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젊은 성인 및 노인 음성장애 환자의 연속발화시 공기역학적 특성 비교
Aerodynamic Characteristics of Young and Elderly Adult Patients with Voice Disorders during Continuous Speech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19 no.12, 2019년, pp.270 - 278  

표화영 (조선대학교 보건과학대학 언어치료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젊은 성인 음성장애 환자 집단과 노인 음성장애 환자 집단을 대상으로 문단낭독시 공기역학적 특성을 비교해보고자 시행되었다. 20-45세의 남성 음성장애 환자 12명과 60세 이상의 남성 음성장애 환자 9명이 연구에 참여하였다. PAS(Phonatory Aerodynamic System)의 Running Speech를 이용하여 문단을 낭독하게 하고 공기역학 측정치를 구하였다. 그 결과 노인집단은 젊은 성인집단보다 더 긴 지속시간과 더 적은 기류량 및 기류체적을 보였다. 그러나 그 차이는 발성지속시간에서만 유의하게 나타났다. 공기역학 측정치는 일반적으로 노인보다 젊은 성인이 모든 측면에서 비정상 소견을 보일 것이라고 예상하지만 본 연구결과 노인집단이 보인 측정치는 발성지속시간을 제외하고 기류량과 기류체적은 젊은 성인집단과 비슷한 수치를 보인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노인 음성장애 환자의 연속발화시 공기역학 측정치가 갖는 의미를 해석할 때 기류와 기류체적은 연령뿐 아니라 발화자료, 폐 기능 등 다양한 요건을 함께 고려해야 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performed to compare the aerodynamic characteristics of young and elderly adult male patients with voice disorders during continuous speech. Aerodynamic measurements were obtained after 12 young male patients and 9 elderly male patients read a paragraph. The elderly group showed longe...

주제어

표/그림 (4)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젊은 성인 및 노인 남성 성인 음성장애 환자를 대상으로 문단낭독을 통한 연속발화시 공기역학적 특성의 차이를 비교해보고자 진행되었다. 그 결과 성인집단은 노인집단보다 더 짧은 지속시간과 더 높은 기류량 및 공기체적을 보였으나 유의한 차이는 발성지속시간에서만 나타났고 다른 측정치에서는 그 차이가 유의하지 않았다.
  • 이러한 문제는 모음 연장발성이 일상생활의 발화양상을 반영하는지 그 타당성에 대한 의구심을 야기하였다. 이로 인해 많은 임상전문가와 연구자들은 연속발화도 음성분석에 활용해야 함을 주장해왔고 실험연구를 통해 이에 대한 근거를 제시하고자 했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기능적 음성장애(functional voice disorder)를 진단받은 젊은 성인 음성장애 환자와 노인 음성 장애 환자를 대상으로 문단낭독을 통하여 연속발화시 공기역학적 평가를 실시하고 그 양상을 비교해 보고자 한다. 이를 통해 임상현장에서 노인 음성 장애 환자의 공기역학적 평가를 실시하고 그 결과를 해석할 때 젊은 성인 환자와 비교하여 어떠한 차이점과 유사점을 고려해야 하는지 숙고해보고자 한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기능적 음성장애(functional voice disorder)를 진단받은 젊은 성인 음성장애 환자와 노인 음성 장애 환자를 대상으로 문단낭독을 통하여 연속발화시 공기역학적 평가를 실시하고 그 양상을 비교해 보고자 한다. 이를 통해 임상현장에서 노인 음성 장애 환자의 공기역학적 평가를 실시하고 그 결과를 해석할 때 젊은 성인 환자와 비교하여 어떠한 차이점과 유사점을 고려해야 하는지 숙고해보고자 한다.
  • 음성 문제로 내원한 환자에게 음성언어재활사가 일상적으로 시행하는 기기적 평가에는 음향적 평가, 공기역학적 평가, 성대진동평가 등이 있다. 이중 공기역학적 평가는 발화시 폐기류를 얼마나 효율적으로 사용하는지 판단하기 위해 시행된다. 음성문제가 있는 환자는 대부분 성대폐쇄부전(glottal insufficiency)의 문제를 동반하기 때문에 음성장애가 의심되는 환자를 대상으로 발성시 공기역학적 특성을 측정하는 것은 음성장애의 진단을 내리고 치료효과를 파악하는 데 매우 중요한 요소가 된다[1].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음성문제가 있는 환자가 동반하고 있는 문제는 무엇인가? 이중 공기역학적 평가는 발화시 폐기류를 얼마나 효율적으로 사용하는지 판단하기 위해 시행된다. 음성문제가 있는 환자는 대부분 성대폐쇄부전(glottal insufficiency)의 문제를 동반하기 때문에 음성장애가 의심되는 환자를 대상으로 발성시 공기역학적 특성을 측정하는 것은 음성장애의 진단을 내리고 치료효과를 파악하는 데 매우 중요한 요소가 된다[1].
공기역학적 측정치 실험과 본 실험의 차이점은? 공기역학적 측정치는 폐활량의 영향을 많이 받으며 특히 모음을 최대한 길게 발성하여 그 지속시간을 측정하는 것처럼 능력의 최대치를 요하는 검사방법에서는 연령에 따른 차이가 나타난다. 그러나 본 실험에서는 평상시 발화하는 것처럼 편하게 문단을 읽도록 했기 때문에 기본적인 폐 기능의 문제가 없는 노인 환자들은 기류량과 기류체적 측면에서는 젊은 성인집단과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이를 통하여 음성장애 환자의 공기역학적 특성을 분석하고 해석할 때에는 연령이나 성별 외의 다양한 요인을 고려해야 함을 알 수 있다.
발성지속시간이란 무엇인가? 성인집단과 노인집단이 보인 연속발화시 공기역학 측정치의 유의한 차이는 발성지속시간에서만 나타났다. 발성지속시간은 성대진동이 유지된 시간을 의미한다. 그러므로 이 시간이 노인집단에서 더 유의하게 짧았다는 것은 노인집단이 성인집단에 비해 성대폐쇄를 통해 성대진동을 유지하기 어렵기 때문으로 볼 수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J. L. Gartner-Schmidt, R. Hirai, C. Dastolfo, C. A. Rosen, L. Yu, and A. Gillespie, "Phonatory Aerodynamics in Connected Speech," Laryngoscope, Vol.125, pp.2764-2771, 2015. 

  2. Y. Maryn and N. Roy, "Sustained Vowels and Continuous Speech in the Auditory-Perceptual Evaluation of Dysphonia Severity," J. Soc. Bras. Fonoaudiol, Vol.24, No.2, pp.107-112, 2012. 

  3. B. Barsties and Y. Maryn, "The Influence of Voice Sample Length in the Auditory-Perceptual Judgment of Overall Voice Quality," J. of Voice, Vol.31, No.2, pp.202-210, 2017. 

  4. B. R. Gerratt, J. Kreiman, and M. Garellek, "Comparing Measures of Voice Quality from Sustained Phonation and Continuous Speech," J. of Speech, Langauge, and Hearing Research, Vol.54, pp.994-1001, 2016. 

  5. C. Dastolfo, J. Gartner-Schmidt, L. Yu, O. Carnes, and A. I. Gillespie, "Aerodynamic Outcomes of Four Common Voice Disorders: Moving Toward Disorder-Specific Assessment," J. of Voice, Vol.30, pp.301-307, 2016. 

  6. C. Thiel, J. Yang, B. Crawley, P. Krishna, and T. Murry, "Aerodynamic Characteristics of Syllable and Sentence Productions in Normal Speakers," J. of Voice, Vol.33, No.3, pp.297-301, 2019. 

  7. Y. T. Wang, J. R. Green, I. S. B. Nip, R. D. Kent, and J. F. Kent, "Breath Group Analysis for Reading and Spontaneous Speech in Healthy Adults," Folia Phoniatrica et Logopaedica, Vol.62, pp.297-302, 2010. 

  8. A. Lewandowski, A. I. Gillespie, S. Kridgen, K. Jeong, L. Yu, and J. Gartner-Schmidt, "Adult Normative Data for Phonatory Aerodynamics in Connected Speech," Laryngoscope, Vol.128, pp.919-924, 2018. 

  9. 임재열, "노인성 음성에 대한 최신 연구동향," 대한후두음성언어의학회지, 제25권, 제1호, pp.24-26, 2014. 

  10. 김영호, "노인성 음성," 대한음성언어의학회 제19회 학술대회 초록집, pp.205-207, 2003. 

  11. A. C. Gois, L. A. Pernambuco, and K. C. Lima, "Factors Associated with Voice Disorders among the Elderly: A Systematic Review," Brazilian Journal of Otorhinolaryngology, Vol.84, No.4, pp.506-513, 2018. 

  12. R. I. Zraick, L. Smith-Olinde, and L. L. Shotts, "Adult Normative Data for the KayPENTAX Phonatory Aerodynamic System Model 6600," J. of Voice, Vol.26, No.2, pp.164-176, 2012. 

  13. M. C. Melcon, J. D. Hoit, and T. J. Hixon, "Age and Laryngeal Airway Resistance during Vowel Production," J. of Speech and Hearing Disorders, Vol.54, pp.282-286, 1989. 

  14. M. B. Higgins and J. H. Saxman, "A Comparison of Selected Phonatory Behaviors of Healthy Aged and Young Adults," J. of Speech and Hearing Research, Vol.34, pp.1000-1010, 1991. 

  15. J. V. Goozee, B. E. Murdoch, D. G. Theodoros, and E. C. Thompson, "The Effects of Age and Gender on Laryngeal Aerodynamics," Int. J. Language & Communication Disorders, Vol.33, No.2, pp.221-228, 1998. 

  16. 유재연, 황영진, 한지연, 이옥분, 음성과 음성 치료, 서울: 시그마프레스, 2014. 

  17. 김재옥, 김정완, 송윤경, 표화영, 허승덕, 말, 언어, 청각의 해부와 생리, 서울: 박학사, 2015. 

  18. 임동욱, 최정석, 임재열, 김영모, "Rat Model의 노화에 따른 성대에서 나타나는 조직학적 변화," 두경부외과학, 제56권, 제8호, pp.506-510, 2013. 

  19. 김재옥, "KayPENTAX Phonatory Aerodynamic System Model 6600을 이용한 한국성인의 공기역학적 변수들의 정상치," 말소리와 음성과학, 제6권, 제1호, pp.105-117, 2014. 

  20. 표화영, 김소연, 백승국, "정상 성인화자와 음성장애 성인 화자의 문단낭독 시 호흡단락에 대한 비교연구: 예비연구," 말소리와 음성과학, 제6권, 제4호, pp.181-187, 2014. 

  21. 안철민, 권기환, "노인 애성환자에 대한 임상적 연구," 대한음성언어의학회지, 제7권, 제1호, pp.27-31, 1996. 

  22. 우미령, 최홍식, 백승재, 남정모, 최예린, "정상 노년층의 호흡 및 발성 특성," 말소리와 음성과학, 제2권, 제4호, pp.245-252, 2010. 

  23. 김성태, 표화영, 권순복, 음성장애: 이론과 실제, 박학사, 2014. 

  24. 통계청, 노인의 성별, 만성질환 종류별 유병률(의사진단 기준) 및 현 치료율, 2018. 

  25. 김향희, "신경 말.언어장애," 심현섭 외 공저, 의사소통장애의 이해, 학지사, pp.9-22, 2005. 

  26. S. H. Lee, S. J. Yim, and H. C. Kim, "Aging of the Respiratory System," Kosin Medical Journal, Vol.31, pp.11-18, 2016. 

  27. 유도영, 신지영, "과제, 성별, 세대에 따른 휴지의 실현양상 연구," 말소리와 음성과학, 제11권, 제2호, pp.33-44, 2019. 

  28. 김선우, 김향희, 박은숙, 최홍식, "노령화에 따른 건강한 정상성인의 음향음성학적 특성 비교," 말소리와 음성과학, 제2권, 제4호, pp.19-28, 2010. 

  29. K. M. Kost and R. T. Sataloff, "Voice Disorders in the Elderly," Clinics in Geriatric Medicine, Vol.34, No.2, pp.191-203, 2018. 

  30. E. E. Berg, E. Hapner, A. Klein, and M. M. Johns, "Voice Therapy Improves Quality of Life Age-Related Dysphonia: A Case Control Study," J. of Voice, Vol.22, No.1, pp.70-74, 2018.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