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소아중환자실 부모의 돌봄참여에 대한 간호사의 인식: 내용 분석 연구
Nurses' Perceptions toward Parent Participation in Pediatric Intensive Care Unit: A Content Analysis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20 no.12, 2019년, pp.493 - 501  

김초희 (서울대학교 간호대학) ,  채선미 (서울대학교 간호대학)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부모의 돌봄참여에 대한 소아중환자실 간호사의 인식을 파악하는 것이다. 연구대상은 서울에 위치한 상급종합병원 2곳의 소아중환자실에 근무하고 있는 간호사 5명이며, 일대일 심층 면담을 수행하였다. 자료수집 기간은 2016년 1월부터 2월까지였고 전통적 내용분석을 이용해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소아중환자실 부모의 돌봄참여에 대한 간호사의 인식은 5개 범주와 43개 하위범주가 도출되었으며, 5개 범주는 필요성, 의미, 효과, 장애 요인과 촉진방안으로 나타났다. 간호사는 소아중환자실에서 집중 간호를 필요로 하는 자녀의 중증 상태로 인해 부모가 정서적 부담을 경험하며, 면회가 제한된 병원 정책이 이러한 부담을 악화시킨다는 점에서 소아중환자실에서 부모 돌봄참여의 필요성과 그 효과를 인식하고 있었다. 주요한 장애 요인은 부모의 돌봄참여에 대한 간호사의 지식과 역량의 부족, 과중한 업무 부담, 소아중환자실과 병원 내 정책이나 지침의 부족으로 나타났다. 촉진방안은 간호사 대상 부모 돌봄참여의 의미와 실천방안에 대한 교육 제공, 간호사뿐 아니라 부모를 포함하여 인식개선 활동, 전담 전문가를 지원하는 방안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를 기반으로 향후 소아중환자실에서 부모의 돌봄참여를 통합적으로 도입하기 위한 간호 중재의 개발과 효과 검증을 위한 후속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paper describes nurses' perceptions toward parental participation in pediatric intensive care units (PICU). Qualitative data were collected from five nurses working at two PICUs in Seoul through individual in-depth interviews. The interviews were conducted from January to February 2016 and anal...

주제어

표/그림 (2)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소아중환자실 간호사를 대상으로 소아중환자실에서 부모 돌봄참여에 대한 인식을 파악하고자 수행되었다. 연구 결과 소아중환자실 간호사의 부모 돌봄참여 에 대한 인식을 필요성, 의미, 효과, 장애 요인과 촉진방안으로 도출하였다.
  • 본 연구의 목적은 소아중환자실에서 근무하는 간호사들이 소아중환자실에서의 부모 돌봄참여에 대해 어떻게 인식하였는지를 심층적으로 이해하고 탐구하는 것이다. 본연구결과를 통해 소아중환자실에서 부모의 돌봄참여를 실천하기 위한 간호 중재 개발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환자와 가족중심돌봄 협회 (Institution for Patient-and Family-Centered Care)에서 중심개념으로 제시한 것은? 가족중심돌봄(Family-Centered Care)은 아동 간호의 최상의 실무기준 중 하나로, 치료과정의 의사소통과 결정을 할 때 가족이 아동을 지지하는 근간임을 인식하고 아동과 가족의 고유한 가치와 선택을 존중하는 돌봄의 철학을 의미한다[1]. 환자와 가족중심돌봄 협회 (Institution for Patient-and Family-Centered Care)에서는 존중과 존엄성 보장, 정보 공유, 돌봄과 의사결정 참여, 환자와 가족, 의료진의 협력을 가족중심돌 봄의 중심개념으로 제시하였으며[2], 의료진이 아동, 가족과 진정한 파트너십을 형성하고 의사소통을 촉진함으로써 아동과 가족의 의료서비스 만족도뿐 아니라 치료 결과를 향상시키는 것을 목표로 한다[3]. 아동·청소년 환자는 발달단계나 건강 상태에 따라 스스로 증상을 표현하고 치료계획을 결정하는데 제한적이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부모가 의사소통과 결정을 하게 된다.
가족중심돌봄(Family-Centered Care)은 무엇인가? 가족중심돌봄(Family-Centered Care)은 아동 간호의 최상의 실무기준 중 하나로, 치료과정의 의사소통과 결정을 할 때 가족이 아동을 지지하는 근간임을 인식하고 아동과 가족의 고유한 가치와 선택을 존중하는 돌봄의 철학을 의미한다[1]. 환자와 가족중심돌봄 협회 (Institution for Patient-and Family-Centered Care)에서는 존중과 존엄성 보장, 정보 공유, 돌봄과 의사결정 참여, 환자와 가족, 의료진의 협력을 가족중심돌 봄의 중심개념으로 제시하였으며[2], 의료진이 아동, 가족과 진정한 파트너십을 형성하고 의사소통을 촉진함으로써 아동과 가족의 의료서비스 만족도뿐 아니라 치료 결과를 향상시키는 것을 목표로 한다[3].
부모의 돌봄참여를 촉진하는 방법을 적용하는 이유는? 소아중환자실에서는 생명을 위협하는 의학적 상태의 환자에게 집중 관찰, 침습적 감시, 최신의 의학 및 간호를 제공하는데, 환자의 질병 경과가 변동적이고 때때로 예후가 불확실하기 때문에 입실했다는 사실 자체가 환자와 가족에게 상당한 스트레스를 유발할 수 있다[7]. 가족이 환자와 단절되어 제한된 시간에만 면회가 가능한 점이 환자와 가족의 스트레스를 악화시키기도 한다[8]. 따라서 환자와 가족을 정서적으로 지지하고 원활한 의사소통과 의사결정을 돕기 위한 가족중심돌봄이 더욱 강조되며[9], 그 실천 방법으로 국외에서는 소아중환자실의 자유 면회를 허용하고 부모를 상주하도록 하며, 나아가 부모의 돌봄참여를 촉진하는 방법을 적용하고 있다[10].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L. Shields, J. Pratt, and J. Hunter, "Family centred care: a review of qualitative studies", Journal of Clinical Nursing, Vol.15, No.10, p.1317-1323, 2006. DOI: http://dx.doi.org/10.1111/j.1365-2702.2006.01433.x 

  2. Institute for Patient- and Family-Centered Care, What is patient- and family-centered health care? Available From: http://www.ipfcc.org/about/pfcc.html (accessed Jan. 28, 2018) 

  3. M.S. Newton, "Family-centered care: Current realities in parent participation", Pediatric Nursing, Vol.26, No.2, p.164, 2000. 

  4. C. Hill, K.A. Knafl, and S.J. Santacroce, "Familycentered care from the perspective of parents of children cared for in a pediatric intensive care unit: an integrative review", Journal of Pediatric Nursing, Vol.41, p.22-33, 2018. DOI: http://dx.doi.org/10.1016/j.pedn.2017.11.007 

  5. American Nurses Association, "Pediatric nursing: Scope and standards of practice", American Nurses Association Inc, 2008. 

  6. Schor EL., "Family Pediatrics: Report of the Task Force on the Family", Pediatrics, Vol.111 (Supplement_2), p.1541-1571, 2003. 

  7. M. Shudy et al., "Impact of pediatric critical illness and injury on families: a systematic literature review", Pediatrics, Vol.118, p.S203-S218, 2006. DOI: http://dx.doi.org/10.1542/peds.2006-0951B 

  8. M. Foster, L. Whitehead, and P. Maybee, "The parents', hospitalized child's, and health care providers' perceptions and experiences of family-centered care within a pediatric critical care setting: A Metasynthesis of Qualitative Research", Journal of Family Nursing, Vol.22, No.1, p.6-73, 2016. DOI: http://dx.doi.org/10.1177/1074840715618193 

  9. R.A. Jee et al., "Evaluation and comparison of parental needs, stressors, and coping strategies in a pediatric intensive care unit", Pediatric Critical Care Medicine, Vol.13, No.3, p.e166-e175, 2012. DOI: http://dx.doi.org/10.1097/PCC.0b013e31823893ad 

  10. A. Frazier, H. Frazier, and N.A. Warren, "A discussion of family-centered care within the pediatric intensive care unit", Critical Care Nursing Quarterly, Vol.33, No.1, p.82-86, 2010. DOI: http://dx.doi.org/10.1097/CNQ.0b013e3181c8e015 

  11. A. Butler, G. Willetts, and B. Copnell, "Nurses' perceptions of working with families in the paediatric intensive care unit", Nursing in Critical Care, Vol.22, No.4, p.195-202, 2017. DOI: http://dx.doi.org/10.1111/nicc.12142 

  12. I. Coyne, "Disruption of parent participation: Nurses' strategies to manage parents on children's wards", Journal of Clinical Nursing, Vol.17, No.23, p.3150-3158, 2008. DOI: http://dx.doi.org/10.1111/j.1365-2702.2006.01928.x 

  13. S. Y. Jung, Y. R. Tak, "Family-centered care for hospitalized children: Concept analysis",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Vol.23, No.1, p,28-36, 2017. DOI: https://doi.org/10.4094/chnr.2017.23.1.28 

  14. M. Y. Choi, "Parent participation in care of hospitalized chlidren: Concept analysis",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Vol.20, No.2, p.105-112, 2014. DOI: http://dx.doi.org/10.4094/chnr.2014.20.2.105 

  15. S. Y. Jung, "Health care providers' perceptions of family-centered care in pediatrics",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Vol.24, No.4, p.465-474, 2018. DOI: https://doi.org/10.4094/chnr.2018.24.4.465 

  16. M. Sandelowski, "Whatever happened to qualitative description?" Research in Nursing & Health, Vol.23, No.4, p.334-340, 2000. DOI: http://dx.doi.org/10.1002/1098-240X(200008)23 :4%3C334::AID-NUR9%3E3.0.CO;2-G 

  17. Elo S. & Kyngas H, "The qualitative content analysis process", Journal of Advanced Nursing, Vol.62, No.1, p107-115, 2008. DOI: http://dx.doi.org/10.1111/j.1365-2648.2007.04569.x 

  18. K. Krippendorff, Content analysis: an introduction to its methodology, p.103-105, SAGE publication, 2018. 

  19. H.F. Hsieh, and S.E. Shannon, "Three approaches to qualitative content analysis", Qualitative Health Research, Vol.15, No.9, p.1277-1288, 2005. DOI: http://dx.doi.org/10.1177/1049732305276687 

  20. T.A. Schwandt, Y.S. Lincoln, and E.G. Guba, "Judging interpretations: But is it rigorous? Trustworthiness and authenticity in naturalistic evaluation", New Directions for Evaluation, Vol.2007, No.114, p.11-25, 2007. DOI: http://dx.doi.org/10.1002/ev.223 

  21. Coats, H., et al., "Nurses' reflections on benefits and challenges of implementing family-centered care in pediatric intensive care units", American Journal of Critical Care, Vol.27, No.1, p.52-58, 2018. DOI: http://dx.doi.org/10.4037/ajcc2018353 

  22. B. Hetland et al., "A qualitative study of factors that influence active family involvement with patient care in the ICU: Survey of critical care nurses", Intensive and Critical Care Nursing, Vol.44, p.67-75, 2018. DOI: http://dx.doi.org/10.1016/j.iccn.2017.08.008 

  23. B. Hetland et al., "Factors influencing active family engagement in care among critical care nurses", AACN Advanced Critical Care, Vol.28, No.2, p.160-170, 2017. DOI: http://dx.doi.org/10.4037/aacnacc2017118 

  24. M. Garrouste-Orgeas et al., "Opinions of families, staff, and patients about family participation in care in intensive care units", Journal of Critical Care, Vol.25, No.4, p.634-640, 2010. DOI: http://dx.doi.org/10.1016/j.jcrc.2010.03.001 

  25. E. Y. Hong & Y. J. Yang, "Factors affecting job stress of pediatric nurses: focusing on self-efficacy, emotional labor, pediatric nurse-parent partnership",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Vol.21, No.3, p236-243, 2015. DOI: http://dx.doi.org/10.4094/chnr.2015.21.3.236 

  26. T. Tidwell et al., "A nursing pilot study on bedside reporting to promote best practice and patient/family-centered care", Journal of the American Association of Neuroscience Nurses, Vol.43, No.4, p.E1-E5, 2011. DOI: http://dx.doi.org/10.1097/JNN.0b013e3182212a1d 

  27. Agency for Healthcare Research and Quality, How patient and family engagement benefits your hospital. Available From: http://www.ahaphysicianforum.org/resources/appropriate-use/ACSC/content/AHRQ-PFEGuide-selections.pdf (accessed Jan. 28, 2018) 

  28. I. Coyne et al., "A survey of nurses' practices and perceptions of family-centered care in Ireland", Journal of Family Nursing, Vol.19, No.4, p.469-488, 2013. DOI: http://dx.doi.org/10.1177/1074840713508224 

  29. B. McConnell, and T. Moroney, "Involving relatives in ICU patient care: critical care nursing challenges", Journal of Clinical Nursing, Vol.24, No.7-8, p.991-998, 2015. DOI: http://dx.doi.org/10.1111/jocn.12755 

  30. K.L. Meert, J. Clark, and S. Eggly, "Family centered care in the pediatric intensive care unit", Pediatric Clinics, Vol.60, No.3, p.761-772, 2013. DOI: http://dx.doi.org/10.1016/j.pcl.2013.02.011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