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수도권과 비수도권의 지역균형발전 정책 레버리지 탐색 : 지역의 기능 집중·분산 구조를 중심으로
Regional Balanced Development Policy Leverage in the Capital and Non-Capital Areas : Focusing on Local Function Concentration and Dispersion Structure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20 no.12, 2019년, pp.502 - 512  

이진희 (충북대학교 도시공학과) ,  이만형 (충북대학교 도시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지역균형발전 정책의 문제 구조를 살펴보고 수도권과 비수도권 간의 격차를 발생시키는 원인을 파악하기 위해 수도권과 비수도권의 기능 집중·분산 측면에서 인과구조를 살펴보고 정책 지렛대를 탐색해 보고자 한다. 연구의 방법으로는 시스템다이내믹스 기법을 활용하여 인과지도를 작성하고, 피드백구조 탐색을 통해 정책 지렛대를 도출하였다. 특히, 지역균형발전 정책이 가지고 있는 문제의 원인을 단선적 사고가 아닌 시스템사고로 정책에 접근하였고, 시스템사고를 기반으로 지역균형발전 정책을 구성하고 있는 변수들 간의 인과지도 분석을 수행하였다. 연구 결과 수도권 규제 및 완화 정책과 비수도권에 미치는 영향을 구성하고 있는 변수로 총 31개를 도출하였고, 이를 이용하여 시스템사고를 토대로 인과지도를 작성하여 13개의 피드백 루프와 '수도권 기능 이전, 지방 분권 정책, 비수도권 개발과 비수도권 투자'라는 정책지렛대를 확인하였다. 수도권 규제·완화 정책의 구조적인 문제를 시스템사고를 기반으로 분석하여 선순환 구조가 될 수 있는 전략지렛대를 도출하기 위한 시도로서 기존의 단선적인 사고를 통한 정책 개선 및 활성화 방안에서 차별화된 전략 도출 방법을 적용하였다는데 연구의 의의가 있다. 마지막으로 수도권 정책이 비수도권에 미치는 파급효과를 파악하기 위해 시스템의 구조를 모델화하여 컴퓨터 시뮬레이션의 후속 연구가 필요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o examine the problem structure of balanced regional development policy and identify the causes of the gap between the capital and non-capital areas, this study examined the causal structure in terms of the concentration and distribution of functions in the metropolitan area and non-capital area an...

주제어

표/그림 (10)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1과 같다. 수도권으로 기능 집중과 비수도권으로 기능 분산에 초점을 맞추어 피드백 루프를 파악하고자 한다. 인과지도 내에서 발견된 주요 피드백 루프는 총 13개로 피드백 루프의 극성을 파악하는 방법을 이용하여 피드백 루프를 구분하면 양의 피드백루프(R)는 총 11개, 음의 피드백루프(B)는 총 2개가 발견되었다.
  • 이러한 배경을 바탕으로 이 연구는 시스템다이내믹스적 접근방법으로 수도권 정책이 어떠한 문제 구조를 인해 수도권과 비수도권 간의 격차가 발생하고, 지역균형발전을 위한 걸림돌이 내재되어 있는지를 밝히는 것이 연구의 목적이다.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수도권 기능 집중과 비수도권 기능 분산의 관점에서 변수를 도출하고 인과순환구조를 살펴보았다. 최종적으로 피드백구조 탐색을 통해 정책 지렛대를 도출하고자 하였다.
  • 이 연구는 수도권 정책이 어떠한 문제 구조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수도권과 비수도권 간의 격차가 발생하고,국가균형발전을 위한 걸림돌이 내재되어 있는지를 밝히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수도권 기능 집중과 비수도권 기능 분산의 관점에서 변수를 도출하고 정책 지렛대를 탐색하였다. 수도권 기능집중과 비수도권 기능 분산 시스템을 구성하고 있는 변수 31개를 도출하였다.
  • 이 연구는 수도권 규제·완화 정책의 구조적인 문제를 시스템사고를 기반으로 분석하여 선순환 구조가 될 수 있는 전략지렛대를 도출하기 위한 시도로서 기존의 단선적인 사고를 통한 정책 개선 및 활성화 방안 에서 차별화된 전략 도출 방법을 적용하였다는데 연구의 의의가 있다.
  • 이 연구는 수도권 정책이 어떠한 문제 구조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수도권과 비수도권 간의 격차가 발생하고,국가균형발전을 위한 걸림돌이 내재되어 있는지를 밝히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수도권 기능 집중과 비수도권 기능 분산의 관점에서 변수를 도출하고 정책 지렛대를 탐색하였다.
  • 시스템사고에 기초한 분석방법의 첫 번째 단계는 분석대상인 현상에 대한 문제를 확인하는 과정으로 시스템사고의 관점에서 문제를 정의하는 것이다[6]. 이 연구에서 시스템사고를 통해 해결하고자 하는 문제 상황은 수도권의 과도한 기능 집중과 비수도권 지역과의 불균형적 발전으로, 지역균형발전의 관점에서 수도권 정책 변수가 비수도권 지역의 발전과 인과관계(순환구조)를 형성하고 있는지를 파악하고자 한다.
  • 시스템 사고는 변화시키고자 하는 변수를 직접 공략하기 보다는 그 변수를 움직일 수 있는 메커니즘, 즉 피드백 구조를 이해하고 그 메커니즘을 활용하여 행태를 변화시키는 것을 강조한다[13]. 이 연구의 궁극적인 목표도 수도권 정책이 어떠한 문제구조를 가지고 수도권과 비수도권의 격차가 발생하는지 대한 시스템을 올바로 이해하고, 피드백 루프와 문제점을 식별하여 변화시킬 수 있는 정책지렛대를 발견하는 것이다.
  • 이러한 배경을 바탕으로 이 연구는 시스템다이내믹스적 접근방법으로 수도권 정책이 어떠한 문제 구조를 인해 수도권과 비수도권 간의 격차가 발생하고, 지역균형발전을 위한 걸림돌이 내재되어 있는지를 밝히는 것이 연구의 목적이다.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수도권 기능 집중과 비수도권 기능 분산의 관점에서 변수를 도출하고 인과순환구조를 살펴보았다.
  •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수도권 기능 집중과 비수도권 기능 분산의 관점에서 변수를 도출하고 인과순환구조를 살펴보았다. 최종적으로 피드백구조 탐색을 통해 정책 지렛대를 도출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시스템다이내믹스란 무엇인가? 시스템다이내믹스(System Dynamics)는 동태적이고 순환적인 인과관계의 시각(Dynamic Feedback Perspective)으로 현상을 이해하고 설명하거나, 이러한이해에 기초한 컴퓨터 모델을 구축하여 복잡한 인과관계로 구성된 현상이 어떻게 동태적으로 변해나가는지를 컴퓨터상에서 실험해 보는 방법론이자 현상을 바라보는 시각이며 준거틀(framework)이다[4]. 이러한 시스템다이내믹스는 ‘사실적 사고(operational thinking)’에 초점을 두고 있으며, 사실적 사고란 변화가 실제적으로 어떻게 일어나고 있는지 변화의 과정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시스템다이내믹스적 접근방법으로 수도권 정책의 문제 구조를 밝히려는 배경은 무엇인가? 이후, 1982년 수도권 ‘수도권정비계획법’이 마련된 이후 수도권 집중화에 관한 문제는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으며, 이는 수도권과 비수도권간의 경제적 격차 확대와 사회적 비용발생 등 사회 전반적인 효율성의 저하를 초래 하고 있다는 우려가 높아지고 있다[3]. 또한 고착화되고 있는 수도권 쏠림 현상과 수도권 정책의 전환 요구의 증대에 따라, 2018년 국가균형발전특별법 개정과 균형 발전의 비전과 전략을 재정립하는 등 국가균형발전을 위한 패러다임 전환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지역 간 격차가 존재하고 있다.
시스템사고는 무엇을 강조하는가? 이러한 시스템사고는 시뮬레이션을 통한 양적분석 수행보다는 변수간의 복잡한 인과 관계를 인과지도로 표현하여 현상을 이해하고 대응방향을 모색하는 연구방법을 의미한다. 또한, 시스템사고는 문제의 요인들이 내재적으로 순환적 인과관계의 고리들로 연결 되어 있고, 문제를 유발하는 요인들의 상대적 중요성이 시간의 흐름에 따라 변화하기 때문에 장기적, 전체적 변화 패턴에 주목해야 한다는 점을 강조하는 사고이다[6]. 이러한 시스템사고의 궁극적인 목적은 일방향적이고 단선적인 사고의 한계를 극복하고,시스템을 변화시킬 수 있는 전략을 발견하는데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3)

  1. D. G. Son, B. S. Kim, J. W. Hur, "A Study on the Effectiveness of the Relocating Public Organization Policy Using System Dynamics: Focused o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Korean System Dynamics Review, Vol.19, No.2, pp.33-51, June, 2018. 

  2. H. Y. Jeong, "A Study on the New Direction of the Seoul Metropolitan Area Policy", Economic Focus, The Seoul Institute, Korea, pp.17-26, 2006. 

  3. J. S. Lee, Issues and Regional Response of Deregulation in the Capital Region, Policy Focus, Busan Developmet Institute, Korea, pp.1-12, 2013 

  4. T. H. Moon, Sustainable City from a System Thinking, p.308, Jipmoondang, 2007. 

  5. H. Performance, Stella, An Introduction to System Thinking, High Performance Systems Inc.: NH, USA, 1994. 

  6. C. H. Yu, W. J. "Jang, A Study on Strategy Factor of Spatial Information Policy Leverage Using System Dynamics", Journal of the Korean Cadastre Information Association, Vol.17, No.1, pp.107-125, April, 2015. 

  7. B. Richmond, S. and Peterson, Stella II: An Introduction to Systems Thinking, Lyme: High Performance Systems Inc. 1992. 

  8. Presidential Commission on Policy Planning, Strategies for National Development in the 21st Century: Balanced National Development, p.307, Policy Report of Korea, 2008. 

  9. C. G. C, "Evaluation of the Performance of the Balanced Development Policy in the Past Governments", Social Science Studies, Vol.25, No.2, pp.130-174, 2017. DOI: http://dx.doi.org/10.17787/jsgiss.2017.25.2.130 

  10. G. S. Kim, W. S. Lee, G. C. Nam, Y. M, Yun, "The Direction and Challenges of Regional Area Policy", Urban Information Service, No.383, pp,3-21, 2014. 

  11. KRIHS, A Study on the Direction of Construction of the New Administrative Capital, Sourcebook of Public Hearing, pp.228-258, 2004. 

  12. D. H. Kim, Systems Thinking, p.323, Sunhaksa, 2004. 

  13. T. H. Moon, C. H. C, J. H. Lee, "Structure of Social Conflict in Korea by System Thinking", The Korean Association for Local Government Studies, Korea, pp.399-422. 2011.11.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