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UHD TV휴먼다큐멘터리 서사전략: <순례-집으로 가는 길>을 중심으로
Narrative Strategy of UHD TV Human Documentary:Focusing on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19 no.11, 2019년, pp.516 - 526  

권상정 (아주대학교 라이프미디어협동과정) ,  장우진 (아주대학교 미디어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매체를 기반으로 하는 모든 이야기 형식이 그렇듯이 TV휴먼다큐멘터리의 서사 방식 역시 방송환경의 변화와 밀접한 연관성을 가지고 있다. 2017년 세계 최초로 지상파 UHD 방송이 우리나라에서 시작되었고 그 해 9월 KBS는 UHD특집 휴먼다큐멘터리 <순례>시리즈를 방송했다. 초고화질 비디오와 몰입형 오디오 구현이가능한 UHD로 제작된 <순례>는 기존의 TV휴먼다큐멘터리와는 전혀 다른 서사 방식을 보여주었다. TV휴먼 다큐멘터리에서 필수요소로 여겨지던 전지적 내레이션 대신 등장인물의 절제된 1인칭 내레이션을 사용하는 한편 다양한 구도 구현이 가능한 드론을 적극 활용해 등장인물의 심리를 섬세하게 표현, 시청자의 몰입을 가능하게 했다. 또한 TV휴먼다큐멘터리에서는 시도되지 않았던 편집방식인 몽타쥬 편집기법을 통해 내레이션으로 '설명하지' 않고 영상으로 '보여주는' 방식의 서사 전개 방식을 활용하고 있다. <순례-집으로 가는 길> 이후에 이와 유사한 서사 방식의 다큐멘터리가 다수 방송되며 UHD방송환경 아래에서 TV휴먼다큐멘터리의 흐름과 방향이 달라지고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s with all narrative forms based on media, the narrative method of TV human documentary is closely related to the change of broadcasting environment. In 2017, the world's first terrestrial UHD broadcast was launched in Korea, and in September of that year, KBS broadcasted the UHD special documentar...

주제어

표/그림 (7)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하지만 본 연구는 의 작품 분석을 통해 TV휴먼다큐멘터리의 서사방식의 변화에 주목하면서도 이것의 촉발원인을 UHD방송제작 기술과 드론의 활용, TV대형화라는 시청환경 변화까지 아우르면서 큰 틀에서의 TV휴먼다큐멘터리 서사방식 전환을 예고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다큐멘터리의 재현방식엔 무엇이 있는가? 다큐멘터리 영화 이론가 빌 니콜스(Bill Nichols)는 다큐멘터리를 재현방식에 따라 여섯 가지 양식으로 나누어 설명했다. 시적 양식으로 시작한 다큐멘터리는 1960년대 기동성 있는 카메라와 야외녹음기가 등장하면서 관찰자적 양식으로 옮겨갔으며 점차 설명적 양식, 관찰자적 양식, 참여적 양식, 성찰적 양식으로 변화, 이들은 이전 양식에 대한 보완적, 반성적 측면에서 덧붙여져 연대기적으로 발생했다고 지적했다[11]. 다큐멘터리사에 있어서 TV의 탄생과 발전은 가장 중요한 사건이었으며 다큐멘터리를 발전시키는 중요한 계기를 제공했다[12].
현존감이란 무엇인가? 현존감 즉 ‘presence’는 롬바드(Lonmbard, 2000)가 설명한 영상콘텐츠의 특성 중에 하나로, TV를 시청하면서 그것이 가상이라는 것을 망각한 채 주관적 지각 상태에 놓이게 되는 것이라고 지적했으며 리브스(Reeves)는 텔레비전의 화면 크기를 크게 하면 ‘presence’가 증가되는 느낌을 더 받는다는 점을 밝힌 바 있다[15]. 이성욱(2012)은 실험과 설문조사를 통해 화질이 좋을수록 내용에 대한 이해와 관심도가 높아져 집중효과가 있으며 촬영 대상이 음식일 경우에는 화질이 좋을수록 더 맛있어 보인다는 결과를 도출해냈는데 이를 바탕으로 고품질 영상은 고화질로 표현해야 효과적이라고 설명했다[16].
TV에서 처음으로 시작된 한국의 다큐멘터리는 무엇인가? 1964년 KBS의 <카메라 초점>으로 시작된 우리나라의 TV다큐멘터리는 60년대 중반을 지나면서 본격적인 다큐멘터리들이 선보이게 되었고, 1970년대 중반 16mm 필름카메라, 자동현상기, 필름편집기 등 다양한 제작 장비들이 방송사에 도입되면서 다큐멘터리 제작에 활기를 띠게 되었다. 하지만, 비싼 필름으로 제작되었던 탓에 양적 확장으로 이어지지 못했다[3].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https://www.yna.co.kr/view/AKR20170915139700005, 2019.11.21. 

  2. http://www.pdjournal.com/news/articleView.html?idxno60961, 2019.11.21. 

  3. 김균, 전규찬, 다큐멘터리와 역사, 한울아카데미, 2003. 

  4. 이진이, 한국TV다큐멘터리 포맷, 커뮤니케이션북스, 2016. 

  5. 이종수, "한국 휴먼다큐멘터리의 시대성과 사회성-다큐멘터리 내용, 형식의 변화와 사회적 맥락과의 연관성을 중심으로," 언론과 사회, 제10권, 제2호, pp.35-72, 2002(3). 

  6. 함현, "휴먼 다큐멘터리의 표현 방식에 관한 연구," 영상기술연구, 제9호, pp.201-224, 2007(12). 

  7. 이익희, "다큐멘터리 인터뷰 영상표현의 정량적 분석,"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1권, 제1호, pp.113-122, 2011(1). 

  8. 이규정, "플랫폼 차이에 따른 다큐멘터리 영상 재현의 차별화에 관한 연구," 영화연구, 제68권, pp.123-152, 2016. 

  9. 박덕춘, "휴먼다큐멘터리 프로그램의 촬영기법의 특징 연구:대구MBC '휴먼스토리-나의 길'을 중심으로," 언론과학연구, 제5권, 제1호, pp.169-194, 2010. 

  10. 이재우, "TV다큐멘터리 '차마고도'의 구성과 그 의미에 관한 연구-영상과 언술의 결합양상을 중심으로," 인문콘텐츠, 제15호, pp.99-126, 2009. 

  11. 빌 니콜스, 다큐멘터리 입문, 한울아카데미, 2005. 

  12. 전평국, 영상다큐멘터리론, 나남출판, 1995. 

  13. 김병희, 김영희, 마동훈, 백미숙, 원용진, 윤상길, 최이숙, 한진만 공저, 한국 텔레비전 방송 50년, 커뮤니케이션북스, 2011. 

  14. 니콜라스 네그로폰테, being digital, 커뮤니케이션북스, 2010. 

  15. 박은태, 조인희, "e-러닝 영상의 화면크기가 학습효과에 미치는 영향,"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제7권, 제3호, pp.53-62, 2013. 

  16. 이성욱, "TV영상의 화면 깊이와 화질에 따른 시청자 수용연구," 아시아영화연구, 제5권, 제2호, pp.93-115, 2012. 

  17. 이준영, 드론을 활용한 방송 촬영 효과와 영향력에 관한 연구, 상명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5. 

  18. 김종길, 헬기 촬영의 실제-헬기촬영, 이론에서 현장실무 총망라, 여울미디어, 2011. 

  19. 최양묵, 텔레비전 다큐멘터리 제작론, 한울아카데미, 2003. 

  20. http://www.mk.co.kr/news/business/view/2019/02/71473/, 2019.11.21. 

  21. 마셜 매클루언, 미디어의 이해-인간의 확장, 커뮤니케이션북스, 2011. 

  22. 세일라 커런 버나드, 양기석 옮김, 다큐멘터리 스토리텔링, 커뮤니케이션북스, 2009. 

  23. 최혜경, "텔레비전드라마 내레이션의 개념과 범주," 인문콘텐츠, 제47호, pp.308-314, 2017. 

  24. 이자혜, "다큐멘터리에서의 외화면 활용을 통한 리얼리즘의 구현,"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0권, 제1호, pp.230-238, 2010(1). 

  25. 데이비드 보드웰, 크리스틴 톰슨, FILM ART, 현장문학, 1992. 

  26. 한지원, 깊이있는 TV구성다큐멘터리 이렇게 쓴다, 시나리오친구들, 2008. 

  27. 김용수, 영화에서의 몽타주 이론, 열화당, 1996. 

  28. 박덕춘, "휴먼다큐멘터리 프로그램의 촬영기법의 특징 연구:'대구mbc 휴먼스토리-나의 길'을 중심으로," 언론과학연구, 제5권, 제1호, pp.169-194, 2005. 

  29. 허진호, 고화질(HD)방송의 기술적 특성이 자연 다큐멘터리의 제작과정에 미친 영향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언론홍보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5.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