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산불발생위험 추정을 위한 위성기반 가뭄지수 개발
Development of Satellite-based Drought Indices for Assessing Wildfire Risk 원문보기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Korean journal of remote sensing, v.35 no.6 pt.3, 2019년, pp.1285 - 1298  

박수민 (울산과학기술원 도시환경공학부) ,  손보경 (울산과학기술원 도시환경공학부) ,  임정호 (울산과학기술원 도시환경공학부) ,  이재세 (울산과학기술원 도시환경공학부) ,  이병두 (국립산림과학원 산림보전부) ,  권춘근 (국립산림과학원 산림보전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가뭄은 산불을 일으킬 수 있는 요소 중 하나로, 산불의 빈도 및 피해 면적과 연관성이 있다. 특히, 우리나라는 가뭄이 주로 발생하는 건조한 봄과 가을에 산불이 많이 발생하고, 그 중 일부는 강풍을 동반하여 대형산불로 번지는 경향을 보인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를 대상으로 산불발생 및 면적과 가뭄 변수의 관련성을 파악하고, 우리나라에 적합한 가뭄 변수를 이용하여 산불발생위험 추정을 위한 위성기반의 가뭄지수를 개발하였다. 사용한 가뭄 변수는 다운스케일링(downscaling)한 고해상도의 토양수분, Normalized Different Water Index(NDWI), Normalized Multi-band Drought Index(NMDI), Normalized Different Drought Index(NDDI), Temperature Condition Index(TCI), Precipitation Condition Index(PCI), Vegetation Condition Index(VCI)이며, 경험적 가중 선형조합(Weighted Linear Combination) 및 One-class SVM을 통해 지수 개발을 하였다. 2013년부터 2017년 기간 동안의 변수를 이용하여 상관성 분석을 통해 대부분의 가뭄 변수가 산불 발생에 유의미한 결과를 보임을 확인했으며, 특히 토양수분과 NDWI, PCI가 우리나라 산불과 상관성을 보였다(88 % 이상 일치함). 개발된 지수를 2018년 산불 발생 건에 대해 적용한 결과, 다섯 가지의 선형조합 중에서 토양수분과 NDWI의 조합이 시 공간적으로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One-class SVM은 대형산불에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Drought is one of the factors that can cause wildfires. Drought is related to not only the occurrence of wildfires but also their frequency, extent and severity. In South Korea, most wildfires occur in dry seasons (i.e. spring and autumn), which are highly correlated to drought events. In this study...

주제어

표/그림 (10)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Margin Support vectors를 기준으로 내부 vectors는 class가 할당되고, 외부에 있는 vectors는 이상치로 구분된다. 기존의 이진분류 SVM을 사용하여 기계학습 모델을 개발할 경우 산불 비 발생 샘플 추출에 대한 개발자의 주관적인 견해가 포함되므로 본 연구에서는 기계학습 기법 중 하나인 One-Class SVM을 통한 산불 발생과 관련된 가뭄지수 또한 개발하였다. 앞선 선형 가중치 적용에 사용된 모든 인자를 입력변수로 하여 커널(kernel)함수는 방사기저함수(Radial basis function, RBF)를 이용하였다.
  • 주로 2-5월인 봄철과 11-12월인 가을철에 주로 발생하며,이는 우리나라의 가뭄 발생 기간과 거의 일치한다(Yoon and Won, 2016).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를 대상으로 위성기반의 다중 가뭄 인자를 활용하여 산불발생위험을 대변할 수 있는 가뭄지수를 개발하였다. Global Land Data Assimilation System(GLDAS)의 토양수분을 1 km로 다운스케일링(downscaling)한 고해상도의 토양수분(soil moisture), MODIS의 지표반사도(surface reflectance), 지표면 온도(land surface temperature, LST),식생지수(normalized difference vegetation index, NDVI),Tropical Rainfall Measuring Mission (TRMM)의 일 누적강수량을 1 ha 이상의 산불 발생 건(2013-2017년)과 비교·분석하였다.
  • 본 연구는 우리나라의 산불발생에 영향을 끼치는 가뭄 인자를 파악했을 뿐만 아니라 앞선 연구에서 사용하지 않았던 고해상도의 토양수분을 고려하여 산불발생위험을 대변하는 새로운 가뭄 지수를 개발하였다. 단순경험적인 방법 외에 기계학습 기법을 사용하여 가뭄으로 인한 산불발생위험 추정에 대해 기계학습의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 본 연구에서는 산불발생위험 추정을 위한 가뭄지수개발을 위해, 기계학습 종류 중 하나인 랜덤 포레스트를 기반으로 하여 25 km의 토양수분 자료를 1 km의 토양수분으로 고해상도화 하였으며(Fig. 2(a)), 그 외 가뭄 인자와 함께 산불 발생과의 상관성 파악을 통해 향후 지수개발 모델의 입력변수로써 사용하였다(Fig.
  • 본 연구에서는 위성기반의 가뭄 변수를 이용하여 우리나라에 적합한 산불발생위험을 대변하는 가뭄지수를 개발하였다. 가뭄지수 개발에 앞서 기계학습 기법인랜덤 포레스트 기반의 고해상도 토양수분 자료를 산출하여 가뭄 지수 개발에 이용하였다.

가설 설정

  • The overall flowchart of developing satellite-based drought indices for assessing wildfire risk. (a) soil moisture downscaling and (b) drought index development linked to wildfire risk.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One-Class SVM은 어떻게 one class와 이상 치 (outlier)를 구분하는가? One-Class SVM은 기존의 이진분류 및 다중분류 SVM과동일하게 초평면(hyperplane)을 이용하여 one class와 이상 치 (outlier)를 구분한다 (Zhang et al., 2009).
산불관련 가뭄지수 중 하나인 NDDI의 특성은 무엇인가? , 2008), MODIS의 SWIR 파장영역에 속하는 밴드5-7을 NDWI 계산에 각각 이용하였다. NDDI는 NDWI와 식생지수로 계산되는 변수로 두 범위의SWIR 파장 영역을 사용함으로써 지면의 건조함을 나타내는 특성을 가지고 있다(Gu et al., 2007; Kong et al.
랜덤 포레스트 모델의 특징은 무엇인가? 본 연구에서는GLDAS 토양수분 자료의 공간상세화를 위하여 2013-2014년 기간 동안의 ASCAT 토양수분, 8일 합성 지표면 온도, 16일 합성 식생지수, SRTM의 DEM, 5일 누적 강수량과 7일 누적 강수량을 입력변수로 하여 랜덤 포레스트(Random Forest) 기반의 토양수분 다운스케일링 모델을 개발하였다. 사용한 랜덤 포레스트 모델은 훈련 과정에서 독립적인 결정트리(Decision Tree) 그룹을 구성하여 앙상블 기법을 통해 입력변수로부터 종속 변수의 값을 예측하는 기계학습 기법 중 하나이며(Breiman, 2001),기존의 기계학습 기반의 위성 산출물 다운스케일링 연구에서 다른 기계학습 기법 보다 상대적으로 우수한 성능을 보였다(Im et al., 2016; Ke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