하였다. SGI는 Bloomfield and Marchant (2013)에 의해 제시된 지하수 가뭄지수로 평년 대비 지하수위의 높고 낮은 정도를 나타내는 표준화지수이다.
  • 서론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본 연구의 목적은 지하수 공급․ 사용지역의 수원으로서의 지하수위 현황을 분석하고 가뭄 예․경보를 위한 기초자료를 생성하는데 있다. 하지만 지하수를 수원으로 하는 소규모 급수시설은 전국에 걸쳐 1만 3천여 개에 달하며, 수위계측 등 기초자료가 전무한 상태이다.
  • 본 연구에서는 현행 가뭄 예․경보에서 채택하고 있는 주의, 심함, 매우심함 단계에 대한 경계를 백분위수 25%, 10%, 5% 미만인 경우로 설정하고, 이에 상응하는 SGI 값을 설정하였다. 설정한 기준은 가뭄 예․경보 분석에 시범 적용을 통해 검증 및 보완하고자 한다. Fig.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가뭄단계의 판단은 어떤 기준으로 하는가? 가뭄정보분석센터에서는 생활 및 공업용수 가뭄 예․경보를 위해 수원의 종류에 따라 댐, 하천, 저수지 및 기타로 구분하여 가뭄판단 기준을 수립하였다. 다목적댐 및 용수댐의 경우 용수공급조정기준의 대응단계에 상응하는 공급가능 저수량을 기준으로 가뭄단계를 판단한다. 하천의 경우 홍수통제소의 갈수예보 기준 유량으로 국가하천에 대한 가뭄판단을 수행하고, 수위-유량관계곡선의 신뢰도가 낮은 지방하천의 경우 유황분석을 통해 가뭄판단 기준수위를 설정하여 이용하고 있다.
가뭄정보분석센터에서 하는일은 무엇인가? 가뭄정보분석센터에서는 생활 및 공업용수 가뭄 예․경보를 위해 수원의 종류에 따라 댐, 하천, 저수지 및 기타로 구분하여 가뭄판단 기준을 수립하였다. 다목적댐 및 용수댐의 경우 용수공급조정기준의 대응단계에 상응하는 공급가능 저수량을 기준으로 가뭄단계를 판단한다.
가뭄판단 기준에 의거하여 판단하기 어려운 조건은 무엇인가? 하천의 경우 홍수통제소의 갈수예보 기준 유량으로 국가하천에 대한 가뭄판단을 수행하고, 수위-유량관계곡선의 신뢰도가 낮은 지방하천의 경우 유황분석을 통해 가뭄판단 기준수위를 설정하여 이용하고 있다. 문제는 지하수, 계곡수 등 계측이 이루어지지 않는 수원으로부터 용수를 수급하고 있는 미급수지역이다. 이러한 지역은 수원의 계측 값을 기반으로 한 가뭄판단 기준을 수립하기가 현실적으로 어려운 문제가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6)

  1. Bloomfield, J. P., and Marchant, B. P. (2013). "Analysis of groundwater drought building on the standardised precipitation index approach." Hydrology and Earth System Sciences, Vol. 17, pp. 4769-4787. 

  2. Bolstad, B. M., Irizarry, R. A., Astrand, M., and Speed, T. P. (2003). "A comparison of normalization methods for high density oligonucleotide array data based on variance and bias." Bioinformatics, Vol. 19, No. 2, pp. 185-193. 

  3. Choi, H. M., Lee, J. Y., Ha, K., and Kim, G. P. (2011). "The study on time series analysis of groundwater data and groundwater recharge in Jeju island." The Journal of Engineering Geology, Vol. 21, No. 4, pp. 337-348. 

  4. Chung, I. M., Lee, J., and Kim, N. W. (2011). "Estimating exploitable groundwater amount in Musimcheon watershed by using an integrated surface water-groundwater model." Economic and environmental geology, Vol. 44, No. 5, pp. 433-442. 

  5. Econnics (2010). British Columbia Drought Response Plan. Prepared for the Ministry of Environment on behalf of the Inter-Agency Drought Working Group, Report updated July 2016, accessed 1 May 2018, . 

  6. Jeon, H. T., and Kim, G. B. (2011). "Evaluation of interactions between surface water and groundwater based on temperature, flow properties, and geochemical data." The Journal of Engineering Geology, Vol. 21, No. 1, pp. 45-55. 

  7. Kim, G. B., and Lee, S. H. (2012). "Applicability of logistic regression model of groundwater levels to drought forecast." Journal of the Geological Society of Korea, Vol. 48, No. 3, pp. 275-284. 

  8. Kim, G. B., Choi, D. H., and Jeong, J. H. (2010). "Considerations on the specific yield estimation using the relationship between rainfall and groundwater level variations." The Journal of Engineering Geology, Vol. 20, No. 1, pp. 61-70. 

  9. Kim, N. W., Chung, I. M., and Won, Y. S. (2006). "An integrated surface water-groundwater modeling by using fully combined SWAT-MODFLOW model."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Vol. 26, No. 5B, pp. 481-488. 

  10. Kwon, H. J., and Kim, S. J. (2007). "Methodology of drought assessment using national groundwater monitoring network data."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Vol. 27, No. 2, pp. 193-199. 

  11. Lee, J. H., Hamm, S. Y., Cheong, J. Y., Jeong, J. H., Kim, K. S., Kim, N. H., and Kim, G. B. (2010). "Numerical simulation of the change in groundwater level due to construction of the Giheung tunnel." The Journal of Engineering Geology, Vol. 20, No. 4, pp. 449-459. 

  12. McKee, T. B., Doesken, N. J., and Kleist, J. (1993). "The relationship of drought frequency and duration to time scales." Preprints, 8th Conference on Applied Climatology, 17-22 January, Anaheim, CA, pp. 179-184. 

  13. MOLIT and K-water (2016). National Ground Water Monitoring Network in Korea Annual Report 2016, ISBN 11-1611000-000155-10, pp. 8-9. 

  14. National Drought Mitigation Centre (2018). Drought classification, accessed 30 April 2018, . 

  15. Silverman, B. W. (1986). "The kernel estimator." Density Estimation for Statistics and Data Analysis, London: Chapman and Hall. pp. 9-13. 

  16. USGS Groundwater Watch (2018). Active Groundwater Level Network, accessed 27 April 2018,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