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 귀리의Fusarium속 균의 다양성 및 독소 화학형
Identification and Chemotype Profiling of Fusarium Species in Korean Oat 원문보기

Research in plant disease = 식물병연구, v.25 no.4, 2019년, pp.157 - 163  

최정혜 (국립농업과학원 유해생물팀) ,  나주영 (국립농업과학원 유해생물팀) ,  진현숙 (국립농업과학원 유해생물팀) ,  임수빈 (국립농업과학원 유해생물팀) ,  백지선 (국립농업과학원 유해생물팀) ,  이미정 (국립농업과학원 유해생물팀) ,  장자영 (국립농업과학원 유해생물팀) ,  이데레사 (국립농업과학원 유해생물팀) ,  홍성기 (국립농업과학원 작물보호과) ,  김점순 (국립농업과학원 유해생물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귀리에서 독성곰팡이 발생현황을 평가하기 위해 2017년 2018년 4월부터 6월까지 귀리 재배지 강진, 정읍을 정기적으로 모니터링 하였다. 총 745개의 곰팡이 균주를 형태학적 방법으로 분리한 후 마커 유전자 염기서열을 분석하여 동정하였다. 분리된 곰팡이의 약 92%가 Fusarium속 균주였고, Penicillium속(5.9%)과 Aspergillus속(2.1%) 순으로 분리되었다. Fusarium속 균주의 대부분이 F. asiaticum (83.1%)이었고, F. incarnatum (5.4%), F. proliferatum (3.5%), F. fujikuroi (2.8%), F. tricinctum species complex (FTSC) 11 (1.5%), F. graminearum (1.0%) 순으로 많이 분리되었다. F. asiaticum의 약 97%가 nivalenol 독소화학형이 있었고, 3-acetyl deoxynivalenol (3.2%) 독소화학형과 15-acetyl deoxynivalenol (0.4%) 독소화학형도 발견되었다. 선발된 Fusarium 균들의 병원성 실험결과 F. asiaticum이 실험에 사용된 모든 식물체에서 다양한 범위의 병원성을 나타내었다. 병증이 있는 종실에서 분리된 F. graminearum and FTSC 11 균주들은 쌀귀리에서 강한 병원성을 나타내었다. 또한 FTSC 11 균주를 제외한 모든 균주들이 쌀배지에서 nivalenol (0.2-7.6 ㎍/g), deoxynivalenol (0.03-6.1 ㎍/g), zearalenone (0.1-27.0 ㎍/g)을 생성하였다. 본 연구는 국내에서는 처음 보고되는 F. asiaticum에 의한 귀리의 붉은 곰팡이병 사례이다. 본 연구의 결과는 밀, 보리, 벼와 마찬가지로 F. asiaticum이국내귀리에서우점종임을보여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imed to assess the incidence and distribution of toxigenic fungi in Korean oat. Toxigenic fungi were isolated from oat samples collected from 12 oat fields from heading to harvest in 2017 and 2018. A total of 745 fungal colonies were isolated based on morphology and identified using mark...

주제어

표/그림 (6)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국내의 경우 귀리는 벼의 윤작 작물로서 밀, 보리가 재배되는 지역에서 동일한 시기에 재배되어, 벼, 밀, 보리에서 발생되는 붉은곰팡이병의 발생이 우려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2017년과 2018년 귀리 재배지에서 귀리를 수집하여 Fusarium 균주를 분리 동정하였고, 독소생성 및 병원성검정 등을 통해 우점종인 c F. asiaticum의 국내 귀리에서의 생화학적 특성을 평가하였다.
  • 0 μg/g)을 생성하였다. 본 연구는 국내에서는 처음 보고되는 F. asiaticum에 의한 귀리의 붉은곰팡이병 사례이다. 본 연구의 결과는 밀, 보리, 벼와 마찬가지로 F.
  • 본 연구에서는 귀리에서 독성곰팡이 발생현황을 평가하기 위해 2017년 2018년 4월부터 6월까지 귀리 재배지 강진, 정읍을 정기적으로 모니터링 하였다. 총 745개의 곰팡이 균주를 형태학적 방법으로 분리한 후 마커 유전자 염기서열을 분석하여 동정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귀리의 주된 사용 용도는? )는 옥수수, 벼, 밀, 보리, 수수와 더불어 세계적으로 재배되는 작물 중의 하나이다. 유럽, 아메리카 등이 주 재배지이며, 대부분 사료용으로 재배되나, 일부 식용으로도 재배되고 있다. 2018년 현재 세계 귀리 총생산량은 지난 20년 동안 30% 감소하였고, 지속적으로 감소하고 있는 추세이다(Food and Agriculture Organization of the United Nations, 2017).
귀리란 무엇인가? 귀리(Avena sativa L.)는 옥수수, 벼, 밀, 보리, 수수와 더불어 세계적으로 재배되는 작물 중의 하나이다. 유럽, 아메리카 등이 주 재배지이며, 대부분 사료용으로 재배되나, 일부 식용으로도 재배되고 있다.
귀리가 함유하는 기능성물질은? 이는 귀리가 ‘슈퍼푸드’로 알려지면서 국내에서 소비가 늘고 있기 때문이다. 귀리는 필수아미노산, 칼슘의 함량이 높고, 섬유질(b-glucan), 폴리페놀, 비타민, 불포화지방산 등 다양한 기능성물질을 함유하고 있다(Charalampopoulos 등, 2002; Juvonen 등, 2009; Maki 등, 2003).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3)

  1. Charalampopoulos, D., Wang, R., Pandiella, S. S. and Webb, C. 2002. Application of cereals and cereal components in functional foods: a review. Int. J. Food Microbiol. 79: 131-141. 

  2. Chi, M.-H., Park, S.-Y. and Lee, Y.-H. 2009. A quick and safe method for fungal DNA extraction. Plant Pathol. J. 25: 108-111. 

  3. Commission of the European Communities. 2006. Commission Regulation (EC) No 1881/2006 of 19 December 2006 Setting Maximum Levels for Certain Contaminants in Foodstuffs. Commission of the European Communities, Brussels, Belgium. 364 pp. 

  4. Fernandez, M. R. and Chen, Y. 2005. Pathogenicity of Fusarium species on different plant parts of spring wheat under controlled conditions. Plant Dis. 89: 164-169. 

  5. Ferrigo, D., Raiola, A. and Causin, R. 2016. Fusarium toxins in cereals: occurrence, legislation, factors promoting the appearance and their management. Molecules 21: E627. 

  6. Food and Agriculture Organization of the United Nations. 2017. FAOSTAT Database, Food and agriculture data. Food and Agriculture Organization of the United Nations, Rome, Italy. 

  7. Jang, J. Y., Kim, S., Jin, H. S., Baek, S. G., O, S., Kim, K. et al. 2018. Occurrence of toxigenic Fusarium spp. and zearalenone in scabby rice grains and healthy ones. Res. Plant. Dis. 24: 308-312. (In Korean) 

  8. Juvonen, K. R., Purhonen, A.-K., Salmenkallio-Marttila, M., La?hteenma?ki, L., Laaksonen, D. E., Herzig, K.-H. et al. 2009. Viscosity of oat bran-enriched beverages influences gastrointestinal hormonal responses in healthy humans. J. Nutr. 139: 461-466. 

  9. Korea Agro-Fisheries and Food Trade Corporation. 2018. Korea Agro-Fisheries & Food Trade Information. Korea Agro-Fisheries & Food Trade Corporation, Naju. 

  10. Kumar, S., Stecher, G., Li, M., Knyaz, C. and Tamura, K. 2018. MEGA X: molecular evolutionary genetics analysis across computing platforms. Mol. Biol. Evol. 35: 1547-1549. 

  11. Liu, Y. J., Whelen, S. and Hall, B. D. 1999. Phylogenetic relationships among ascomycetes: evidence from an RNA polymerse II subunit. Mol. Biol. Evol. 16: 1799-1808. 

  12. Maki, K. C., Shinnick, F., Seeley, M. A., Veith, P. E., Quinn, L. C., Hallissey, P. J. et al. 2003. Food products containing free tall oilbased phytosterols and oat ${\beta}$ -glucan lower serum total and LDL cholesterol in hypercholesterolemic adults. J. Nutr. 133: 808-813. 

  13. Nganje, W. E., Bangsund, D. A., Leistritz, F. L., Wilson, W. W. and Tiapo, N. M. 2004. Regional economic impacts of Fusarium head blight in wheat and barley. Rev. Agric. Econ. 26: 332-347. 

  14. O'Donnell, K., Kistler, H. C., Cigelnik, E. and Ploetz, R. C. 1998. Multiple evolutionary origins of the fungus causing Panama disease of banana: concordant evidence from nuclear and mitochondrial gene genealogies. Proc. Natl. Acad. Sci. U. S. A. 95: 2044-2049. 

  15. Parry, D., Jenkinson, P. and McLeod, L. 1995. Fusarium ear blight (scab) in small grain cereals: a review. Plant Pathol. 44: 207-238. 

  16. Schloss, P. D., Westcott, S. L., Ryabin, T., Hall, J. R., Hartmann, M., Hollister, E. B. et al. 2009. Introducing mothur: open-source, platform-independent, community-supported software for describing and comparing microbial communities. Appl. Environ. Microbiol. 75: 7537-7541. 

  17. Schoneberg, T., Kibler, K., Wettstein, F. E., Bucheli, T. D., Forrer, H. R., Musa, T. et al. 2019. Influence of temperature, humidity duration and growth stage on the infection and mycotoxin production by Fusarium langsethiae and Fusarium poae in oats. Plant Pathol. 68: 173-184. 

  18. Shin, S., Son, J.-H., Park, J.-C., Kim, K.-H., Yoon, Y.-M., Cheong, Y.-K. et al. 2018. Comparative pathogenicity of Fusarium graminearum isolates from wheat kernels in Korea. Plant Pathol. J. 34: 347-355. 

  19. van der Lee, T., Zhang, H., van Diepeningen, A. and Waalwijk, C. 2015. Biogeography of Fusarium graminearum species complex and chemotypes: a review. Food Addit. Contam. Part A Chem. Anal. Control Expo. Risk Assess. 32: 453-460. 

  20. Ward, T. J., Clear, R. M., Rooney, A. P., O'Donnell, K., Gaba, D., Patrick, S. et al. 2008. An adaptive evolutionary shift in Fusarium head blight pathogen populations is driving the rapid spread of more toxigenic Fusarium graminearum in North America. Fungal Genet. Biol. 45: 473-484. 

  21. White, T., Bruns, T., Lee, S. and Taylor, J. 1990. Amplification and direct sequencing of fungal ribosomal RNA genes for phylogenetics. In: PCR Protocols: A Guide to Methods and Applications, eds. by M. A. Innis, D. H. Gelfand, J. J. Sninsky and T. J. White, pp. 315-322. Academic Press, New York, NY, USA. 

  22. Xue, A. G., Chen, Y., Seifert, K., Guo, W., Blackwell, B. A., Harris, L. J. et al. 2019. Prevalence of Fusarium species causing head blight of spring wheat, barley and oat in Ontario during 2001-2017. Can. J. Plant Pathol. 41: 392-402. 

  23. Yli-Mattila, T. 2010. Ecology and evolution of toxigenic Fusarium species in cereals in northern Europe and Asia. J. Plant Pathol. 92: 7-18.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