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G-SEED 인증 건축물과 비인증 건축물의 에너지 소비량 특성에 관한 연구 : 업무시설을 대상으로
A Study on the Comparison for Energy Consumption Characteristics between G-SEED certified and non-certified Office Buildings in Korea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20 no.11, 2019년, pp.33 - 43  

김종현 (인천대학교 도시건축학부) ,  김진호 (인천대학교 도시건축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기후변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세계 각국은 온실가스 감축 의무를 이행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건물부문은 국가 온실가스 배출량의 약 25%를 차지하며, 향후 40%까지 증가할 것으로 전망하는 만큼 정부는 에너지 절감 계획에 대한 정책을 수립하여 추진 중이다. 건물부문의 에너지 절감을 위한 정책의 일환으로 녹색건축인증제도 시행을 통해 보다 에너지 절감형 건축물 설계와 시공을 유도하고 있다. 본 연구는 G-SEED 인증 건축물과 비인증 건축물의 에너지 소비량에 영향을 미치는 원인에 대한 분석과 결과를 바탕으로 현행 제도의 실효성과 문제점을 파악하고 향후 G-SEED 제도의 개선 방향에 대해 논의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서울시에 소재하고 있는 인증 업무시설 135동과 비인증 업무시설 142동을 대상으로 건축물 정보와 에너지 소비량 데이터를 수집하였으며, 분석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인증 업무시설은 비인증 업무시설에 비해 연간 50% 이상의 에너지 절감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계절에 따른 에너지 소비량은 난방 도일과 높은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용승인연도가 높을수록 인증 업무시설의 에너지 소비량은 감소하며, 비인증 업무시설은 오히려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규모와 인증등급에 따른 에너지 소비량은 상관관계가 미미한 것으로 드러났다. 본 연구는 이상의 분석을 통하여 G-SEED 인증제도 개선을 위한 기초자료로서 의의가 있다. 또한 건축물의 에너지성능 기준이 강화되는 추세를 감안하여, 분야별 점수를 공개적인 자료로 전환하는 것을 제시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Considerable efforts have been made to reduce greenhouse gas emission around the world to cope with climate change. The government is implementing G-SEED certification to promote energy efficient building design. This study aims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the G-SEED certification system by analy...

주제어

표/그림 (18)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국내의 대표적인 친환경인증제도인 녹색 건축인증제도 (G-SEED)는 설계와 시공 유지, 관리 등 전 과정에 대한 평가를 통해 친환경 인증을 부여하고 지속 가능한 개발의 실현을 목표로 한다.
  •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G-SEED 인증 건축물과 비인증 건축물을 대상으로 에너지 소비량을 비교·분석하여 G-SEED 제도와 국가 정책 개선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G-SEED 인증 업무시설과 비인증 업무시설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요인을 조사하고 에너지 소비량 결과를 살펴보고자 한다. 연구의 범위는 서울시 소재 인증 업무시설과 비인증 업무시설이다.
  • 본 연구는 업무시설을 대상으로 G-SEED 인증 건축물과 비인증 건축물에 대한 에너지 소비량 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에너지원별 소비량을 검토한 후 계절, 규모, 사용 승인일, 인증등급 측면에서 분석을 수행하였다.
  • 본 연구는 이상의 데이터 구축을 통해 G-SEED 인증 업무시설과 비인증 업무시설의 에너지 소비량에 영향을 미치는 원인에 대한 분석과 결과를 바탕으로 현행 제도의 실효성과 문제점을 파악하고 향후 G-SEED 제도의 개선 방향에 대해 논의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이전에 고찰된 적이 없는 G-SEED 인증 건축물과 비인증 건축물을 대상으로 한 에너지 소비량 특성과 실효성을 파악하고, 에너지 소비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실증적으로 검토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이상의 분석 자료를 통하여 G-SEED 인증제도 개선 방향의 기초자료로 활용하며, 에너지 절약적 설계를 유도할 수 있도록 한다.
  • 기존의 연구는 일부 비인증 건축물에 대한 에너지 소비량 비교에 한정되어 수행한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에서는 G-SEED 인증 건축물과 비인증 건축물에 대한 에너지 소비량 비교 연구를 수행한다. 따라서 에너지 소비량 비교를 위해 현재 G-SEED 인증 건축물을 가장 많이 소재한 서울시 업무시설을 대상으로 충분한 데이터를 확보하여 연구를 수행할 필요성이 있다고 판단된다.
  • 본 연구에서는 G-SEED 인증 업무시설의 계절, 사용 승인연도, 건축물 규모, 인증등급에 따른 에너지 소비량 특성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이를 위해 G-SEED 인증 업무시설 135동과 비인증 업무시설 142동을 대상으로 건축물 및 에너지 소비량(전기, 가스) 데이터를 수집하여 이를 토대로 연구를 수행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연구결과를 도출하였다.
  • 외기온은 에너지 소비량과 가장 밀접한 관련이 있는 요소로 본 연구에서는 이에 대한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냉·난방 도일에 따른 에너지사용량 변화를 알아보았다.
  • 최종적으로 연구에 활용한 건축물 정보와 에너지 소비량 데이터는 Table 3에 나타난 건축물 현황이 분석 대상에 해당한다. 이상의 업무시설을 대상으로 전기 및 가스에너지 소비량, 건축물의 규모, 사용승인연도, 인증등급과 계절별 특성에 따라 분석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건물 부분에 대한 에너지 소비와 CO2 배출량 절감은 기후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중요한 국가적 과제인 이유는? Fig. 1과 같이 건물부문은 산업 전체 에너지 및 자원 소비의 약 40%를 차지하고 있으며[5], 기계설비, 건축자재, 조경 등 다양한 업종과 연결되어 온실가스 배출량에 많은 영향을 미치는 분야이다. 따라서 건물 부분에 대한 에너지 소비와 CO2 배출량 절감은 기후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중요한 국가적 과제이다.
LEED란? S. Green Building Council, 이하 USGBC)에 의해 개발된 LEED (Leadership in Energy and Environmental Design, 이하 LEED)는 미국의 친환경 건축물 인증제도이다. 최초 개발된 후 몇 번의 개정을 거쳐 2013년부터 LEED v4.
건물부문은 국가 온실가스 배출량의 약 몇 %를 차지하는가? 기후변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세계 각국은 온실가스 감축 의무를 이행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건물부문은 국가 온실가스 배출량의 약 25%를 차지하며, 향후 40%까지 증가할 것으로 전망하는 만큼 정부는 에너지 절감 계획에 대한 정책을 수립하여 추진 중이다. 건물부문의 에너지 절감을 위한 정책의 일환으로 녹색건축인증제도 시행을 통해 보다 에너지 절감형 건축물 설계와 시공을 유도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6)

  1. Green Architecture Division, First Green Building Basic Plan, Basic Plan Report,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Korea, pp1-12. 

  2. Green Architecture Division, Enforcement Decree of the Green Building Creation Support Act, Statute Report,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Korea, pp1-6. 

  3. Korea Institute of Civil Engineering and Building Technology, Certification Overview [Internet], Korea Institute of Civil Engineering and Building Technology, c2012 [cited 2012 Jan.], Available From: http://gseed.greentogether.go.kr/sys/gms/selectGreen Main.do (accessed Aug. 20, 2019) 

  4.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Information File Service [Internet],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c2013 [cited 2013 Nov.], Available From: http://open.eais.go.kr (accessed Aug. 20, 2019) 

  5. D. M. Roodman & N. Lenssen, A Building revolution : How Ecology and Health Concerns Are Transforming Construction, 1st Ed. p.10-22, World Watch Institute Paper, 1995. 

  6. Green Architecture Division, Enforcement Decree of the Green Building Creation Support law, Statute Report,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Korea, pp1-5. 

  7. Green Building Research Center, Green Building Certification Operation Rules, Statute Report, Korea Institute of Civil Engineering and Building Technology, Korea, pp1-5. 

  8. Green Architecture Division, Green Building Certification Criteria, Statute Report,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Korea, pp1-4. 

  9. U.S Green Building Council, A LEED for Every Project [Internet], Leadership in Energy and Environmental Design, c1998, Available From: https://new.usgbc.org/leed (accessed Aug. 20, 2019) 

  10. S. T. Seong, K. D. Chang, I. Myung, S. H. Lee, "Impact of Energy Performance Sector on Assessing Green Building Certification", Korea Institute of Ecological Architecture and Environment, Vo18, No.3, pp.57-64, Jun. 2018. DOI: https://dx.doi.org/10.12813/kieae.2018.18.3.057 

  11. S. M. Jeon, A study on energy consumption characteristics related to type of public building, Master's thesis, Yonsei University of Architectural Engineering, Seoul, Korea, pp.22-27, 2017. 

  12. C. W. Kim, A Study on the Analysis of Primary Energy Consumption of Various Types of Building, Master's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Seoul, Korea, pp.5-7, 2016. 

  13. D. I. Kim, B. H. Lee, J. D. Yun, "Big Data Usage Consumption of building energy Analysis and Application", The Society of Air-Conditioning and Refrigerating Engineers of Korea, Vo46, No.10, pp.50-60, Oct. 2017. 

  14. Office of Energy and Resources, Energy Law Enforcement Rules, Statute Report, Ministry of Trade, Industry and Energy, Korea, pp1-4. 

  15. D. S. Choi, Y. J. Lee, M. J. Ko, "The Prediction and Valuation of Gas Consumption in building using Artificial Neural Networks Based on Clustering Method", Korea Institute of Ecological Architecture and Environment, Vo18, No.5, pp.69-74, Oct. 2018. DOI: https://dx.doi.org/10.12813/kieae.2018.18.5.069 

  16. U.S Green Building Council, Certification Scorecard of the Projects [Internet], Leadership in Energy and Environmental Design, c1998, Available From: https://www.usgbc.org/projects (accessed Aug. 20, 2019)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