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전도성 고분자가 코팅된 탄소 나노튜브 투명전극의 특성 분석
Characterization of Transparent Electrodes using Carbon Nanotubes Coated by Conductive Polymers 원문보기

반도체디스플레이기술학회지 = Journal of the semiconductor & display technology, v.13 no.1, 2014년, pp.19 - 25  

김부종 (한양대학교(ERICA) 전자시스템공학과) ,  한상훈 (한양대학교(ERICA) 전자시스템공학과) ,  박진석 (한양대학교(ERICA) 전자시스템공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demonstrates transparent electrodes with characteristics desirable for touch screen panels using carbon nanotubes (CNTs). This has been accomplished by depositing CNTs on glass substrates via spray coating and then depositing thin conductive polymer films on the CNTs via spin coating. Fo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CNT 위에 전도성 고분자 물질의 하나인 PEDOT:PSS(poly(3,4-ethylene-dioxythio-phene):poly(styrenesulfonate))를 코팅한 하이브리드 형태의 투명전극을 제작하고, 터치 스크린 패널의 투명전극으로서의 특성 분석 결과를 제시하였다. 특히, CNT 증착에 사용한 스프레이 코팅(spray coating)의 시간 및 PEDOT:PSS 고분자 박막의 스핀 코팅(spin coating) 증착시 회전 속도(spin speed) 등에 변화를 주어 CNT와 PEDOT:PSS가 다양한 두께로 조합된 하이브리드 시료들을 제작하였고, 이에 따른 시료들의 전기적 면저항, 가시광 투과율 및 yellowness를 포함한 색도 특성 등을 체계적으로 분석하였다.
  • 6(a)와 (b)의 결과로부터 CNT와 PEDOT:PSS의 두께에 따른 b*의 색도 특성이 서로 반대 부호(sign)의 방향으로 변화하는 보색(complementary color)관계가 있음을 알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 결과를 토대로 CNT 위에 PEDOT:PSS 고분자를 코팅한 hybrid 시료의 색도 특성이 상기 두 재료가 가지는 b* 특성의 보색 관계가 어떤 영향을 미치는 지를 분석하였다. Fig.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ITO를 대체할 수 있는 새로운 투명전극 소재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가? 또한, ITO의 주 원소인 인듐(In)은 희귀 원소로서 매장량이 극히 제한되어 있을 뿐 아니라, 최근 주 생산국인 중국이 그 공급량을 제한함에 따라 관련 부품의 가격상승 문제가 대두되고 있다.[3] 따라서, 이러한 ITO를 대체할 목적으로 메탈 메쉬(metal mesh), 은-나노와이어(Ag-nanowire), 전도성 고분자 (conductive polymer), 그래핀(graphene), 탄소 나노 튜브(carbon nanotubes, 이하 “CNTs”) 등을 이용한 새로운 투명전극 소재 개발에 대한 연구가 최근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4-8]. 현재, 상기 소재들의 응용이 가장 먼저 가시화되고 있는 것은 터치 스크린 패널의 투명전극 분야인데, 이를 위해서는 전기적 면저항(sheet resistance, Rsq)이 약 100 Ω/sq 이하이고, 가시광 영역에서의 투과율 (visible-light transmittance, T)이 약 80% 이상이 되어야 하며, 이와 동시에 색도(chromaticity) 특성, 특히 yelloweness(|b*|)가 1 이하의 값을 가져야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3].
CNT와 다른 물질을 혼합한 하이브리드(hybrid) 형태의 투명전극 제작의 문제점은? 그 중에서 전도성 고분자 물질을 CNT에 혼합한 연구들에서는, 전도성 고분자가 CNT 내 튜브와 튜브 사이의 접합저항을 감소시키는 역할을 하여 CNT의 전기적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고 보고하고 있다[13-16]. 그러나, 일반적으로 전도성 고분자 재료는 물질 고유의 성질에 기인하여 파란색을 띠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17], 이는 터치 스크린 패널의 투명전극으로 적용시 전극의 패턴들이 드러나 보이게 되는 문제를 야기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전도성 고분자의 혼합에 따른 CNT 투명전극의 색도 특성 변화를 체계적으로 분석한 연구나 효과적인 색도 조절 방법을 제시한 연구들은 아직까지 문헌에 보고 되고 있지 않다.
ITO의 문제점은? 현재, 디스플레이, 태양전지, 터치 스크린 패널 등 다양한 전자소자의 전도성 투명전극 소재로서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는 인듐-주석-산화물 (indium-tin-oxide, 이하 “ITO”) 박막은 향후 많은 응용이 기대되고 있는 플렉서블(flexible) 전자 소자의 투명 전극소재로 활용되기에는 많은 문제점이 있다. 즉, ITO는 유연성(flexibility)이 부족하여 깨지기 쉬우며, 우수한 전기적 특성을 얻기 위해서는 결정성을 유지해야 하기 때문에 높은 공정온도가 필요하다[1,2]. 또한, ITO의 주 원소인 인듐(In)은 희귀 원소로서 매장량이 극히 제한되어 있을 뿐 아니라, 최근 주 생산국인 중국이 그 공급량을 제한함에 따라 관련 부품의 가격상승 문제가 대두되고 있다.[3] 따라서, 이러한 ITO를 대체할 목적으로 메탈 메쉬(metal mesh), 은-나노와이어(Ag-nanowire), 전도성 고분자 (conductive polymer), 그래핀(graphene), 탄소 나노 튜브(carbon nanotubes, 이하 “CNTs”) 등을 이용한 새로운 투명전극 소재 개발에 대한 연구가 최근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4-8].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J. M. Park, Z. J. Wang, D. J. Kwon, G. Y. Gu, and K. Lawrence DeVries, "Electrical Properties of Transparent CNT and ITO Coatings on PET Substrate Including Nano-structural Aspects", Solid-State Electronics, Vol. 79, pp. 147-151, 2013. 

  2. D. R. Cairns, R. P. Witte, D. K. Sparacin, S. M. Sachsman, D. C. Paine, G. P. Crawford, and R. R. Newton, "Strain-dependent Electrical Resistance of Tin-doped Indium Oxide on Polymer Substrates", Applied Physics Letters, Vol. 76, pp. 1425, 2000. 

  3. D. S. Hecht, L. Hu, and G. Lrvin, "Emerging Transparent Electrodes Based on Thin Films of Carbon Nanotubes, Graphene, and Metallic Nanostructures", Advanced Materials, Vol. 23, pp. 1482-1513, 2011. 

  4. J. Y. Lee, S. T. Connor, Y. Cui, and P. Peumans, "Solution- Processed Metal Nanowire Mesh Transparent Electrodes", Nano Letters, Vol. 8, pp. 689-692, 2008. 

  5. J. W. Kim, S. W. Lee, Y. Lee, S. B. Jung, S. J. Hong, and M. G. Kwak, "Synthesis of Ag Nanowires for the Fabrication of Transparent Conductive Electrode", Journal Of Nanoscience And Nanotechnology, Vol. 13, pp. 6244-6248, 2013. 

  6. D. J. Lipomi, J. A. Lee, M. Vosgueritchian, B. C. K. Tee, J. A. Bolander, and Z. Bao, "Electronic Properties of Transparent Conductive Films of PEDOT:PSS on Stretchable Substrates", Chemistry Of Materials, Vol. 24, pp. 373-382, 2012. 

  7. N. K. Cho, Y. U. Jung, K. B. Chung, and S. J. Kang, "Electrical, Electronic and Optical Characterization of Multilayer Graphene Films for Transparent Electrodes", Current Nanoscience, Vol. 9, pp. 521-524, 2013. 

  8. K. Shin, R. K. Park, L. Yu, C. Y. Park, Y. S. Lee, Y. S. Lim, and J. H. Han, "Improvement of Single-Walled Carbon Nanotube Transparent Conductive Films using Substrate Pretreatment", Synthetic Metals, Vol. 161, pp. 1596-1599, 2011. 

  9. M. Vosgeritchian, D. J. Lipomi, and Z. Bao, "Highly Conductive and Transparent PEDOT:PSS Films with a Fluorosurfactant for Stretchable and Flexible Transparent Electrodes", Advanced Functional Materials, Vol. 22, pp. 421-428, 2012. 

  10. E. C. W. Ou, L. Hu, G. C. R. Raymond, O. K. Soo, J. Pan, Z. Zheng, Y. Park, D. Hecht, G. Irvin, P. Drzaic, and G. Gruner, "Surface-Modified Nanotube Anodes for High Performance Organic Light-Emitting Diode", American Chemical Society Nano, Vol. 3, pp. 2258-2264, 2009. 

  11. Y. Feng, Y. Miyata, K. Matsuishi, and H. Kataura, "High-Efficiency Separation of Single-Wall Carbon Nanotubes by Self-Generated Density Gradient Ultracentrifugation", Journal of Physical Chemistry C, Vol. 115, pp. 1752-1756, 2011. 

  12. B. Chandra, A. Afzali, N. Khare, M. M. El-Ashry, and G. S. Tulevski, "Stable Charge-Transfer Doping of Transparent Single-Walled Carbon Nanotube Films", Chemistry of Materials, Vol. 22, pp. 5179-5183, 2010. 

  13. H. Cheng, Z. Dong, C. Hu, Y. Zhao, Y. Hu, L. Qu, N. Chen and L. Dai, "Textile Electrodes Woven by Carbon Nanotube-Grapheme Hybrid Fibers for Flexible Electrochemical Capacitors", Nanoscale, Vol. 5, pp. 3428-3434, 2013. 

  14. A. Afraz, A. A. Rafati, and A. Hajian, "Analytical Sensing of Hydrogen Peroxide on Ag Nanoparticles-Multiwalled Carbon Nanotube-Modified Glassy Carbon Electrode", Journal of Solid State Electrochemistry, Vol. 17, pp. 2017-2025, 2013. 

  15. A. De Girolamo Del Mauro, G. Nenna, I. A. Grimaldi, F. Villani, and G. Pandolfi, "Conductive Nanocomposite Films Based on Functionalized Double-walled Carbon Nanotubes Dispersed in PEDOT:PSS", American Institute of Physics, Vol. 1459, pp. 259-261, 2012. 

  16. J. Park, A. Leeb, Y. Yimc, and E. Hanb, "Electrical and Thermal Properties of PEDOT:PSS Films Doped with Carbon Nanotubes", Synthetic Metals, Vol. 161, pp. 523-527, 2011. 

  17. J. Zhang, L. Gao, J. Sun, Y. Liu, Y. Wang, and J. Wang, "Incorporation of Single-walled Carbon Nanotubes with PEDOT/PSS in DMSO for the Production of Transparent Conducting Films", Diamond and Related Materials, Vol. 22, pp. 82-87, 2012. 

  18. R. Rastogi, R. Kaushal, S.K. Tripathi, A. L. Sharma, I. Kaur, L. M. Bharadwaj, "Comparative Study of Carbon Nanotube Dispersion using Surfactants", Journal of Colloid and Interface Science, Vol. 328, pp. 421-428, 2008. 

  19. M. Li, F. Liu, M. Juusola, and S. Tang, "Perceptual Color Map in Macaque Visual Area V4", The Journal of Neuroscience, Vol. 34, pp. 202-217, 2014. 

  20. L. Hu, D. S. Hecht, and G. Gruner, "Carbon Nanotube Thin Films: Fabrication, Properties, and Applications", Chemical Reviews, Vol. 110, pp. 5790-5844, 2010. 

  21. V. Skakalova, A. B. Kaiser, Y. S. Woo, and S. Roth, "Electronic Transport in Carbon Nanotubes: From Individual Nanotubes to Thin and Thick Networks", Physical Review B, Vol. 74, pp. 085403, 2006. 

  22. B. Hu, D. Li, P. Manandharm, Q. Fan, D. Kasilingam, and P. Calvert, "CNT/Conducting Polymer Composite Conductors Impart High Flexibility to Textile Electroluminescent Devices", Journal of Materials Chemistry, Vol. 22, pp. 1598-1605, 2012. 

  23. G. Xiao, Y. Tao, J. Lu, and Z. Zhang, "Highly Conductive and Transparent Carbon Nanotube Composite Thin Films Deposited on Polyethylene Terephthalate Solution Dipping", Thin Solid Films, Vol. 518, pp. 2822-2824, 2010. 

  24. D. S. Hecht, D. Thomas, L. Hu, C. Ladous, T. Lam, Y. Park, and P. Drzaic, "Carbon-nanotube Film on Plastic as Transparent Electrode for Resistive Touch Screens" Journal of the Society for Information Display, Vol. 17, pp. 941-946, 2009.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