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중환자실 간호사의 대상자 중심(Patient Centered) 의사소통 역량수준 및 관련요인
Factors Related to Intensive Care Unit Nurses' Patient Centered Communication Competency 원문보기

중환자간호학회지 = Journal of Korean critical care nursing, v.11 no.2, 2018년, pp.51 - 62  

박영수 (부산가톨릭대학교 간호대학) ,  오의금 (연세대학교 간호대학, 김모임간호학연구소)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 This study aimed to provide primary data for developing a program to enhance communication competence by identifying the patient-centered communication competency level of Intensive Care Unit (ICU) nurses and the related factors. Method : Data were collected from August 28th to October 8th...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중환자실 간호사의 대상자 중심 의사소통 역량수준을 확인하고 이에 영향을 미치는 관련요인들을 파악함으로써, 향후 중환자실 간호사의 의사소통 역량증진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 및 이와 관련된 연구의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시도되었다.
  • 본 연구는 중환자실에서 근무하는 간호사의 대상자 중심 의사소통 역량수준을 확인하고, 이에 영향을 미치는 관련요인을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횡단적 조사연구이다.
  • 역량수준을 확인하고, 이에 영향을 미치는 관련요인을 파악함으로써 효율적인 의사소통을 위한 방안을 모색하고 향후 의사소통 역량 증진 프로그램 개발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한 서술적, 횡단적 조사연구이다. 이는 전국 상급병원 중환자실 간호사들을 대상으로 총체적으로 파악하여 향후 이와 관련된 프로그램의 중재요소에 대한 기초자료로 제공하였다는 점에서 그 의의를 찾을 수 있다.
  • 그러므로 중환자실 간호사의 의사소통 역량을 증진시킬 수 있는 중재연구를 모색하기에 앞서, 관련 영향요인들에 대한 탐색과 이들 변수들 간의 상관관계에 대한 연구가 선행될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중환자실 간호사의 대상자 중심 의사소통 역량수준을 확인하고, 이에 영향을 미치는 전반적인 관련요인들을 파악하고자 한다. 이는 중환자실 간호사의 대상자 중심 의사소통 역량에 대한 포괄적인 이해를 증진시킬 뿐만 아니라,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이에 대한 전반적인 관련 요인들을 통합적으로 파악함으로써 의사소통 관련 연구의 방향성을 제시할 수 있는 가이드라인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중환자실 간호사는 어떤 능력이 요구되는가? , 2003). 이에 따라 중환자실 간호사는 전문적인지식과 숙련된 기술뿐만 아니라 응급 상황에 대한 비판적 판단력과 함께 정확하고 신속한 대처 능력을 비롯하여 환자, 가족, 의료진들과의 높은 의사소통 역량이 요구된다(Rotondi et al., 2002). 하지만 중환자실 간호사의 의사소통 역량 수준은 병동 간호사보다 더 낮게 보고되고 있으며(Im, Park, & Kim, 2012; Lee &Kim, 2010), 특히 중환자의 증상, 통증, 요구도 사정과 관련하여 대상자와의 의사소통 어려움을 경험하게 됨에 따라 의사소통 관련 교육에 대한 요구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Alasad & Ahmad, 2005; Happ etal.
대상자 중심의 의사소통이 특히 필요한 이유는 무엇인가? 간호성과 중에서도 대상자 중심의 의사소통은 질적 간호의 핵심요소로써, 의료환경 내 안전과 질 향상 및 효과적인 의사소통을 위해 필요하다(Abdelhadi &Drach-Zahavy, 2012; Boykins, 2014). 대상자 중심의 의사소통이란 대상자의 가치, 선호도, 요구 등에 대한 간호사들의 인식, 존중을 바탕으로 정확한 정보교환을 통한 의사소통 및 대상자 의사결정 참여를 통해 협동적 및 지속적 간호를 제공하는 것으로써 대상자의 질병예방, 안녕 및 건강증진을 목표로 하고 있다(Boykins,2014; McCormark & McCane, 2006).
의사소통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한 다음에 필요한 것은 무엇이라 연구되었는가? 이상의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중환자실 간호사들의 전문직관과 감성지능을 함양시킬 수 있는 의사소통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이를 임상실무에 적극 활용할 수 있도록 하며, 의료 환경 변화에 대응할 수 있는 혁신지향조직문화로의 개선이 필요하다고 하겠다. 그리고 본 연구에서는 중환자실 간호사들을 대상으로 대상자 중심 의사소통 역량수준 및 관련요인들을 조사하였으므로, 추후 연구에서는 이에 도출된 요인들을 중재요소로 하여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 또한 임상실무 간호사뿐만 아니라 간호학생을 위한 체계적인 의사소통 교육프로그램 개발 및 지속적인 교육의 필요성을 제언하고자 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Abdelhadi, N., & Drach-Zahavy, A. (2012). Promoting patient care: work engagement as a mediator between ward service climate and patient-centred care. Journal of Advanced Nursing, 68(6), 1276-1287. 

  2. Alasad, J., & Ahmad, M. (2005). Communication with critically ill patients. Journal of Advanced Nursing, 50(4), 356-362. 

  3. Azoulay, E., Timsit, J. F., Sprung, C. L., Soares, M., Rusinova, K., Lafabrie, A., . . . Schlemmer, B. (2009). Prevalence and factors of intensive care unit conflicts: the conflicus study. American Journal of Respiratory and Critical Care Medicine, 180(9), 853-860. 

  4. Boykins, A. D. (2014). Core communication competencies in patient-centered care. Journal of the Association of Black Nursing Faculty in Higher Education, 25(2), 40-45. 

  5. Cho, Y. A., & Kim, K. S. (2013). Effects of assertiveness training for ICU nurses. Journal of Korean Clinical Nursing Research, 19(2), 255-264. 

  6. Choi, J., Bakken, S., Larson, E., Du, Y., & Stone, P. W. (2004). Perceived nursing work environment of critical care nurses. Nursing Research, 53(6), 370-378. 

  7. Doran, D. I., Sidani, S., Keatings, M., & Doidge, D. (2002). An empirical test of the nursing role effectiveness model. Journal of Advanced Nursing, 38(1), 29-39. 

  8. Elder, N. C., Brungs, S. M., Nagy, M., Kudel, I., & Render, M. L. (2008). Nurses' perceptions of error communication and reporting in the intensive care unit. Journal of Patient Safety, 4(3), 162-168. 

  9. Han, S. J. (2002).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nursing organizational culture and organizational performanc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8(3), 441-456. 

  10. Happ, M. B., Garrett, K., Thomas, D. D., Tate, J., George, E., Houze, M., . . . Sereika, S. (2011). Nurse-patient communication interactions in the intensive care unit. American Journal of Critical Care, 20(2), e28-40. 

  11. Im, S. I., Park, J., & Kim, H. S. (2012). The effects of nurse's communication and self-leadership on nursing performance.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Nursing, 21(3), 274-282. 

  12. Kang, M. J., & Lee, H. J. (2006). The effect of assertiveness training on communication related factors and personnel turnover rate among hospital nurs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6(5), 681-690. 

  13. Kim, K. S., Kim, J-A., & Park, Y. R. (2011). Educational needs based on analysis of importance, frequency and difficulty of ICU nursing practice for ICU nurs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Fundamentals Nursing, 18(3), 373-382. 

  14. Kim, M. S., Han, S. J., & Kim, J. H. (2004). The development of the nursing organization culture measurement tool.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10(2), 175-184. 

  15. Korean Nurse's Association. (2013). Korean nurse's ethics. Retrieved January 17, 2017, from http://www.koreanurse.or.kr/about_KNA/ethics.php 

  16. Lee, H. S., & Kim, J. K. (2010). Relationship among communication competence, communication types,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in hospital nurs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16(4), 488-496. 

  17. Loghmani, L., Borhani, F., & Abbaszadeh, A. (2014). Factors affecting the nurse-patients' family communication in intensive care unit of kerman: a qualitative study. Journal of Caring Science, 3(1), 67-82. 

  18. Lynn. (1983). Determination and quantification of content validity. Nursing Research, 35(6), 382-385. 

  19. Manojlovich, M., Antonakos, C. L., & Ronis, D. L. (2009). Intensive care units, communication between nurses and physicians, and patients' outcomes. American Journal of Critical Care, 18(1), 21-30. 

  20. McCormark, B., & McCane T. V. (2006). Development of a framework for person-centred nursing. Journal of Advanced Nursing, 56(5), 472-479. 

  21. McKinley, C. J., & Perino, C. (2013). Examining communication competence as a contributing factor in health care workers' job satisfaction and tendency to report errors. Journal of Communication in Healthcare, 6(3), 158-165. 

  22. Pronovost, P., Berenholtz, S., Dorman, T., Lipsett, P. A., Simmonds, T., & Haraden, C. (2003). Improving communication in the ICU using daily goals. Journal of Critical Care, 18(2), 71-75. 

  23. Rotondi, A. J., Chelluri, L., Sirio, C., Mendelsohn, A., Schulz, R., Belle, S., . . . Pinsky, M. R. (2002). Patients' recollections of stressful experiences while receiving prolonged mechanical ventilation in an intensive care unit. Critical Care Medicine, 30(4), 746-752. 

  24. Satir, V., Banmen, J., Gerver, J., & Gomori, M. (1991). The satir model: family therapy and beyond. Seoul: Korean Satir Institute. 

  25. Slatore, C. G., Hansen, L., Ganzini, L., Press, N., Osborne, M. L., Chesnutt, M. S., & Mularski, R. A. (2012). Communication by nurses in the intensive care unit: qualitative analysis of domains of patientcentered care. American Journal of Critical Care, 21(6), 410-418. 

  26. Son, Y-J., Lee, Y. A., Sim, K. N., Kong, S. S., & Park, Y-S. (2013). Influence of communication competence and burnout on nursing performance of intensive care units nurs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Fundamentals Nursing, 20(3), 278-288. 

  27. Weller, J., Shulruf, B., Torrie, J., Frengley, R., Boyd, M., Paul, A., . . . Dzendrowskyj, P. (2013). Validation of a measurement tool for self-assessment of teamwork in intensive care. British Journal of Anaesthesia, 111(3), 460-467. 

  28. Wong, C-S., & Law, K. S. (2002). The effects of leader and follower emotional intelligence on performance and attitude: An exploratory study. The Leadership Quarterly, 13(3), 243-274. 

  29. Wright, K. B., Banas, J. A., Bessarabova, E., & Bernard, D. R. (2010). A communication competence approach to examining health care social support, stress, and job burnout. Health Communication, 25(4), 375-382. 

  30. Yang, Y. L. (2013). Therapeutic communication among nurses in intensive care unit(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Yonsei University, Seoul, Korea.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