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발화범위 프로파일(Speech Range Profile, SRP) 과제를 개발하고, 개발된 SRP 과제가 최대발화범위를 측정하기에 적합한지 살펴보기 위해 45명의 18-29세 정상음성군을 대상으로 음성범위 프로파일(Voice Range Profile, VRP) 과제와 비교하였다. 이를 위해 한국어의 모든 말소리와 문장 유형을 포함하는 14개 문장으로 구성된 "불이야"문단을 개발하였다. SRP와 VRP 간의 차이를 비교하기 위해 SRP 과제로는 새롭게 개발된 문단으로 문단읽기와 21-30까지 숫자세기를 사용하였고, VRP 과제는 /a/ 모음을 낮은 음도부터 높은 음도까지 활창하기와 축약된 VRP를 사용하였다. SRP와 VRP의 변수로 최고기본주파수($F0_{max}$), 최저기본주파수($F0_{min}$), 기본주파수범위($F0_{range}$), 최대음성강도($I_{max}$), 최소음성강도($I_{min}$) 및 음성강도범위($I_{range}$)를 측정한 후 과제 간 차이를 비교하였다. 그 결과, $F0_{max}$, $F0_{min}$, $F0_{range}$, $I_{max}$$I_{range}$는 모두 문단읽기의 SRP와 활창하기의 VRP 간에 차이가 없었고, $I_{min}$은 숫자세기의 SRP가 가장 낮은 평균값을 보였다. 즉 새롭게 개발된 SRP 과제인 "불이야" 문단은 정상 음성 산출 화자에서 모음만을 통해 측정된 VRP의 음역대와 유사한 수준의 음역대를 산출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에 오랜 시간이 소요되거나 중증도의 음성장애에서 측정이 어려울 수 있는 VRP를 대신하여 기능적 말산출 과제인 SRP를 적용함으로써 국내 임상환경에서 비교적 짧은 시간 내에 음성평가를 효과적으로 실시할 수 있을 것으로 본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study aimed to develop Speech Range Profile (SRP) and to examine and validate its clinical application. Forty-five participants without voice disorders aged 18-29 years were compared using SRP and Voice Range Profile (VRP). The authors developed the "Fire!" paragraph as a SRP task compromising 1...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D’Alatri & Marchese(2014)의 연구는 스페인어로 제작되어 있어 한국어로 번안될 경우 적절한 한국어 표현이 어렵거나 다른 의미를 내포 또는 한국어의 문장 형태와는 다른 형태를 취할 수 있기 때문에 이를 그대로 번안하여 국내에서 사용하는 것은 적절하지 않다. 이에 본 연구는 SRP 측정을 위해 국내 임상에서 사용하기 적합한 SRP 발화과제를 개발하고, 이 발화과제가 최대발화범위를 측정하기에 적합한지 검증하고자 정상음성을 산출하는 성인을 대상으로 VRP 발성과제와 비교하였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SRP 측정용 발화 과제로 작은 소리부터 큰 소리 및 읽기를 모두 포함하는 문단읽기 과제를 개발하였다. 문단읽기 과제는 한국어의 모든 말소리(Kim & Shin, 2015)와 한국어 문장에서 구분하는 ‘평서문, 의문문, 명령문, 청유문, 감탄문’의 5가지 문장형태(Korean Language Education Research Institute, Seoul Natioal University, 1996, 2002; Lee, 2016 as cited in Hong, 2017)를 모두 포함하고, 명령문은 긍정명령문과 부정명령문으로 구분하여 다양한 억양을 표현하도록 하였다.
  • SRP는 그 유용성에도 불구하고 국내에서는 이와 관련된 연구가 미진할 뿐 아니라 짧은 시간 내에 음성평가가 이루어져야 하는 임상에서 사용이 가능한 발화과제가 개발되어 있지 않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SRP 측정용으로 14개의 문장으로 구성된 『불이야』 문단의 발화과제를 개발하였으며, 이 문단이 최대발화범위를 측정하기에 적합한지 검증하기 위해 정상음성을 산출하는 성인을 대상으로 숫자세기, 활창하기 및 축약된 VRP 과제와 비교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음성범위 프로파일이란 무엇인가? 음성범위 프로파일(Voice Range Profile, VRP)은 발성 시 기본 주파수와 음성강도의 최대범위를 살펴보는 음향학적 검사방법이다. VRP는 모음연장발성을 통해 최저부터 최고 주파수 범위를 따라 최저부터 최고 음성강도 범위를 측정하여 이들 간의 관계를 이차원 도표에 표시하며, 포네토그램(phonetogram)이라고도 한다(Kim et al.
SRP의 장점은 무엇인가? SRP는 숫자세기, 독백하기, 읽기, 노래하기, 소리지르기 등의 다양한 발화과제를 수행하는 동안 측정할 수 있다. SRP는 전통적인 VRP에 비해 비교적 측정 과정이 단순하고 측정 시간이 짧기 때문에 바쁜 임상 환경에서 짧은 시간 내에 기능적인 말산출 수행능력을 평가하는 목적으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 SRP를 측정하기 위한 과제나 방식이 연구자들마다 표준화되어 있지 않아 연구마다 각기 다른 결과들을 제시하고 있다.
VRP의 단점으로는 어떤 것들이 있는가? 음성장애를 평가하고 치료효과를 검증하기 위한 음성평가인 VRP는 모음발성을 통해 최대발성능력을 평가하고 정상 음성과 병리적 음성을 변별하기 위해 임상에서 많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VRP는 기능적 말산출 시 후두의 생리적 변화를 파악하기 어려울 뿐 아니라 검사자나 측정 방법에 따라 측정치의 변이성이 높고, 측정하는데 많은 시간이 소요된다. 특히 음성을 직업이나 전문적으로 사용하지 않는 사람은 VRP를 수행하는데 어려움을 보이기도 한다(D’Alatri & Marchese, 2014). 이에 VRP의 단점을 보완하고 말하기나 읽기와 같은 자연스러운 발화 산출 시의 최대발화능력을 평가하는 SRP의 필요성이 증가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52)

  1. Airainer, R., & Klingholz, F. (1991). Computer-assisted phonetography as a diagnostic aid in functional dysphonia. Laryngorhinootologie, 70(7), 362-366. 

  2. Awan, S. N. (1997). Superimposition of speaking voice charactersitcs and phonetograms in untrained and trained vocal groups. Journal of Voice, 7(1), 30-37. 

  3. Bae, I. (2011). Cochlear implant according to the study of changes in Voice Range Profile (Master's thesis). Daegu University, Korea. 

  4. Berg, M., Fuchs, M., Wirkner, K., Loeffler, M., Engel, C., & Berger, T. (2017). The speaking voice in the general population: Normative data and associations to sociodemographic and lifestyle factors. Journal of Voice, 31(2), 257.e13-257.e24. 

  5. Chen, S. H. (2007). Sex differences in frequency and intensity in reading and voice range profiles for Taiwanese adult speakers. Folia Phoniatrica et Logopaedica, 59, 1-9. 

  6. Chen, S. H. (2008). Voice range profiles for tonal dialect of Min. Folia Phoniatrica et Logopaedica, 60, 4-10. 

  7. Chung, S. M. (2000). Voice range profiles of trained classical singers.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Phoniatrics and Logotedics, 11(1), 69-75. 

  8. D'Alatri, L., & Marchese, M. R. (2014). The speech range profile (SRP): An easy and useful tool to assess vocal limits. Acta Otorhinolaryngologica Italica, 34(4), 253-258. 

  9. Dejonckere, P. H., Bradley, P., Clemente, P., Cornut, G., Crevier-Buchman, L., Friedrich, G., Van De Heyning, P., ... Woisard, V. (2001). A basic protocol for functional assessment of voice pathology, especially for investigating the efficacy of (phonosurgical) treatments and evaluating new assessment techniques: Guideline elaborated by the Committee on Phoniatrics of the European Laryngological Society (ELS). European Archives Oto-Rhino-Laryngology, 258(2), 77-82. 

  10. dos Santos, A. C. M., de Menezes Borrego, M. C., Behlau, M. (2015). Effect of direct and indirect voice training in speech-language pathology and audiology students. CoDAS, 27(4), 384-391. 

  11. Emerich, K. A., Titze, I. R., Svec, J. C., Popolo, P. S., & Logan, G. (2005). Vocal range and intensity in actors: A studio versus stage comparison. Journal of Voice, 19(1), 78-83. 

  12. Euh, S. J. (2004). The effect of visual feedback intervention on voice pitch of adult with hearing loss (Master's thesis). Korea Nazarene Unversity, Korea. 

  13. Gokdogan, C., Gokdogan, O., Tutar, H., Aydil, U., & Yilmaz, M. (2016). Speech Range Profile (SRP) findings before and after mutational falsetto (Puberphonia). Journal of Voice, 30(4), 448-451. 

  14. Ha, H. R. (2006). School-age children's normative data of acoustic indices for voice evaluation of children with vocal nodule (Master's thesis). Yonsei University, Korea. 

  15. Hacki, T. (1996). Comparative speaking, shouting and singing voice range profile measurement: Physiological and pathological aspects. Logopedics, Phoniatrics, Vocology, 21(3-4), 123-129. 

  16. Hacki, T., & Heitmuller, S. (1999). Development of the child's voice: Premutation, mutation. International Journal of Pediatric Otorhinolaryngology, 49(Suppl. 1), S141-S144. 

  17. Heylen, L. G., Wuyts, F. L., Mertens, F. W., & Pattyn, J. E. (1996a). Phonetography in voice diagnoses. Acta oto-rhino-laryngologica Belgica, 50(4), 299-308. 

  18. Heylen, L., Wuyts, F. L., Mertens, F., De Bodt, M., Pattyn, J., & van de Heyning, P. H. (1996b). Comparison of the results of the frequency and the intensity data of the BSGVD with phonetogram characteristics. Acta oto-rhino-laryngologica Belgica, 50(4), 353-360. 

  19. Heylen, L., Wuyts, F. L., Mertens, F., De Bodt, M., & Van de Heying, P. H. (2001). Normative voice range profiles of male and female professional voice users. Journal of Voice, 16(1), 1-7. 

  20. Hirano, M. (1981). Clinical examination of voice. New York, NY: Springer-Verlag. 

  21. Holmberg, E. B., Oates, J., Dacakis, G., & Grant, C. (2010). Phonetograms, aerodynamic measurements, self-evaluations, and auditory perceptual ratings of male-to-female transsexual voice. Journal of Voice, 24(5), 511-522. 

  22. Hong, J. S. (2017). Exclamatory sentential expression in spoken Korean.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101, 37-59. 

  23. Hwang, H. J. (2018). Voice and speaking range profile in adolescent men during mutational period (Master's thesis). Kangnam University, Korea. 

  24. Hwang, Y. S., Kim, J. O., & Choi, H. S. (2009). Characteristics of connected speech in ADSD. Phoniatrics and Logopedics, 1(1), 93-98. 

  25. Jung, K. (2007). A comparative study of the prosodic features between ASD and normal children in Korean read sentence (Master's thesis). Chungnam University, Korea. 

  26. Jung, W. J. (2018).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 simplified voice range profile (VRP) measurement for patients with voice disorders (Master's thesis). Daegu Catholic University, Korea. 

  27. Kim, H. S., Choi, S. H., Choi, H. S., & Lim, J. Y. (2004). The effect of an increase of closed quotient on improvement of voice quality after Type I thyroplasty in patients with unilateral vocal cord paralysi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Laryngology, Phoniatrics and Logopedics, 15(1), 16-20. 

  28. Kim, K., Kwon, S., Kim, S., Lee, H., Hong, J., Kim, Y., Lee, B., ... Lee, K. (2007). Voice analysis before and after swallowing a raw egg in professional voice users, Speech Sciences, 14(2), 43-53. 

  29. Kim, S. T. (2010). The effects of voice therapy in age-related dysphonia. Phonetics and Speech Sciences, 2(2), 117-121. 

  30. Kim, S. J., & Sin, J. Y. (2015). Speech sound disorders. Seoul, Korea: Sigma Press. 

  31. Kim, S., Pyo, H., & Gweon, S. (2014). Voice disorders: Theory and practice. Seoul, Korea: Pakhaksa. 

  32. Korean Language Education Research Institute, Seoul National University (1996). High school grammar. Seoul, Korea: The Ministry of Education. 

  33. Korean Language Education Research Institute, Seoul National University (2002). High school grammar. Seoul, Korea: The Ministry of Education. 

  34. Lee, G. (2016). Korean grammar for Korean education. Seoul, Korea: Yeoklak. 

  35. Lee, H. (2005). Age and sex differences in acoustic parameters of middle age and elderly adult voice (Mater's thesis). Korea Nazarene Unversity, Korea. 

  36. Lee, J. I., Jeong, G. E., Kim, S. T., Kim, S. T, Nam, S. Y., Kim, S. Y., Rho, J. L., & Choi, S. H. (2012). Differentiation of vocal cyst and polyp by high-pitched phonation characteristics. The Korean Society of Laryngology, Phoniatrics and Logopedics, 23(1), 48-51. 

  37. Ma, E. P. M., & Yiu, E. M. L. (2006). Multiparametric evaluation of dysphonic severity. Journal of Voice, 20(3), 380-390. 

  38. Ma, E., Robertson, J., Radford, C., Vagne, S., El-Halabi, R., & Yiu, E. (2007). Reliability of speaking and maximum voice range measures in screening for dysphonia. Journal of Voice, 21(4), 397-406. 

  39. Mailander, E., Muhre, L., & Barsties, B. (2017). Lax Vox as a voice training program for teachers: A pilot study. Journal of Voice, 31(2), 262.e13-262.e22. 

  40. Meerschman, I., D’haeseleer, E., Catry, T., Ruigrok, B., Claeys, S., & Van Lierde, K. (2017). Effect of two isolated vocal facilitating techniques glottal fry and yawn-sigh on the phonation of female speech-language pathology students: A pilot study. Journal of Communication Disorders, 66, 40-50. 

  41. Nam, D. H., & Choi, H. S. (2008). Differences in speaking fundamental frequency for voice classification and closed quotient between speaking and singing. Phonetic Sciences, 15(4), 147-156. 

  42. Nam, D. H., & Kim, W. S. (2009). Vocal characteristics and differences in gender and voice classification among classical singers. Phonetics and Speech Sciences, 1(2), 163-171. 

  43. Nam, D. H., Rheem, S. S., & Choi, H. S. (2009). Correlation between the external laryngeal length and the habitual speaking fundamental frequency. Phonetics and Speech Sciences, 1(4), 187-193. 

  44. Natioal Fire Agency (2018, March 29). Fire!! When fire, if you do lke thi, you are super-great! [Web log post]. Retrieved from https://blog.naver.com/safeppy/221240257018 

  45. Peter, P., Stallinga, R., Sodersten, M., & Ternstrom, S. (2014). Effects on vocal range and voice quality of singing voice training: The classically trained female voice. Journal of Voice, 28(1), 36-51. 

  46. Sanchez, K., Oates, J., Dacakis, G., & Holmberg, E. B. (2014). Speech and voice range profiles of adults with untrained normal voices: Methodological implications. Logopedics Phoniatrics Vocology, 39(2), 62-71. 

  47. Seoul Metropolitan Fire & Disaster Headquarters (2018). Guidelines for emergency evacuation: How to respond to emergencies at home 119. Retrieved from https://fire.seoul.go.kr/pages/menu.do?id195 

  48. Siupsinskiene, N., & Lycke, H. (2011). Effects of vocal training on singing and speaking voice characteristics in vocally healthy adults and children based on choral and nonchoral data. Journal of Voice, 25(4), e177-e189. 

  49. Speyer, R., Wienke, G. H., van Wijck-Warnaar, I. & Dejonckere, P. H. (2003). Effects of voice therapy on the voice range profiles of dysphonic patients. Journal of Voice, 17(4), 544-556. 

  50. Wang, J. (2018). Developing and applying a voice quality improvement program for professional voice users with functional voice disorders (Master's thesis). Gachon University, Korea. 

  51. Wuyts, F. L., De Bodt, M. S., Molenberghs, G., Remacle, M., Hyelen, L., Millet B., Van Lierde, ... Van de Heyning, P. (2000). The dysphonia severity index: An objective measure of vocal quality based on a multiparameter approach. Journal of Speech, Language, and Hearing Research, 43(3), 796-809. 

  52. Yoo, H. S. (2003). The comparison of pitch production between children with cochlear implants and normal hearing children (Master's thesis). Hallym University, Korea.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