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4차산업혁명에서 드론을 활용한 기상기술 개발 연구
Research on the Meteorological Technology Development using Drones in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19 no.11, 2019년, pp.12 - 21  

정지효 (국립기상과학원 관측예보연구과) ,  이승호 (국립기상과학원 관측예보연구과) ,  신승숙 (국립기상과학원 관측예보연구과) ,  황성은 (국립기상과학원 관측예보연구과) ,  이영태 (국립기상과학원 관측예보연구과) ,  김정윤 (국립기상과학원 관측예보연구과) ,  김승범 (국립기상과학원 관측예보연구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4차산업혁명시대에 드론은 새로운 기술과 접목할 수 있는 유연한 기기로 자리매김하였다. 드론은 처음에 군사용 무인 항공기로 개발되었으며, 지금은 다양한 분야(건설, 물류·운송, 소방·안전, 환경·기상, 농업, 뉴스·미디어, 등)에 활용되고 있다. 환경 기상 관측 부분에서 대기경계층은 지표면에 가까워 기상현상이 가장 활발히 일어나는 대기층으로 인간 활동에 밀접한 영향을 준다. 이러한 대기 경계층의 연구 수행을 위하여 하층 대기에 대한 정밀 관측이 필요하며, 이에 따른 관측 기술의 확보가 필수적이다. 기상 분야에서의 드론은 항공기, 라디오존데 등 기존 장비에 비하여 비교적 저렴한 유지비용으로 기상관측에 활용이 가능하며, 다양한 센서와 함께 활용할 경우, 대기경계층 및 국지 기상연구에 폭넓게 활용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국립기상과학원에서 보유중인 드론에 복합기상센서 및 라디오존데 센서를 탑재후 연직 기상관측(온도, 습도) 실험을 수행함으로써 드론을 활용한 기상관측의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e era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drones have become a flexible device that can be integrated with new technologies. The drones were originally developed as military unmanned aircraft and are now being used in various fields. In the environment and weather observation area, the atmosph...

주제어

표/그림 (9)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러한 배경 하에 국내에서는 회전익 무인항공기에 기상센서를 탑재하여 측정한 사례가 많지 않아, 본 연구는 무인항공기에 복합기상센서 및 라디오존데 센서를 탑재하여 대기경계층을 측정할 수 있는 기상관측용 드론의 활용 가능성을 제시하고 대기경계층의 관측자료 서비스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무인항공기란 무엇인가? 4차산업혁명시대에 드론은 새로운 기술과 접목할 수 있는 유연한 기기로 자리매김하여 더 넓은 범위로 더빠른 속도로 큰 영향을 주고 있다. 무인항공기은 조종사가 탑승하지 않고 임무를 수행할 수 있게 만든 비행 기체를 말하며, 무인 항공기의 다른 이름으로 ‘벌이 윙윙거린다’는 의미로 “drone”이라고 불리게 되었다. 드론은 말 그대로 원격으로 조종하는 무인항공기로 처음 에는 군사적 목적으로 개발된 것이 시초라 할 수 있다 [1].
회전익 멀티콥터 드론의 본체는 무엇으로 제작되어 있는가? 안개관측 실험에 활용된 회전익 멀티콥터 드론은 DJI 사의 INSPIRE2이며, 460 K/V 브러쉬리스 모터와 네개의 프로펠러로 비행하는 쿼드콥터(Quad-Copter)형 으로 매우 빠른 기동성과 장애물 감지 및 회피와 같은 첨단 기능을 갖춘 드론이다[그림 2(b)]. 본체는 마그네슘 알루미늄 합금 몸체와 카본 골격으로 제작되어 매우 가볍고 견고하다. 장애물 감지 시스템으로 전방과 하향 비전시스템을 갖추고 있어 최대 30 m 앞의 장애물까지 감지가 가능하며, 기체 상단에 상향 적외선 센서가 장착되어 5 m 위의 장애물을 감지가 가능하다.
드론관측의 장점은 무엇인가? 두 지역의 관측실험을 통해 드론에 관측센서를 탑재 하여 활용할 수 있는 관측 가능성을 확인하였으며, 기체와 센서의 통합으로 제작되면 더욱 용이한 결과를 만들어 낼 것이다. 4차 산업혁명과 관련된 관측 기술 개발을 통하여 드론 관측의 신뢰도가 높게 될 것이며, 시간·공간의 제약이 적고 고해상도의 직접 관측자료 생산이 가능한 드론관측의 장점을 활용하여 추가적인 국지 기상현상 연구와 미세물리현상에 대한 연구, 대기 오염 물질 감시 등과 같은 다양한 기상분야에서의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7)

  1. D. Chabot, "Trends in drone research and applications as the Journal of Unmanned Vehicle Systems turns five," J. Unmanned Veh. Syst. Vol.6, pp.6-12, 2018. 

  2. M. C. Quilter and V. J. Anderson, "Low altitude/large scale aerial photographs: a tool for range and resource managers," Rangelands, Vol.22, pp.13-17, 2000. 

  3. P. J. Hardin and M. W. Jackson, "An unmanned aerial vehicle for rangeland photography," Rangeland Ecol.Manage, Vol.58, pp.439-442, 2005. 

  4. A. Rango, A. Laliberte, C. Steele, J. E. Herrick, B. Bestelmeyer, T. Schmugge, A. Roanhorse, and V. Jenkins, "Using unmanned aerial vehicles for rangelands: current applications and future potentials," Environ. Prac. Vol.8, pp.159-168, 2006. 

  5. S. R. Herwitz, L. F. Johnson, S. E. Dunagan, R. G. Higgins, D. V. Sullivan, J. Zheng, B. M. Lobitz, J. G. Leung, B. A. Gallmeyer, M. Aoyagi, R. E. Slye, and J. A. Brass, "Imaging from an unmanned aerial vehicle: agricultural surveillance and decision support," Comput. Electron. Agric., Vol.44, pp.49-61, 2004. 

  6. E. R. Hunt, M. Cavigelli, C. S. T. Daughtry, J. McMurtrey and C. L. Walthall, "Evaluation of digital photography from model aircraft for remote sensing of crop biomass and nitrogen status," Precis. Agric., Vol.6, pp.359-378, 2005. 

  7. R. Sugiura, N. Noguchi, and K. Ishii, "Remote-sensing technology for vegetation monitoring using an unmanned helicopter," Biosyst. Eng., Vol.90, pp.369-379, 2005. 

  8. J. Inoue and J. A. Curry, "Application of Aerosondes to high-resolution observations of sea surface temperature over Barrow Canyon," Geophys. Res. Lett., Vol.31, L14312, 2004. 

  9. T. Konrad, M. Hill, J. R. Rowland, and J. Meyer, "A small, radio-controlled aircraft as a platform for meteorological sensors," APL Tech. Dig., Vol.10, pp.11-19, 1970. 

  10. 김기훈, 김연희, 장동연, "KEOP-2007 라디오존데 관측자료를 이용한 장마 특성 분석:Part I. 라디오존데 관측 자료 평가 분석," Atmosphere, 제19권, 제2호, pp.213-226, 2009. 

  11. 권희내, 강전호, 권인혁, "항공기 온도 관측자료의 편향 보정 Part I: 존데와 비교를 통한 온도 편향 특성 분석," Atmosphere, 제28권, 제4호, pp.357-367, 2018. 

  12. J. Y. N. Cho, R. E. Newell, B. E. Anderson, J. D. W. Barrick, and K. L. Thornhill, "Characterizations of tropospheric turbulence and stability layers from aircraft observations," J. Geophys. Res., Vol.108, p.8784, 2003. 

  13. T. Spiess, J. Bange, M. Buschmann, P. Voersmann, "First application of the meteorological mini-UAV 'm(2)av'," Meteorol. Z. Vol.16, pp.159-169, 2007. 

  14. A. V. D. Kroonenberg, T. Martin, M. Buschmann, J. Bang, and P. Vorsmann, "Measuring the wind vector using the autonomous mini aerial vehicle m2av," J. Atmos. Ocean. Technol, Vol.25, pp.1969-1982, 2008. 

  15. G. Giebel, U. Schmidt Paulsen, J.Bange, A. laCour-Harbo, J. Reuder, S. Mayer, A. van der Kroonenberg, and J. Molgaard, Autonomous aerial sensors for wind power meteorology-A pre-project , Danmarks Tekniske Universitet, Riso Nationallaboratoriet for Baeredygtig Energi Rep., 2012. 

  16. J. Reuder, M. Jonassen, and H. Olafsson, "The small unmanned meteorological observer sumo: Recent developments and applications of a micro-uas for atmospheric boundary layer research," Acta Geophys, Vol.60, pp.1454-1473, 2012. 

  17. S. Mayer, A. Sandvik, M. Jonassen, and J. Reuder, "Atmospheric profiling with the UAS sumo: A new perspective for the evaluation of fine-scale atmospheric models," Meteorol. Atmos. Phys., Vol.116, pp.15-26, 2012. 

  18. D. A. Lawrence and B. B. Balsley, "High-resolution atmospheric sensing of multiple atmospheric variables using the datahawk small airborne measurement system," J. Atmos. Ocean, Technol., Vol.30, pp.2352-2366, 2013. 

  19. J. Elston, B. Argrow, M. Stachura, D. Weibel, D. Lawrence, and D. Pope, "Overview of small fixed-wing unmanned aircraft for meteorological sampling," J. Atmos. Ocean. Tech. Vol.32, pp.97-115, 2015. 

  20. S. Martin, J. Bange, and F. Beyrich, "Meteorological profiling of the lower troposphere using the research UAV "m2av carolo"," Atmos. Meas. Tech., Vol.4, pp.705-716, 2011. 

  21. P. P. Neumann and M. Bartholmai, "Real-time wind estimation on a micro unmanned aerial vehicle using its inertial measurement unit,"" Sens. Actuators, Vol.235A, pp.300-31, 2015. 

  22. B. L. Hemingway, A. E. Frazier, B. R. Elbing, and J. D. Jacob, "Vertical sampling scales for the atmospheric bourndary layer measurements from small unmanned aircraft systems (sUAS)," Atmosphere, Vol.8, p.176, 2017. 

  23. B. R. Greene, A. Segales, S. Waugh, S. Duthoit, and P. B. Chilson, "Considerations for temperature sensor placement on rotary-wing unmanned aircraft systems," Atmos. Meas. Tech., Vol.11, pp.5519-5530, 2018. 

  24. P. P. Neumann, S. Asadi, A. J. Lilienthal, M. Bartholmai, and J. H. Schiller, "Micro-Drone for Wind Vector Estimation and Gas Distribution Mapping," J. of Ieee Robotics and Automation Magazine, Vol.6, No.1, 2011. 

  25. R. T. Palomaki, N. T. Rose, M. VAN D. Bossche, T. J. Sherman, and S. F. J. DE Wekker, "Wind Estimation in the Lower Atmosphere Using Multirotor Aircraft," J. Atmos. Ocean. Technol., Vol.34, pp.1183-1191, 2017. 

  26. D. J. Jacob, P. B. Chilson, A. L. Houston, and S. W. Smith, "Considerations for Atmospheric Measurements with Small Unmanned Aircraft Systems," Atmosphere, Vol.9, p.252, 2018. 

  27. T. Shimura, M. Inoue, H. Tsujimoto, K. Sasaki, and M. Iguchi, "Estimation of Wind Vector Profile Using a Hexarotor Unmanned Aerial Vehicle and Its Application to Meteorological Observation up to 1000m above Surface," American Meteorological Society, Vol.35, pp.1621-1631, 2018. 

  28. M. Kim and B. Kwon, "Estimation of Sensible Heat Flux and Atmospheric Boundary Layer Height Using an Unmanned Aerial Vehicle," Atmosphere, Vol.10, No.363, pp.1-19, 2019. 

  29. 김남호, "드론을 이용한 대기환경정보 수집장치 개발 및 응용 연구," 스마트미디어저널, 제7권, 제4호, pp.40-47, 2018. 

  30. 임희정, 이영희, "보성 해안 지역에서의 해풍 특성," Atmosphere, 제29권, 제1호, pp.41-51, 2019. 

  31. NIMR, Application of Boseong global standard observatory, NIMR-2014-B-11, p.295, 2014. 

  32. 전종갑, 이은정, 류승아, 유수현, "우리 나라 지역별 안개 발생 특성과 대기 오염물질 농도와의 관계," 한국기상학회지, 제34권, 제3호, pp.486-496, 1998. 

  33. 김도영, 이상득, 김지영, 우종택, 오재호, "전남서해안(목포)지방의 안개특성에 관한 연구," 2006년 한국기상학회 학술대회, pp.268-269, 2006. 

  34. I. Gultepe, R. Tardif, S. C. Michaelides, J. Cermak, A. Bott, J. Bendix, M. D. Muller, M. Pagowski, B. Hansen, G. Ellrod, W. Jacobs, G. Toth, and S. G. Cober, "Fog research: A review of past achievements and future perspectives," Pure Appl. Geophys., Vol.164, pp.1121-1159, 2007. 

  35. 김창모, 신승숙, 남호진, 박영산, 주상원, "드론을 활용한 기상관측 및 활용 방안," 2017년 한국기상학회학술대회, pp.683-684, 2017. 

  36. KMA, 2015 Meteorological annual report , KMA, p.569, 2016. 

  37. F. K. Lutgens, E. J. Tarbuck, and D. G. Tasa, The Atmosphere: An introduction to meteorology (13th edition) , Pearson, p.528, 2016. 

LOADING...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