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The Effects of Social Support Perceived by Career-interrupted Women On Career Preparation Behavior: Focus on Mediating Effects of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원문보기

韓國컴퓨터情報學會論文誌 =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Computer and Information, v.24 no.12, 2019년, pp.109 - 117  

Lee, Sook-Ja (Dept of Social Welfare, Songwon University)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경력단절여성들의 인식을 바탕으로 진로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사회적 지지와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이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과 진로결정자기효능감매개효과를 분석하였다. 여성취업지원기관에서 직업훈련에 참여하고 있거나 구직등록을 한 경력단절여성 227명을 대상으로 자기보고식 설문조사법을 이용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경력단절여성들이 인식한 사회적 지지는 진로결정자기효능감과 진로준비행동에 유의미한 상관관계로 나타났다. 둘째, 사회적 지지의 하위요인 중 정서적 지지가 진로준비행동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셋째,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의 하위요인 중 목표설정과 직업정보는 진로준비행동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넷째, 사회적 지지와 진로준비행동의 관계에서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의 부분매개효과가 확인되었다. 본 연구결과는 경력단절여성들을 대상으로 진로지도 시 기술적인 측면보다 심리적 측면을 더 중요하게 다루어야 함을 시사해 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nalyzed the effects of social support and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that can have effects on career based on career-interrupted women's perception on career preparation behaviors and mediating effects of the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This study surveyed 227 career-interrupted wo...

주제어

표/그림 (6)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즉 여성새로일하기센터 등에서 경력단절여성의 취업을 지원하기 위한 진로지도 시 이력서, 자기소개서 등 서류작성의 기술적인 측면보다 심리적 측면을 더 중시해야 함을 부각시키고 있다. 따라서 프로그램 설계 시 심리적 측면에 초점을 맞추어 자기이해 부문을 확대시킬 수 있는 방안이 강구되어야 할 필요성을 시사해 주고 있다.
  • 본 연구의 목적은 경력단절여성의 사회적 지지와 진로결정자기효능감에 대한 인식이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한다. 또한 독립변수인 사회적 지지와 결과변수인 진로준비행동 간의 관계에서 매개변수인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한 것이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연구모형은 [fig.
  • 본 연구는 광주광역시에 소재한 여성새로일하기센터, 여성발전센터, 직업학교에서 직업훈련에 참여하고 있거나 구직등록을 한 227명의 경력단절여성을 대상으로 경력단절여성이 인식하는 사회적 지지와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이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해 보고자 하였다. 또한 사회적 지지가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을 매개로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매개효과의 영향력을 분석해 보고자 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 이에 본 연구는 경력단절여성들의 사회적 지지와 진로 결정자기효능감에 대한 인식이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한다. 또한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을 매개로 하여 사회적 지지가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매개효과의 영향을 분석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경력단절여성의 사회적 지지와 진로결정자기효능감에 대한 인식이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 본 연구는 광주광역시에 소재한 여성새로일하기센터, 여성발전센터, 직업학교에서 직업훈련에 참여하고 있거나 구직등록을 한 227명의 경력단절여성을 대상으로 경력단절여성이 인식하는 사회적 지지와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이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해 보고자 하였다. 또한 사회적 지지가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을 매개로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매개효과의 영향력을 분석해 보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광주광역시의 여성 취업지원 기관을 이용하는 경력단절여성을 대상으로 편의표집 하여 자기보고방식으로 진행된 연구이다. 따라서 연구결과를 전체 경력단절 여성으로 일반화 하는 것은 한계가 있다.
  • 본 연구의 목적은 경력단절여성의 사회적 지지와 진로결정자기효능감에 대한 인식이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한다. 또한 독립변수인 사회적 지지와 결과변수인 진로준비행동 간의 관계에서 매개변수인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한 것이다.
  • 이에 본 연구는 경력단절여성들의 사회적 지지와 진로 결정자기효능감에 대한 인식이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한다. 또한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을 매개로 하여 사회적 지지가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매개효과의 영향을 분석하고자 한다.

가설 설정

  • Bandura는 어떤 과제나 행동을 실행 시 성공적인 결과를 만들어 낼수 있다는 자기 능력에 대한 믿음을 자기효능감이라고 정의하였다[21]. 즉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은 자신에 대해 개인이 느끼고 있는 유능성, 효능성, 자신감 등으로 특수한 목표를 달성하는데 있어 상대적으로 높은 수준의 자기효능감을 가지고 있는 사람이 낮은 자기효능감을 가지고 있는 사람보다 더 많은 노력을 할 것이라고 가정하였다[22].
  • 본 연구의 목적을 수행하기 위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경력단절여성이 인식한 사회적 지지는 진로준비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가? 둘째. 경력단절여성이 인식한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은 진로준비행동에 영향을 미치는가? 셋째, 경력단절여성이 인식한 사회적 지지는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을 매개로 진로준비행동에 영향을 미치는가?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경력단절은 무엇인가? 경력단절은 일련의 사건들로 인해 노동시장에서 이탈함으로서 일과 관련된 과정들이 중단되는 상태를 의미하며 취업단절, 불연속 취업의 용어로도 사용된다[15]. 여성들은 남성과 다르게 생애주기에 따른 사건들에 영향을 더 많이 받게 된다.
경력단절여성 등의 경제활동촉진법 제 2조에서는 경력 단절여성을 어떻게 정의하였는가? 「경력단절여성 등의 경제활동촉진법」 제2조에 따르면 경력 단절여성을 “혼인ㆍ임신ㆍ출산ㆍ육아와 가족구성원의 돌봄 등을 이유로 경제활동을 중단하였거나 경제활동을 한 적이 없는 여성 중에서 취업을 희망하는 여성“으로 정의하고 있다,
사회적 지지에 해당하는 정서적 지지, 정보적 지지, 물질적 지지, 평가적 지지는 어떤 의미를 지니고 있는가? 사회적 지지는 정서적 지지, 정보적 지지, 물질적 지지, 평가적 지지의 하위요인으로 구분할 수 있다[17][18]. 정서적 지지는 심리적 안정감을 제공하여 자신이 사회구성원들에게 존경의 대상이 되고 애정을 받고 있다고 느끼게 해주는 행위로써 존경, 애정, 신뢰, 배려 등의 지원을 의미한다[19]. 정보적 지지는 직업에 대한 정보제공이나 구직방법을 알려주는 것 등 진로문제를 수월하게 해결할 수 있도록 지식이나 정보를 지원해 주는 것이다. 물질적 지지는 현물이나 현금, 노동력 등을 직접 지원하는 것을 의미한다. 평가적 지지는 개인의 역할 수행과 행위에 관한 구체적 평가 정보를 전달하여 스스로 평가할 수 있게 하는 것으로 피드백, 사회적 비교의 제공 등을 의미한다[17][18].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4)

  1. http://kosis.go.kr 

  2. S. J. Lee, "An analysis on the Reasons for Hiring the Elderly: Focusing on Survey result of the Company Owners and Personnel Managers," Chosun University, 2014. 

  3. H. J. Yoo, "The Influences of Career Interrupted Women's Perceived Career Barriers on Employability: The Mediating Effect of Social Network," Published biyearly by The Korean Association for Thinking Development, Vol. 11, No. 1, pp. 155-178, 2015. 

  4. H. J. Lee, "The Effects of Perceived career barrier of Women whose career were interrupted on Career preparation behavior," Kwangwoon University, 2010. 

  5. B. W. Kim, "Career decision level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of the college students," Seoul National University, 1997. 

  6. S. J. Lee, and S. O. Kweon, "Analysis of factors affecting career preparation behavior: Based on recognition of college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Computer and Information, Vol. 22, No. 9, pp. 125-132, 2017. 

  7. Y. J. Choi, and E. J. Son, "The effects of spouse support and career resilience on career preparation behavior among career-interrupted women: The mediating role of career self-efficacy," The Korean Journal of Woman Psychology, Vol. 21, No. 4, pp. 587-606, 2016. 

  8. M. R. Kim, “The Theory of a Conceptual Definition and the Effect of Social Support, and the Methodological Issues of the Effect of Social Support,” The Korean Academy Of Clinical Social Work, Vol. 2, No, 1, pp. 99-121, 2005. 

  9. S. J. Sin, and I. H. Lee, “Structural analysis of the Social Support, Career Capability,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and Career Adaptability for the Reemployment Women,”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ol. 19, No. 8, pp. 422-432, 2018. 

  10. S. B. Lee and J. H. Lee, "The Influence of Career Barriers Perceived by Unemployed Married Women on Career Preparation Behaviors," The Journal of Vocational Education Research, Vol. 29, No. 3, pp. 187-208, 2010. 

  11. H. J. Kim, S. H. Lee, and S. Y. Cheon, "The Mediating Effects of Hop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areer Barriers and the Career Preparation that the Career Interrupted Women's Perceive," Locality and Globality: Korean Journal of Social Sciences, Vol. 42, No. 1, pp. 153-174, 2018. 

  12. A. S. Kim, and J. L. Jang, "The Relationship between Career Resilience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on Career Interrupted Women : The Mediating Effects of Emotion Regulation Ability and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The Korean Journal of Woman Psychology, Vol. 23, No. 3, pp. 525-548, 2018. 

  13. E. J. Im, "A Study on the Intermediation of the Self-Effectivenes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Support Recognition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of Career Short Women," Korea University, 2012. 

  14. J. Y. Park, "The relationship among social support, self-efficacy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Hongik University, 2006. 

  15. S. Y. Kweon, and Y. J. Lee, “Determinants of Women's Career Breakdown and Reentry into the Labor Market,” Journal of business economics, Vol. 39, No. 1, pp. 45-57, 2010. 

  16. N. E. Betz, “Implications of the null envionment hypothesis for women's career development and for counseling Psychology,” Counseling Psychologist, Vol. 17, No. 1, pp. 136-144, 1989. 

  17. J. S. House, "Work stress and social support. Addison-Wesley Pub. Co.(Reading. Mass.)," 1985. 

  18. J. W. Park,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Social Support Scale," Yonsei University, 1985. 

  19. K. H. Seo, "The influence of career-interrupted women's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on career adaptability: moderating effect of social," Sookmyung women's University, 2014. 

  20. M. C. Kwang, "The Influence of Social Support Career Adaptability in Career-Interrupted Married Women: Mediating Effect of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Kyungsung University, 2014. 

  21. A. Bandura, "Self-efficacy: Toward a unifying theory of behavioral change." Psychological Review, Vol. 84, No. 1, pp. 191-215, 1977. 

  22. J. E. Sim, "The mediating effect of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warted belongingness and perceived career barriers in the adolescents out of school," Soonchunhyang University, 2017. 

  23. G. H. Lee, and H. J. Lee, "The Effects of Career Self Efficacy in Predicting the Level of Career Attitude Maturity of College Students," Korean Journal Of Counseling And Psychotherapy, Vol. 12, No. 1, pp. 127-136, 2000. 

  24. H. J. So, "A study on Effect of Career Group Counseling by Using Cinema on Career maturity and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of Adolescent1," Dankook University, 2011. 

  25. K. H. Seo, Y. J. Kwak, and J. H. Sim, "The Effect of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on Career Adaptation of Career-interrupted Women: The moderating effect of social support," Journal of Employment and Career, Vol. 5, No. 4, pp. 57-88, 2015. 

  26. H. J. Lee, and G. M. Kim, "The Effects of Perceived career barrier of Women whose career were interrupted on Career preparation behavior," The Korea Journal of Counseling, Vol. 11, No. 2, pp. 623-640, 2010. 

  27. Y. H. Sin, and D. M. Lee, "Analysis on the Factors Influencing the Satisfaction Levels of Re-entry at Labor Market of Career Interrupted Woman by Social Support,"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ol. 18, No. 7, pp. 138-152, 2018. 

  28. S. H. Lee, "The Influence of Hope and Career Barrier on the Career Preparation Behavior of Technical high school students," Sookmyung women's University, 2008. 

  29. J. H. Yang, and B. W. Kim, "The Influence of Psychological Separation, Career Identity and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of Female College Student on Career Preparation Behavior," The Journal of career Education Research, Vol. 21, No. 2, pp. 57-71, 2008. 

  30. K. M. Taylor, and N. E. Betz, "Applications of self-efficacy theory to the understanding and treatment of career indecision,"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Vol. 22, pp. 63-81, 1983. 

  31. M. Y. Kim, "The Relationship between Career Barriers Perceived by Women Unemployed,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and Job Aspiration," Koreatech University, 2005. 

  32. H. G. Kim, "Concern Analysis according to Gender and School Year of College Students on Career Maturity Inventory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Jeonju University, 2003. 

  33. R. M. Baron, and D. A. Kenny, "The moderato mediator variable distinction in social psychological research: Conceptual, strategic, and statistical considerations," Journal of Personality & Social Psychology, Vol. 51, No. 6, pp. 1173-1182, 1986. 

  34. M. S. Choi, "The Influence of Ego-Identity, Social Support, Career Decision-Making Self Efficacy on Career Maturity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of late Adolescence," Sungkyunkwan University, 2007.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