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가뭄 분석을 위한 지하수위 모니터링 및 예측기법 개발(II) - 표준강수지수, 표준지하수지수 및 인공신경망을 이용한 지하수 가뭄 예측
Development of groundwater level monitoring and forecasting technique for drought analysis (II) - Groundwater drought forecasting Using SPI, SGI and ANN 원문보기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v.51 no.11, 2018년, pp.1021 - 1029  

이정주 (한국수자원공사 물정보종합센터) ,  강신욱 (K-water융합연구원) ,  김태호 (한국수자원공사 물정보종합센터) ,  전근일 (한국수자원공사 물정보종합센터)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미급수지역의 주요 수원인 지하수의 수위 변동 상황을 기반으로 한 미급수지역 가뭄 예보 기법 개발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지역화된 표준지하수지수(SGI)와 표준강수지수들(SPIs)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관측 지하수위로부터 산정된 SGI의 자기회귀 특성 및 지속기간별 SPI와 SGI의 상관관계를 동시에 고려할 수 있는 NARX (nonlinear autoregressive exogenous model) 인공신경망 모형을 이용하여 지역별 예측모형을 구축하였다. 학습기간 동안 관측 SGI와 모델 출력 SGI의 상관계수는 0.7 이상인 곳이 전체 167개 지역별 모형 중 146개(87%)로 상관성이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적용기간에 대해서는 평균제곱근오차와 상관계수로 모형을 평가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기상청에서 제공하는 59개 관측소별 강수량 전망 값으로부터 산정된 지속기간별 SPI와 관측된 지하수위를 이용한 지역별 SGI 전망이 가능하도록 하였으며, 미급수지역의 가뭄 예 경보를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이 가능토록 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 primary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drought forecasting technique based on groundwater which can be exploit for water supply under drought stress. For this purpose, we explored the lagged relationships between regionalized SGI (standardized groundwater level index) and SPI (standardize...

주제어

표/그림 (15)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SGI와 12개의 SPI 지수들 각각에 대해 상관성을 분석하여, 지하수위 거동 전망을 위한 예측인자로서 SPI를 이용하는 것에 대한 적정성을 검토함과 동시에 강수 누적 기간에 의한 지하수위 거동의 응답특성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Table 2는 청주, 음성 및 천안 지역에 대한 SGI와 SPI 상관성 분석 결과의 예시이다.
  • 가뭄 예·경보를 위해 매월 주기적으로 지하수 공급․사용지역의 가뭄판단을 지하수 관측자료 기반으로 수행하고, 기상전망 자료를 이용한 지하수 가뭄전망 분석이 빠르게 이루어질 수 있는 기법의 개발에 주안점을 두었다.
  • 또한 시·군별로 전망된 강수량으로부터 산정된 지속기간별 SPI와 학습된 지역별인공신경망 모형을 이용하여 시·군별 SGI를 예측할 수 있도록 하였다. 개발된 기법을 통해 미급수지역의 주요 수원인 지하수위 상황을 현재까지의 지하수위 관측 값과 기상청 장기 강수전망 자료를 이용하여 빠르게 전망함으로써 국가 가뭄 예·경보 분석의 지역별 가뭄정보 생성 및 판단의 기초자료로 활용이 가능토록 하였다.
  • 가뭄 예·경보를 위해 매월 주기적으로 지하수 공급․사용지역의 가뭄판단을 지하수 관측자료 기반으로 수행하고, 기상전망 자료를 이용한 지하수 가뭄전망 분석이 빠르게 이루어질 수 있는 기법의 개발에 주안점을 두었다. 따라서 강수 아노말리의 거동과 지하수위 거동 간의 지체시간을 둔 상관관계에 주목하였으며, 지하수위 관측 시계열의 자기상관성을 동시에 고려할 수 있는 데이터 기반 모형(data-driven model)을 통해 지하수 가뭄을 전망할 수 있는 기법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 또한 가뭄전망을 위해 기상청에서 제공하는 1~3개월 강수전망을 이용한 강우-유출분석을 수행하고, 수원별 수문전망을 토대로 가뭄전망 자료를 생성하고 있다. 미급수지역의 경우 기존 SPI6(6개월 누적 표준강수지수)를 이용한 간접적인 가뭄판단을 개선하기 위해 미급수지역의 주요 수원인 지하수위 관측 자료를 활용한 표준지하수지수(standardized ground water level index; SGI) 가뭄판단 기법을 본 연구의 전편을 통해 제시하였다. 지하수위 관측 자료를 이용해 산정된 SGI와 판단기준 범위에 의해 과거 및 현재의 월별 지하수 가뭄 정도는 판단할 수 있으나, 가뭄 예·경보에 활용하기 위해서는 1~3개월 SGI 전망이 동시에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 본 연구에서는 국가 가뭄 예·경보의 생·공용수 분야 가뭄정보 분석 자료의 하나로서 지하수위 관측 자료 및 기상전망 자료를 이용한 미급수지역 가뭄 전망 기법을 개발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기상청의 강수전망 자료를 이용하여 지역별 지하수 가뭄을 전망할 수 있는 기법 개발을 목적으로 하였다. 가뭄 예·경보를 위해 매월 주기적으로 지하수 공급․사용지역의 가뭄판단을 지하수 관측자료 기반으로 수행하고, 기상전망 자료를 이용한 지하수 가뭄전망 분석이 빠르게 이루어질 수 있는 기법의 개발에 주안점을 두었다.
  • 6의 왼쪽 부분인 Groundwater drought monitoring 부분에 해당한다. 본 연구의 목적인 지하수 가뭄 전망을 위해서는 SGI로 대변되는 지하수위의 거동이 어떻게 될 것인지 전망하는 것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지속기간별 SPI와 SGI의 상관관계를 인공신경망을 이용하여 학습시킨 후 기상청의 기상전망 자료로부터 산정한 지역별SPI 전망 값을 학습된 인공신경망에 입력하여 SGI를 전망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국가 가뭄 예·경보의 생·공용수 분야 가뭄정보 분석 자료의 하나로서 지하수위 관측 자료 및 기상전망 자료를 이용한 미급수지역 가뭄 전망 기법을 개발하였다. 전편의 연구를 통해 미급수지역의 주 수원인 지하수의 수위현황을 가뭄 판단에 활용할 수 있는 SGI 가뭄 모니터링 기법을 개발하였으며, 본 연구에서는 기상청의 강수량 정량 전망 자료를 이용하여 지하수위 변동을 빠르게 전망할 수 있는 기법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지속기간별 SPI와 SGI의 상관관계 및 SGI의 자기회귀 특성을 NARX 인공신경망을 이용하여 학습시켜 시·군별 예측모형을 구축하였다.
  • 즉, 자료의 시·공간적 해상도를 낮춤으로써 민감하게 움직이는 자료의 노이즈를 제거하고 거시적인 자료 거동 특성의 상관성을 명확하게 확인하고자 함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지하수위를 전망하는 기법은 어떤 기법이 주로 이용되는가? 지하수위를 전망하는 기법은 물리적 모형 또는 해석적 모형을 이용한 지역별 모델링 기법이 주로 이용된다. 하지만 이러한 방법은 모형의 구축과 매개변수 최적화 등에 많은 시간과 노력이 소요되며, 입력되는 자료의 변화나 공간적인 분석대상의 조정 등에 유연한 대처가 어렵고 모형의 실행 자체도 까다로운 경우가 많다.
강수량과 지하수위와 같이 자료간의 상관성이 높고, 선행원인과 응답 관계가 분명한 자료의 장점은 무엇인가? 강수량과 지하수위와 같이 자료간의 상관성이 높고, 선행원인과 응답 관계가 분명한 자료의 경우, 장기간 관측된 자료를 확보할 수 있다면 데이터 기반의 수치적 예측모형 구축이 충분히 가능하며, 이 경우 자료의 처리와 실행이 매우 빠르고 쉬워진다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기계학습(machine learning) 기법의 일종인 인공신경망(artificial neural network;ANN)을 이용해 지속기간별 표준강수지수(SPI1~12)와 표준지하수지수(SGI)의 상관관계에 기초한 데이터 기반 지하수 가뭄 전망체계를 구축하고 전국 시․군에 대해 적용하였다.
지역별 모델링 기법의 한계점은 무엇인가? 지하수위를 전망하는 기법은 물리적 모형 또는 해석적 모형을 이용한 지역별 모델링 기법이 주로 이용된다. 하지만 이러한 방법은 모형의 구축과 매개변수 최적화 등에 많은 시간과 노력이 소요되며, 입력되는 자료의 변화나 공간적인 분석대상의 조정 등에 유연한 대처가 어렵고 모형의 실행 자체도 까다로운 경우가 많다. 더군다나 분석 대상이 전국단위(167개 시․군 또는 3,482개 읍․면․동)로 확장되고, 분석 주기가 월간, 주간으로 빈번해질 경우 모형의 구축, 최적화, 갱신되는 입력 자료의 반영 및 실행 등이 빠르게 수행되기 어려운 것이 현실이다. 또한 가뭄 예․경보 일정상 기상청의 강수전망 자료가 매월 1일에 제공되면, 하루 이틀 사이에 전국에 대한 가뭄분석을 완료한 후 부처 간 협의, 지자체 확인 등을 거쳐 10일에 발표해야 하는 상황에서 복잡한 물리모형은 적용 및 활용에 한계가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5)

  1. Changnon, S. A., Huff, F. A., and Hsu, C. F. (1988). "Relations between precipitation and shallow groundwater in Illinois." Journal of Climate, Vol. 1, No. 12, pp. 1239-1250. 

  2. Changnon, S. A., Jr. (1987). Detecting drought conditions in Illinois, Illinois State Water Survey, Champaign, Circular 169. 

  3. Diaconescu, E. (2008). "The use of NARX neural networks to predict chaotic time series." WSEAS Transactions on Computer Research, Vol. 3, Issue 3, pp. 182-191. ISSN: 1991-8755. 

  4. Hagan, M. T., Demuth, H. B., Beale, M. H., and Jesus, O. (2014). Neural network design (2nd edition), Oklahoma State University, Stillwater, Oklahoma, U.S.A. ISBN: 0971732116. 

  5. Jan, C. D., Chen, T. H., and Lo, W. C. (2007). "Effect of rainfall intensity and distribution on groundwater level fluctuations." Journal of Hydrology, Vol. 332, Issues 3-4, pp. 348-360. 

  6. Kim, G. B., Yun, H. H., and Kim, D. H. (2006). "Relationship between standardized precipitation index and groundwater levels: A proposal for establishment of drought index wells." Journal of KoSSGE, Vol. 11, No. 3, pp. 31-42. 

  7. Kim, Y. (2014). "Time series prediction of dynamic response of a free-standing riser using quadratic Volterra Model." Journal of the Society of Naval Architects of Korea, Vol. 51, No. 4, pp. 274-282. 

  8. Lee, D. R., and Koo, H. (2000). "Analysis of groundwater recharge characteristics using relationship between rainfall and groundwater level."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Vol. 33, No. 1, pp. 51-59. 

  9. McKee, T. B., Doesken, N. J., and Kleist, J. (1995). "Drought monitoring with multiple time scales." Proceedings Ninth Conference on Applied Climatology, American Meteorological Society, Jan15-20, 1995, Dallas TX, pp. 233-236. 

  10. Park, E. (2007). "A development of groundwater level fluctuations due to precipitations and infiltrations." Journal of KoSSGE, Vol. 12, No. 4, pp. 54-59. 

  11. Van Gerven, M., and Bohte, S. (2017). Editorial: Artificial neural networks as models of neural information processing. Front. Comput. Neurosci., doi: 10.3389/fncom.2017.00114, pp. 11-114. 

  12. Van Loon, A. (2015). "Hydrological drought explained," Wiley Interdisciplinary Reviews: WIREs Water, Vol. 2, pp. 359-392. doi: 10.1002/wat2.1085. 

  13. Yang, J. S., and Ahn, T. Y. (2008). "The analysis of the correlation between groundwater level and the moving average of precipitation in Kum river watershed." The Journal of Engineering Geology, Vol. 18, No. 1, pp. 1-6. 

  14. Yang, J. S., Lim, C. H., Park, J. H., and Park, C. K. (2006). "The correlation between groundwater level and GOI with snowmelt effect in Ssangchun watershed."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Vol. 39, No. 2, pp. 121-126. 

  15. Yeh, H. F., Chang, C. F., Lee, J. W., and Lee, C. H. (2016). "SGI and SPI for drought characteristics in Gaoping river basin, Taiwan." Journal of Chinese Soil and Water Conservation, Vol. 47, No. 1, pp. 45-5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