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대학생의 K-MOOC 만족도 및 지속이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연구
Factors Influencing the University Students' Satisfaction and Continuous use Intention on K-MOOC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19 no.11, 2019년, pp.80 - 91  

전영미 (수원대학교 교육대학원) ,  조진숙 (수원대학교 교수학습개발센터)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의 목적은 K-MOOC 활용에 대한 만족도 및 지속이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무엇인지를 분석하는 것으로, 이를 위해 실제 K-MOOC을 비교과 교육과정으로 활용하는 수도권의 한 대학을 대상으로 사례 연구를 실시하였다. 총 177명의 학생들이 참여하였으며, 지각된 유용성, 지각된 용이성, 학습동기, 자기주도성, 과제기술적합성의 다섯 가지 요인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K-MOOC 만족도 및 이용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은 방학보다 학기 중이 더 높았다. K-MOOC 만족도에 영향을 미친 요인은 지각된 용이성과 유용성, 과제기술 적합성이었으며, 지속이용의도에 영향을 미친 요인은 지각된 용이성과 과제기술적합성이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토대로 대학에서의 K-MOOC 활용률을 높이기 위해서는 전공 및 교양지식을 향상시키는데 유용한 교과목을 다양하게 개발하는 것이 필요함을 제안하였다. 그리고 개설되는 교과목과 더불어 교과내용의 분량과 주차수를 보다 다양화할 필요가 있으며, 개설시기를 대학의 학기와 맞출 필요가 있음을 제안하였다. 또한 지각된 용이성 요인은 정적인 영향을 주는 요인이기도 하지만 불만 사항으로도 나타나 플랫폼의 안정성이나 모바일 환경에의 적합성 등이 개선될 필요가 있으며, 대학 수준에 적합한 콘텐츠 개발과 학생과의 상호작용을 다양화해야 함을 제안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investigated the factors affecting the satisfaction and the continuous behavior intention of university students on MOOC. Adopting a questionnaire, the study collected data from 177 students enrolled in K-MOOC classes as an extracurriculum in the university in metropolitan area. Results i...

주제어

표/그림 (8)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K-MOOC 만족도 및 지속이용률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고자 한 연구로, 기존 연구들이 수행한 영향 요인과 함께 K-MOOC이 학습 플랫폼이라는 점에서 학습자 특성을 영향 요인으로 추가 선정하여 분석하였다는 점에 차별성이 있다. 또한 학기 중과 방학 중으로 프로그램 운영 시기를 달리하여, 실제 K-MOOC 수강 프로그램을 운영한 대학의 사례를 분석하였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있다.
  • 여기에 덧붙여 본 연구에서는 연구 대상이 대학생인 점을 고려하여 정한호(2017)가 제시한 과제기술적합성도 영향 요인으로 분석하고자 한다[13]. 본 연구는 이상 다섯 가지 요인이 K-MOOC에 대한 만족도와 지속이용의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하는 것으로, 연구 목적의 달성을 위하여 세 가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2017년 동계방학과 2018년 1학기에 운영한 K-MOOC 수강 프로그램에 참여한 대학생들의 K-MOOC 만족도와 지속이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탐색하였다. 선행연구를 통해 MOOC 만족도와 지속이용의도의 영향 요인으로 지각된 유용성, 지각된 용이성, 학습동기, 자기주도성, 과제기술적합성을 선정하고 각 요인이 K-MOOC 만족도와 지속이용의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K-MOOC이 교육플랫폼인 점을 중시하여 학습의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학습자의 특성을 영향요인으로 추가하여 살펴보고자 한다. 이에 하병환(2007), 조성아(2013) 등이 분석한 학습자 특성인 학습 동기와 자기주도성을 영향 요인으로 분석하고자 한다[19][20].
  •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K-MOOC의 만족도 및 지속이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이면재(2017), 정한호(2017)등을 포함한 최근의 연구에서 가장 많이 언급되고 있는 K-MOOC에 대한 지각된 유용성 및 지각된 용이성과 학습자 특성인 학습동기 및 자기주도성, 그리고 대학수준의 성과달성을 위한 과제 기술적합성을 선정하였다. 연구모형은 [그림 1]과 같다.
  • 이에 하병환(2007), 조성아(2013) 등이 분석한 학습자 특성인 학습 동기와 자기주도성을 영향 요인으로 분석하고자 한다[19][20]. 여기에 덧붙여 본 연구에서는 연구 대상이 대학생인 점을 고려하여 정한호(2017)가 제시한 과제기술적합성도 영향 요인으로 분석하고자 한다[13]. 본 연구는 이상 다섯 가지 요인이 K-MOOC에 대한 만족도와 지속이용의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하는 것으로, 연구 목적의 달성을 위하여 세 가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 본 연구의 대상인 케이-득(K-득) 프로그램은 2017년 동계방학과 2018년 1학기에 진행되었다. 이 프로그램은 3-5명이 팀을 이루어 프로그램이 운영되는 기간 동안 개설된 K-MOOC 강의를 수강하고 이수증을 취득하는 것이다. 2017년 동계방학에는 16개팀 62명이 K-MOOC에 개설된 총 8개 교과목 중 6개 교과목을 수강하였으며, 2018년 1학기에는 33팀 133명이 K-MOOC에 개설된 18강좌 모두를 수강하였다.
  • 이러한 맥락에서 본 연구는 K-MOOC 활용에 대한 만족도 및 지속이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무엇인지를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실제 K-MOOC을 비교과 교육과정으로 활용하는 수도권의 한 대학을 대상으로 사례연구를 실시하고자 한다. K-MOOC에 대한 만족도 및 지속이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연구한 조순정(2015), 이면재(2017), 구본혁(2015), Ho, Ke와 Liu(2015), Tan Shao와 Yu(2014) 등이 공통적으로 제시하고 있는 영향 요인은 지각된 유용성과 지각 된 용이성이다[4][11][16-18].
  • 본 연구에서는 K-MOOC이 교육플랫폼인 점을 중시하여 학습의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학습자의 특성을 영향요인으로 추가하여 살펴보고자 한다. 이에 하병환(2007), 조성아(2013) 등이 분석한 학습자 특성인 학습 동기와 자기주도성을 영향 요인으로 분석하고자 한다[19][20]. 여기에 덧붙여 본 연구에서는 연구 대상이 대학생인 점을 고려하여 정한호(2017)가 제시한 과제기술적합성도 영향 요인으로 분석하고자 한다[13].

가설 설정

  • • 가설 1 : 대학생의 K-MOOC에 대한 인식은 K-MOOC 수강시기에 따라 차이가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대학에서의 K-MOOC 만족도 및 지속이용률을 높이기 위해서는 어떻게 해야 하는가? 넷째, 대학에서의 K-MOOC 만족도 및 지속이용률을 높이기 위해서는 다양한 교과목이 개설되는 학기 중에 집중적으로 운영할 필요가 있다. 학생들의 인식 조사 결과, ‘학내에 개설되지 않은, 전공과 다른 다양한 교과목을 수강할 수 있어 좋았다’는 의견이나 ‘보다 많은 교과목이 개설된 학기 중의 K-MOOC 수강에 대한 인식이 더 높았다’는 것은 개설되는 교과목을 다양화하는 것이 필요하고 이를 위해서는 학기 중 운영이 더 효율 적임을 보여주는 것이라 할 수 있다.
우리나라에서 MOOC과 관련하여 학생들의 지속적인 사용의도와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현황은 어떠한가? 국외의 경우, Jordan(2014), Daniel(2012), Yuan & Powell(2013) 등을 포함한 많은 연구들이 MOOC의 확산과정에서 중요 쟁점 중의 하나인 낮은 이수율에 대한 연구 결과를 발표하고 있다[8-10]. 반면 우리나라는 조순정(2015), 민혜리, 금선영(2017) 등의 몇몇 연구들을 제외하고는 이에 대한 연구가 많지 않다 [11][12]. 개방성과 대규모성을 특성으로 하는 MOOC은 자칫 의미있는 학습활동보다는 학습 흉내만 내는 사례도 발생할 수 있다.
자기주도성이란 무엇인가? 이 외에도 조성아(2013)는 대학 이러닝 환경에서의 학습만족도 및 학습지속의향 차이 분석에 대한 연구에서 학생들의 자기주도적 학습전략을 주요 변인을 분석 하고 있다[20]. 자기주도성이란 학습자가 스스로 자신의 학습 요구를 진단하고 학습목표를 수립하며 학습에 필요한 인적·물적 자원을 확인하고 그에 적합한 학습전략을 선택 및 구현하여 학습하는 것으로, 교수자와의 면대면 수업이 아닌 이러닝에서는 학습자 스스로 학습 목표와 방법을 정하고 학습을 주도하며 스스로 그 결과를 점검해보는 자기주도성이 특히 강조되고 있다 [26][27].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8)

  1. 교육부, "한국형 온라인 공개강좌(K_MOOC) 추진 방안(안)," 2015a. 

  2. 교육부, "한국형 온라인 공개강좌(K-MOOC) 현황과 추진방향 공개자료," 2015b. 

  3. 권오영, "평생능력개발: 일-학습 병행을 위한 온라인 교육 시스템," 실천공학교육논문지, 제5권, 제2호, pp.163-168, 2013. 

  4. M. Tan, P. Shao, and P. Yu, "Factors Influencing Engineering Students' Use of Social Media in Learning," J. of World Transactions on Engineering and Technology Education, Vol.12, No.4, pp.648-654, 2014. http://www.wiete.com.au/journals/WTE&TE/Pages/Vol.12,%20No.4%20(2014)/13-Tan-M.pdf 

  5. L. Pappano, "The year of the MOOC," 2012. http://www.nytimes.com/2012/11/04/education/edlife/massive-open-online-courses-are-multiplying-at-a-rapid-pace.html 

  6. L. Yuan, "MOOCs and Open Education Timeline," 2015. http://blogs.cetis.org.uk/cetisli/2015/05/11/moocs-and-open-education-timeline-updated 

  7. 오예진, "미국 MOOC 사례를 통해 본 한국형 MOOC의 발전방향 모색: 고등교육을 기반으로 한 평생교육의 관점을 중심으로," 평생교육.HRD연구, 제13권, 제1호, pp.103-135, 2017. 

  8. K. Jordan, "Initial trends in enrollment and completion of massive open online course," J. of The International Review of research in Open and Distance Learning, Vol.15, No.1, pp.133-160, 2014. 

  9. S. J. Daniel, "Making sense of MOOCs: Musing in a maze of myth, paradox and possibility," 2012. http://sirjohn.ca/wordpress/wp-content/uploads/2012/08/120925MOOCspaper2.pdf 

  10. L. Yuan and S. Powell, "MOOCs and Open Education: implications for higher education," 2013. https://www.researchgate.net/publication/265297666 

  11. 조순정, "국내 대학생의 온라인 공개강좌 수용요인-확장기술수용모델을 적용하여,"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제15권, 제9호, pp.601-619, 2015. 

  12. 민혜리, 금선영, "묵(MOOC)에 대한 한국 대학교육 전문가의 인식 조사,"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7권, 제7호, pp.222-25, 2017. 

  13. 정한호, "MOOC 수강에 대한 대학생들의 지속적인 사용 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기술수용모형, 기대일치모형, 과제기술적합모형을 기반으로," 교육정보미디어연구, 제23권, 제2호, pp.315-343, 2017. 

  14. H. Jeong, "An investigation of user perceptions and behavioral intentions towards the e-library," J. of Library Collections, Acquisitions & Technical Services, Vol.35, pp.45-60, 2011. https://www.sciencedirect.com/science/article/abs/pii/S1464905511000261 

  15. 양단희, "MOOC(Massive Open Online Course) 의 교육적 문제점과 개선책, 그리고 대학과 융합방안," 한국융합학회논문지, 제7권, 제3호, pp.121-129, 2016. 

  16. 이면재, 온라인 대중공개강좌(MOOC)의 지속이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연구-확장된 IS 지속이용모델을 중심으로, 숭실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9. 

  17. 구본혁, MOOC을 활용한 플립러닝의 효과성 분석, 공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5. 

  18. C. Ho, W. Ke, and H. Liu, "Choice decision of e-learning system: Implications from construal level theory," J. of Information & Management, Vol.52, pp.160-169, 2015. https://www.sciencedirect.com/science/article/pii/S0378720614000871 

  19. 하병환, 이러닝의 학습동기 및 학업성과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계명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7. 

  20. 조성아, 대학 이러닝 환경에서 학습자의 수강경험과 자기주도 학습전략 수준에 따른 학습만족도 및 학습지속의향 차이 분석,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3. 

  21. 임자경, E-LEarning 교육의 현황과 전망에 대한 연구-K-MOOC을 중심으로, 경남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7. 

  22. 박시용, 임지영, "고등교육에서 활용가능한 MOOC 활용 교육 모델," Asia-pacific J. of Multimedia Services Convergent with Art, Humanities, and Sociology, Vol.18, No.5, pp.847-855, 2018. 

  23. 박창언, "한국형 온라인 공개 강좌(K-MOOC) 운영 현황과 과제," 교육과정연구, 제34권, 제2호, pp.122-140, 2016. 

  24. 이병현, "미국 MOOC 최근 운영동향을 통해 본 MOOC 역할과 K-MOOC 운영에 대한 시사점," 교육정보미디어연구, 제23권, 제2호, pp.227-251, 2017. 

  25. 구본혁, 허서정, 이희숙, 김창석, "MOOC을 활용한 플립러닝의 효과성 분석 및 수업 방안: 프로그래밍 수업을 중심으로," 한국지능시스템학회 학술발표 논문집, 제24권, 제2호, pp.149-151, 2014. 

  26. 최윤경, E-Learning 학습 환경에서 고등학생의 자기주도적 학습전략 활용 분석, 한양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5. 

  27. 정미경, 김경현, "교실 수업 지원 체제로서의 사이버학습 프로그램 개발과 효과 분석," 교육심리연구, 제18권, 제3호, pp.329-350, 2004. 

  28. 박태정, 나일주, "한국 대학생의 K-MOOC 학습경험에 대한 내용 분석,"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6권, 제12호, pp.446-457, 2016.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