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탄소나노튜브 위에 전도성 고분자가 코팅된 하이브리드형 투명전극의 특성
Characteristics of Hybrid-type Transparent Electrodes Fabricated by Coating Carbon Nanotubes with Conductive Polymers 원문보기

반도체디스플레이기술학회지 = Journal of the semiconductor & display technology, v.18 no.3, 2019년, pp.36 - 41  

박진석 (한양대학교 전자공학과) ,  박종설 (한양대학교 전자공학과) ,  김부종 (한양대학교 전자공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Hybrid-type transparent electrodes were fabricated by depositing carbon nanotubes (CNTs) via spray coating on 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substrates and then coating the CNTs with [poly(3,4-ethylenedioxythiophene)] (PEDOT) films via electro-polymerization. For all of the fabricated electrodes,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제안 방법

  • Fig. 1(a)은 본 연구에서 PEDOT를 CNT 위에 코팅하기 위해 사용한 전기중합장치의 개념도를 나타낸 것으로서, SDS가 포함된 PEDOT 용액을 넣은 중합기에 reference-전극(Ag/AgCl)을 설치하고 이를 기준으로 working-전극(CNT)과 counter-전극 (Pt) 사이에 동일한 전압(V1-2 = V1-3)을 인가하였다. 여기서, 두 전극 1과 2 사이의 거리는 10mm로 유지하고 인가전압이 특정한 값 이상이 되면 counter-전극에서의 환원반응(reduction reaction)이 일어나 전자가 방출하게 되고 이 전자들은 working-전극쪽으로 이동하여 산화반응(oxidation reaction)을 일으킨다.
  • CNT를 증착하기 위한 유연 기판으로는 PET(polyethylene terephthalate)를 사용하였고, CNT와의 응착력을 높이기 위하여 코로나 플라즈마 장치를 이용하여 CNT의 증착 이전에 PET 기판의 표면을 개질하였다.[16] CNT는 용액 공정 방법의 하나인 스프레이 코팅(spray coating) 방법을 이용하여 증착하였고, 여기에 사용된 CNT 용액의 제조과정은 다음과 같다.
  • Fig. 4의 결과에 대한 이유를 규명하기 위하여 두께가 다른 두 개씩의 CNT 시료(즉, ‘C1’ 및 ‘C2’) 및 PEDOT 시료(즉, ‘P1’ 및 ‘P2’), 또 동일한 두께의 CNT 위에 두께가 다른 PEDOT를 코팅한 두 개의 하이브리드 시료(즉, ‘C2P1’ 및 ‘C2P2’)들에 대하여 360~740nm의 가시광선 파장 영역에서 광투과율을 측정하여 그 결과를 Fig. 5에 비교하였다.
  • 8ml의 3,4-ethylenedioxythiophene (EDOT)와 240mg의 SDS를 200ml의 탈이온수에 혼합하고 약 30분간 초음파 처리된 용액을 이용하여 전기중합 방법으로 CNT 위에 PEDOT를 선택적으로 중합 및 코팅하였다. PEDOT의 전기중합 시 인가전압은 2V 및 3V로, 중합시간은 60초 및 120초로 각각 달리하였다. 또한, CNT에 포함된 SDS 계면활성제를 제거하기 위하여[18] 제작된 CNT-PEDOT 하이브리드 전극의 일부를 질산에 30초간 담가 후처리를 시행하였다.
  • 여기서, 계면활성제는 SDS(sodium dodecyl sulfate)를 사용하였는데, 이는 CNT의 응집(agglomeration)을 억제하는 역할을 한다.[17] 분산 처리된 CNT를 원심분리기를 이용하여 약 4000rpm의 속도에서 약 30분간 분리한 후 최종적으로 상층부의 잘 분리된 CNT 용액을 추출하였다. 다음으로, 이와 같이 추출된 CNT 용액을 사용하여 80°C 온도로 가열된 열판 위에서 분사압력 0.
  • 5ml/min, 분사시간 240초 등의 스프레이 코팅 조건으로 PET 기판 위에 CNT를 증착하였다. 끝으로, 0.8ml의 3,4-ethylenedioxythiophene (EDOT)와 240mg의 SDS를 200ml의 탈이온수에 혼합하고 약 30분간 초음파 처리된 용액을 이용하여 전기중합 방법으로 CNT 위에 PEDOT를 선택적으로 중합 및 코팅하였다. PEDOT의 전기중합 시 인가전압은 2V 및 3V로, 중합시간은 60초 및 120초로 각각 달리하였다.
  • 다음으로, 이와 같이 추출된 CNT 용액을 사용하여 80°C 온도로 가열된 열판 위에서 분사압력 0.2MPa, 분사속도 0.5ml/min, 분사시간 240초 등의 스프레이 코팅 조건으로 PET 기판 위에 CNT를 증착하였다.
  • PEDOT의 전기중합 시 인가전압은 2V 및 3V로, 중합시간은 60초 및 120초로 각각 달리하였다. 또한, CNT에 포함된 SDS 계면활성제를 제거하기 위하여[18] 제작된 CNT-PEDOT 하이브리드 전극의 일부를 질산에 30초간 담가 후처리를 시행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작한 CNT 전극 및 CNT-PEDOT 하이브리드 전극 시료들에 대하여 PEDOT의 전기중합 조건 및 질산 후처리 여부 등에 따라 시료 번호를 부여하여 Table 1에 정리하였다.
  • 특히, 광투과율의 저하를 최소화하기 위하여 전기중합(electro-polymerization) 방법을 이용하여 PEDOT를 CNT 위에만 선택적으로 코팅하였다. 또한, PEDOT의 전기중합 조건에 따라 제작된 하이브리드 전극의 광투과율 뿐 아니라 전기적 면저항, 색도 특성(chromaticity: yellowness 및 redness)의 변화를 체계적으로 분석하였다.
  • 본 연구에서 스프레이 코팅 방법으로 PET 기판 위에 증착한 CNT 및 그 위에 전기중합 방법으로 PEDOT를 코팅한 하이브리드 전극 시료들의 표면형상을 FESEM(field emission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SIGMA, Carl Zeiss)을 이용하여 측정하고, 그 결과들을 PEDOT의 전기중합 조건에 따라 비교, 분석하였다. 또한, 제작된 전극시료의 전기적 면저항 및 광투과율을 4-point probe(Chang Min Tech, CRT-SR-100) 및 spectrum colorimeter (Konica Minolta, CM-5) 등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특히, 광투과율 측정시 전극의 색도 특성을 표현하는 yellowness 및 redness 등에 대한 정량적 값들도 함께 산출하였다.
  • 본 연구에서 스프레이 코팅 방법으로 PET 기판 위에 증착한 CNT 및 그 위에 전기중합 방법으로 PEDOT를 코팅한 하이브리드 전극 시료들의 표면형상을 FESEM(field emission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SIGMA, Carl Zeiss)을 이용하여 측정하고, 그 결과들을 PEDOT의 전기중합 조건에 따라 비교, 분석하였다. 또한, 제작된 전극시료의 전기적 면저항 및 광투과율을 4-point probe(Chang Min Tech, CRT-SR-100) 및 spectrum colorimeter (Konica Minolta, CM-5) 등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CNT 위에 PEDOT 고분자를 코팅한 하이브리드 투명전극을 제작하고, PEDOT의 전기중합 조건에 따라 전극의 가시광 투과율, 전기적 면저항, 색도 특성 등의 변화를 분석하였다. 제작된 전극시료들에 대한 FESEM 표면형상의 측정 결과, 전기중합 방법에 의해 CNT 위에 PEDOT층이 선택적으로 코팅되었음을 확인하였고, 이는 PEDOT의 코팅에 따른 전극의 투과율 감소는 억제하면서 CNT 사이의 전자 이동을 용이하게 함으로써 전극의 면저항이 감소하는 효과가 발생하였고, 질산 후처리를 통한 계면활성제의 제거 효과로 전극의 면저항을 현저히 더 줄일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CNT 위에 전도성 고분자 물질의 하나 인 poly(3,4-ethylenedioxythiophene) (PEDOT)를 코팅하여 하이브리드 투명전극을 제작하였다. 특히, 광투과율의 저하를 최소화하기 위하여 전기중합(electro-polymerization) 방법을 이용하여 PEDOT를 CNT 위에만 선택적으로 코팅하였다.
  • [16] CNT는 용액 공정 방법의 하나인 스프레이 코팅(spray coating) 방법을 이용하여 증착하였고, 여기에 사용된 CNT 용액의 제조과정은 다음과 같다. 우선 CNT에 포함된 불순물을 제거하기 위하여 10mg의 CNT 분말을 부피비가 2:1로 혼합되어 있는 황산과 질산에 넣고 초음파 교반기에서 20분간 정제하였다. 정제된 CNT를 진공 필터로 여과하고 50ml의 탈이온수(deionized water)와 40mg의 음이온 계면활성제(anionic surfactant)가 혼합된 용액에 넣고 약 30분간 초음파로 분산하였다.
  • 두 전극 사이의 인가접압이 약 1V 정도가 되면서 전극 사이에 전류가 흐르기 시작하여 그 이상 인가전압을 증가시킴에 따라 이 전류의 크기도 거의 선형적으로 증가하는 것을 알 수 있는데, 이는 본 실험에서 PEDOT의 전기중합에 필요한 임계전압이 약 1V 정도이며 PEDOT의 전기중합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음을 의미한다. 이를 근거로 본 연구에서 CNT 위에 PEDOT 고분자의 증착 시 전기중합 인가전압을 2~3V의 범위로 조절하였고 중합시간은 60~120초 동안 수행하였다.
  • 우선 CNT에 포함된 불순물을 제거하기 위하여 10mg의 CNT 분말을 부피비가 2:1로 혼합되어 있는 황산과 질산에 넣고 초음파 교반기에서 20분간 정제하였다. 정제된 CNT를 진공 필터로 여과하고 50ml의 탈이온수(deionized water)와 40mg의 음이온 계면활성제(anionic surfactant)가 혼합된 용액에 넣고 약 30분간 초음파로 분산하였다. 여기서, 계면활성제는 SDS(sodium dodecyl sulfate)를 사용하였는데, 이는 CNT의 응집(agglomeration)을 억제하는 역할을 한다.
  • 또한, 제작된 전극시료의 전기적 면저항 및 광투과율을 4-point probe(Chang Min Tech, CRT-SR-100) 및 spectrum colorimeter (Konica Minolta, CM-5) 등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특히, 광투과율 측정시 전극의 색도 특성을 표현하는 yellowness 및 redness 등에 대한 정량적 값들도 함께 산출하였다.

대상 데이터

  • 일반적으로 계면활성제로 사용되는 SDS는 전자의 흐름을 방해하는 작용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전기중합시 PEDOT와 SDS를 혼합한 용액을 사용하였는데, 질산처리에 의해 전극의 면저항이 더 감소한 것은 질산처리에 의해 전극에 포함되어 있던 SDS의 일부가 제거되었기 때문이라 사료된다.

이론/모형

  • 본 연구에서는 CNT 위에 전도성 고분자 물질의 하나 인 poly(3,4-ethylenedioxythiophene) (PEDOT)를 코팅하여 하이브리드 투명전극을 제작하였다. 특히, 광투과율의 저하를 최소화하기 위하여 전기중합(electro-polymerization) 방법을 이용하여 PEDOT를 CNT 위에만 선택적으로 코팅하였다. 또한, PEDOT의 전기중합 조건에 따라 제작된 하이브리드 전극의 광투과율 뿐 아니라 전기적 면저항, 색도 특성(chromaticity: yellowness 및 redness)의 변화를 체계적으로 분석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탄소나노튜브가 가지고 있는 단점은 무엇이 있는가? 그러나, CNT는 관형태(tube-type)의 구조적 특성에 기인하여 기판위에 균일한 증착이 쉽지 않으며, 관과 관 사이의 비교적 큰 접촉 저항 때문에 투명전극으로 사용되기에는 면저항이 비교적 높은 단점이 있다.[9] 최근에 그래핀, 은 나노와이어, 전도성 고분자 등을 CNT와 다층 구조로 형성한 하이브리드(hybrid) 형태의 전극을 제작하여 CNT의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연구가 보고된 바 있다.
전도성 고분자는 어떤 장치를 통해 저렴한 가격으로 균일한 박막을 증착할 수 있는가? 또한, 은(Ag) 나노와이어의 경우에는 구조적인 특성상 균일성이 떨어져서 투명전극으로 사용시 종종 단락(short circuit) 현상이 발생하고, 표면의 거칠기가 크기 때문에 빛의 산란 현상에 의한 헤이즈(haze)가 나타나 투명전극의 시인성(visibility) 측면에서 문제가 있다.[12] 이에 비하여 전도성 고분자는 높은 광투과율을 가지며, 스핀코팅(spin coating) [13], 롤코팅(roll coating) [14], 스롯다이코팅(slot die coating)[15] 등과 같이 장치가 간단한 다양한 용액기반(solution-base) 장치를 이용하여 저렴한 가격으로 균일한 박막을 증착할 수 있다. 그러나, 기존의 연구들에서는 CNT위에 전도성 고분자를 전면 코팅하여 하이브리드 전극을 제작하였기 때문에 광투과율이 심각하게 저하되는 단점을 보였으며, 전도성 고분자의 코팅에 따른 하이브리드 투명전극의 전기적 면저항의 변화나 광학적 시인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사례는 찾아 볼 수 없다.
탄소나노튜브는 어떤 분야의 신소재로 개발되고 있는가? 탄소나노튜브(carbon nanotube, CNT)는 화학적 안정성, 우수한 열적, 전기적, 기계적 특성을 이용하여 바이오 센서, 초용량 커패시터, X-선용 냉음극 등 다양한 분야의 신소재로서 개발되고 있다.[1-2] 또한, 최근에는 가시광 투과율과 전기적 전도도가 높기 때문에 그래핀(graphene), 금속 나노와이어(metal nanowire), 금속 그물망(metal mesh), 전도성 고분자(conductive polymer) 등과 더불어 기존의 인듐-주석산화물(indium-tin-oxide, ITO)을 대체할 새로운 투명전극 소재로서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0)

  1. Guangxia Yu, Weixiang Wu, Qiang Zhao, Xiaoyun Wei and Qing Lu, "Efficient immobilization of acetylcholinesterase onto amino functionalized carbon nanotubes for the fabrication of high sensitive organophosphorus pesticides biosensors", Biosens. Bioelectron. Vol. 68, pp. 288-294, 2015. 

  2. Min Li, Fu Liu, J.P. Cheng, J. Ying and X.B. Zhang, "Enhanced performance of nickel-aluminum layered double hydroxide nanosheets_carbon nanotubes composite for supercapacitor and asymmetric capacitor", J. Alloy. Compd. Vol. 635, pp. 225-232, 2015. 

  3. Xoz M. G., Cheng Z. F., Han J. Y. and Zhang S. L., "Extremely stretchable all-carbon-nanotube transistor on flexible and transparent substrates", Appl. Phys. Lett. Vol. 105, pp.143504, 2014. 

  4. Chen Y. Z., Medinam H., Tsai H. W., Wang Y. C., Yen Y. T., Manikandan A. and Chieh Y. L., "Low Temperature Growth of Graphene on Glass by Carbon-Enclosed Chemical Vapor Deposition Process and Its Application as Transparent Electrode", Chem. Mat. Vol. 27, pp.1646-1655, 2015. 

  5. Zilberberg K., Gasse F., Pagui R., Polywka A., Behrendt A., Trost A., Heiderhoff R., Gorrn P. and Riedl T., "Highly Robust Indium-Free Transparent Conductive Electrodes Based on Composites of Silver Nanowires and Conductive Metal Oxides", Adv. Mater. Vol. 24, pp. 1671-1678, 2014. 

  6. Yang G. H., Liu B., Cheng K. and Du Z., "Modulation of optical transmittance and conductivity by the period, linewidth and height of Au square mesh electrodes", Opt. Express. Vol. 23, pp. A62-A70, 2015. 

  7. Park J. M., Wang Z. J., Kwon D. J., Gu G. Y. and DeVries K. L., Electrical properties of transparent CNT and ITO coatings on PET substrate including nanostructural aspects, Solid-State Electron. Vol. 79, pp. 147-151, 2013. 

  8. Wang X., li Z., Xu W., Kulkarni S. A., Batabyal S. K., Zhang S., Cao A. and Wong L, H., "TiO2 nanotube arrays based flexible perovskite solar cells with transparent carbon nanotube electrode", Nano Energy. Vol. 11, pp. 728-735, 2015. 

  9. Dong P., Zhu Y., Zhang J., Hao F., Wu J., Lei S., Lin H., Hauge R. H., Tour J. M. and J. Lou, "Vertically aligned carbon nanotubesgraphene hybrid electrode as a TCO_and Pt-free flexible cathode for application in solar cells", J. Mater. Chem. A. Vol. 2, pp. 20902-20907, 2014. 

  10. Lee C. S., Yoo J. E., Shin K., Paek C.O. and Bae J.," Carbon nanotube-silver nanowire composite networks on flexible substrates High reliability and application for supercapacitor electrodes, Phys". Status Solidi A-Appl. Mat. Vol. 211, pp.2890-2897, 2014. 

  11. Lin J. Y., Wang W. Y. and Chou S. W., "Flexible carbon nanotube_polypropylene composite plate decorated with poly(3,4-ethylenedioxythiophene) as efficient counter electrodes for dye-sensitized solar cells", J. Power Sources. Vol. 282, pp.348-357, 2015. 

  12. Yoo J. H., Kim Y. K., Han M. K., Choi S. H., Song K.Y., Chung K. C., Kim J. M. and Kwak J. H., "Silver Nanowire-Conducting Polymer-ITO Hybrids for Flexible and Transparent Conductive Electrodes with Excellent Durability", ACS Appl. Mater. Interfaces. Vol. 29, pp. 15928-15934, 2015. 

  13. Blattmann C. O., Sotiriou G. A. and Pratsinis S. E., "Rapid synthesis of flexible conductive polymer nanocomposite films", Nanotechnology. Vol. 26, pp. 125601, 2015. 

  14. Wang H., Liu Y., Fei G. and Lan J., "Preparation, morphology, and conductivity of waterborne, nanostructured, cationic polyurethanepolypyrrole conductive coatings", J. Appl. Polym. Sci. Vol. 41445, pp. 1-11, 2015. 

  15. Wengeler L., Schmitt M., Peters K., Scharfer P. and Schabel W., "Comparison of large scale coating techniques for organic and hybrid films in polymer based solar cells". Chem. Eng. Process. Vol. 68, pp. 38-44, 2013. 

  16. S.H. Han, B.J. Kim, J.S. Park, Effects of the corona pretreatment of PET substrates on the properties of flexible transparent CNT electrodes, Thin Solid Films. Vol. 572, pp. 73-78, 2014. 

  17. Inzelt G., Pineri M., Schultze J. W. and Vorotyntsev M. A., "Electron and proton conducting polymers_ recent developments and prospects", Electrochim. Acta. Vol. 45, pp. 2403-2421, 2000. 

  18. Bystrzejewski M., Huczko A., Lange H., Gemming T., Buchner B. and Rummeli M. H., "Dispersion and diameter separation of multi-wall carbon nanotubes in aqueous solutions", J. Colloid Interface Sci., Vol. 345, pp. 138-142, 2010. 

  19. Geng H. Z., Kim K. K, So K. P., Lee Y. S., Chang Y. K. and Lee Y. H., "Effect of Acid Treatment on Carbon Nanotube-Based Flexible Transparent Conducting Films", J. Am. Chem. Soc. Vol. 129, pp. 7758-7759, 2007. 

  20. Hecht D. S., Hu L.B. and Irvin G., "Emerging transparent electrodes based on thin films of carbon nanotubes, graphene, and metallic nanostructures", Adv. Mater. Vol. 23, pp. 1482-1513, 2011.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