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 수수 알곡에서의 Fusarium속 균의 발생현황
Occurrence of Fusarium Species in Korean Sorghum Grains 원문보기

Research in plant disease = 식물병연구, v.25 no.4, 2019년, pp.213 - 219  

최정혜 (국립농업과학원 유해생물팀) ,  나주영 (국립농업과학원 유해생물팀) ,  진현숙 (국립농업과학원 유해생물팀) ,  임수빈 (국립농업과학원 유해생물팀) ,  백지선 (국립농업과학원 유해생물팀) ,  이미정 (국립농업과학원 유해생물팀) ,  장자영 (국립농업과학원 유해생물팀) ,  이데레사 (국립농업과학원 유해생물팀) ,  홍성기 (국립농업과학원 작물보호과) ,  최효원 (국립농업과학원 작물보호과) ,  김점순 (국립농업과학원 유해생물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2017년, 2018년에 단양과 영월에서 재배된 수수에서 1,159점의 Fusarium 균주를 분리하여 유전적, 독성학적, 병리학적 특성을 규명하였다. TEF-1α와 RPB2 유전자를 이용한 계통수 분석결과 수수는 17종의 Fusarium 종들로 오염되었으며, 이 중 F. graminearum, F. proliferatum, F. thapsinum, F. incarnatum, F. asiaticum 등이 주요 우점종이었다. F. graminearum과 F. asiaticum 중에는 F. graminearum-15-acetyl deoxynivalenol 화학형과 F. asiaticum-nivalenol 화학형 균들이 우점하였다. F. thapsinum과 FTSC 11을 제외한 6개의 Fusarium 종이 하나 이상의 독소를 생성하였다. F. proliferatum과 F. fujikuroi 균주 들 중 각각 76.0%와 81.6%가 FUM1 유전자를 가지고 있으며, 일부 균주는 고농도(1,000 ㎍ 이상)의 푸모니신을 생성하였다. F. proliferatum과 F. thapsinum이 다른 종에 비해 높은 수수 병원성을 나타내었다. 이러한 결과는 수수의 Fusarium종들이 여러 종의 독소를 생성할 수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 total of 1,159 Fusarium strains were isolated from sorghum grown in Danyang and Youngwol in 2017 and 2018. The isolates were analyzed to reveal genetic, toxigenic and pathogenic characteristics. Phylogenetic analysis using TEF-1α and RPB2 genes showed that the samples were contaminated with...

주제어

표/그림 (6)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Fusarium균은 다양한 작물의 여러 부위에 병을 일으키는데 일부 종은 곡물의 알곡에 발생하여 수량 및 품질을 떨어뜨릴 뿐 아니라 이차대사 산물인 독소를 생성하여 사람이나 가축에 피해를 주기도 한다 (Leslie 등, 2005; Sharma 등, 2011). 본 연구는 최근 건강기능성 식품으로 각광받고 있는 수수의 안전성 제고를 위한 기초자료로 국내 수수 재배지에서 채집한 알곡에서 분리된 Fusarium속 균의 유전적 다양성, 병원성 및 독소생성능을 분석한 결과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수수란 무엇인가? 수수[Sorghum bicolor (L.) Moench]는 아프리카 대륙이 원산 지이며 밀, 쌀, 옥수수, 보리에 이어 세계에서 다섯 번째로 생산 량이 많고 전 세계 인구의 5억 명 이상이 주식으로 섭취하는 중요한 식량작물이다. 최근 우리나라의 재배면적은 1,500–2,000 ha로서 밥에 섞어 먹거나 떡, 술 등을 만들 때 이용되며 항산화 성분과 비타민, 미량원소 등이 많아 건강기능성 식품으로 주목받고 있다(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2018).
1,159점의 Fusarium 균주를 분리하여 무슨 특성을 규명했는가? 2017년, 2018년에 단양과 영월에서 재배된 수수에서 1,159점의 Fusarium 균주를 분리하여 유전적, 독성학적, 병리학적 특성을 규명하였다. TEF-1α와 RPB2 유전자를 이용한 계통수 분석결과 수수는 17종의 Fusarium 종들로 오염되었으며, 이 중 F.
우리나라의 수수 재배면적은 얼마인가? ) Moench]는 아프리카 대륙이 원산 지이며 밀, 쌀, 옥수수, 보리에 이어 세계에서 다섯 번째로 생산 량이 많고 전 세계 인구의 5억 명 이상이 주식으로 섭취하는 중요한 식량작물이다. 최근 우리나라의 재배면적은 1,500–2,000 ha로서 밥에 섞어 먹거나 떡, 술 등을 만들 때 이용되며 항산화 성분과 비타민, 미량원소 등이 많아 건강기능성 식품으로 주목받고 있다(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2018). 수수 알곡에는 Fusarium, Curvularia, Alternaria, Phoma, Bipolaris와 Colletotrichum속 등 많은 곰팡이가 발생하며 Fusarium균이 우점하는 것으로 보고되었다(Thakur 등, 2003).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5)

  1. An, T. J., Shin, K. S., Paul, N. C., Kim, Y. G., Cha, S. W., Moon, Y. et al. 2016. Prevalence, characterization, and mycotoxin production ability of Fusarium species on Korean adlay (Coix lacrymal-jobi L.) seeds. Toxins 8: 310. 

  2. Aoyama, K., Ishikuro, E., Nishiwaki, M. and Ichinoe, M. 2009. Zearalenone contamination and the causative fungi in sorghum. J. Food Hyg. Soc. Jpn. 50: 47-51. 

  3. Chi, M.-H., Park, S.-Y. and Lee, Y.-H. 2009. A quick and safe method for fungal DNA extraction. Plant Pathol. J. 25: 108-111. 

  4. Choi, H.-W., Hong, S. K., Lee, Y. K. and Kim, W. G. 2013. Diversity and pathogenicity of Fusarium species associated with grain mold of sorghum. Korean J. Mycol. 41: 142-148. (In Korean) 

  5. Choi, J.-H., Lee, S., Nah, J.-Y., Kim, H.-K., Paek, J.-S., Lee, S. et al. 2018. Species composition of and fumonisin production by the Fusarium fujikuroi species complex isolated from Korean cereals. Int. J. Food Microbiol. 267: 62-69. 

  6. Erpelding, J. E. and Prom, L. K. 2006. Seed mycoflora for grain mold from natural infection in sorghum germplasm grown at Isabela, Puerto Rico and their association with kernel weight and germination. Plant Pathol. J. 5: 106-112. 

  7. Jang, J. Y., Kim, S., Jin, H. S., Baek, S. G., O, S., Kim, K. et al. 2018. Occurrence of toxigenic Fusarium spp. and zearalenone in scabby rice grains and healthy ones. Res. Plant. Dis. 24: 308-312. (In Korean) 

  8. Jeon, Y.-A., Yu, S.-H., Lee, Y. Y., Park, H.-J., Lee, S., Sung, J. S. et al. 2013. Incidence, molecular characteristics and pathogenicity of Gibberella fujikuroi species complex associated with rice seeds from Asian countries. Mycobiology 41: 225-233. 

  9. Kosiak, E. B,, Holst-Jensen, A., Rundberget, T., Jaen, M. T. G. and Torp, M. 2005. Morphological, chemical and molecular differentiation of Fusarium equiseti isolated from Norwegian cereals. Int. J. Food Microbiol. 99: 195-206. 

  10. Kumar, S., Stecher, G., Li, M., Knyaz, C. and Tamura, K. 2018. MEGA X: molecular evolutionary genetics analysis across computing platforms. Mol. Biol. Evol. 35: 1547-1549. 

  11. Lee, S.-H., Lee, J., Nam, Y. J., Lee, S., Ryu, J.-G. and Lee, T. 2010. Population structure of Fusarium graminearum from maize and rice in 2009 in Korea. Plant Pathol. J. 26: 321-327. 

  12. Lehotay, S. J., Mastovska, K. and Lightfield, A. R. 2005. Use of buffering and other means to improve results of problematic pesticides in a fast and easy method for residue analysis of fruits and vegetables. J. AOAC Int. 88: 615-629. 

  13. Leslie, J. F., Zeller, K. A., Lamprecht, S. C., Rheeder, J. P. and Marasas, W. F. O. 2005. Toxicity, pathogenicity, and genetic differentiation of five species of Fusarium from sorghum and millet. Phytopathology 95: 275-283. 

  14. Little, C. R. and Magill, C. W. 2009. The grain mold pathogen, Fusarium thapsinum, reduces caryopsis formation in Sorghum bicolor. J. Phytopathol. 157: 518-519. 

  15. Liu, Y. J., Whelen, S. and Hall, B. D. 1999. Phylogenetic relationships among ascomycetes: evidence from an RNA polymerse II subunit. Mol. Biol. Evol. 16: 1799-1808. 

  16. Melake-Berhan, A., Butler, L. G., Ejeta, G. and Menkir, A. 1996. Grain mold resistance and polyphenol accumulation in sorghum. J. Agric. Food Chem. 44: 2428-2434. 

  17. O'Donnell, K., Kistler, H. C., Cigelnik, E. and Ploetz, R. C. 1998. Multiple evolutionary origins of the fungus causing Panama disease of banana: concordant evidence from nuclear and mitochondrial gene genealogies. Proc. Natl. Acad. Sci. U. S. A. 95: 2044-2049. 

  18. Proctor, R. H., Plattner, R. D., Brown, D. W., Seo, J. A. and Lee, Y. W. 2004. Discontinuous distribution of fumonisin biosynthetic genes in the Gibberella fujikuroi species complex. Mycol. Res. 108: 815-822. 

  19.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2018. Handbook to Agricultural Technology 196: Sorghum.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Jeonju, Korea. 8 pp. (In Korean) 

  20. Sharma, R., Thakur, R. P., Senthilvel, S., Nayak, S., Reddy, S. V., Rao, V. P. et al. 2011. Identific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toxigenic Fusaria associated with sorghum grain mold complex in India. Mycopathologia 171: 223-230. 

  21. Shotwell, O. L., Bennett, G. A., Goulden, M. L., Plattner, R. D. and Hesseltine, C. W. 1980. Survey for zearalenone, aflatoxin and ochratoxin in U.S. grain sorghum from 1975 and 1976 crops. J. Assoc. Off. Anal. Chem. 63: 922-926. 

  22. Thakur, R. P., Rao, V. P., Navi, S. S., Garud, T. B., Agarkar, G. D. and Bhat, B. 2003. Sorghum grain mold: variability in fungal complex. Int. Sorghum Millets Newsl. 2003: 104-108. 

  23. van der Lee, T., Zhang, H., Diepeningen, A. and Waalwijk, C. 2015. Biogeography of Fusarium graminearum species complex and chemotypes: a review. Food Addit. Contam. Part A Chem. Anal. Control Expo. Risk Assess. 32: 453-460. 

  24. Ward, T. J., Bielawski, J. P., Kistler, H. C., Sullivan, E. and O'Donnell, K. 2002. Ancestral polymorphism and adaptive evolution in the trichothecene mycotoxin gene cluster of phytopathogenic Fusarium. Proc. Natl. Acad. Sci. U. S. A. 99: 9278-9283. 

  25. Zhang, H., Zhang, Z., van der Lee, T., Chen, W. Q., Xu, J., Xu, J. S. et al. 2010. Population genetic analyses of Fusarium asiaticum populations from barley suggest a recent shift favoring 3ADON producers in southern China. Phytopathology 100: 328-336.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