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유아교사의 ICT 수업매체 역량 강화를 위한 교육과정 구성 방안
The Composition of Curriculum to Improve ICT Instructional Media Competency of Early Childhood Teacher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20 no.12, 2019년, pp.588 - 596  

이영미 (백석대학교 사범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유아교사의 ICT 수업매체 활용 능력을 양성하기 위해 ICT 중심 교사 교육과정 구성안을 제안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유아교사들의 교사 역량에 대한 중요도와 현재 역량 수준을 조사하고 ICT 수업매체 역량 교육의 필요성을 확인한 후, ICT 중심 교사 교육과정 내용 구성안을 설계하였다. 207명의 유아교사를 대상으로 교사역량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ICT 수업매체 역량에 대한 교육 필요도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또한, ICT 수업매체 역량에 대한 하위 지표들의 분석결과를 기초로 ICT 중심 교사 교육과정을 ICT 수업매체 소양교육과 ICT 수업매체 활용교육으로 분류하였다. 각 영역은 교사의 역량수준에 따라 인식, 적용, 확산의 3수준으로 위계화 되며 수준별 설정된 목표에 근거하여 교육내용을 제안하였다. 연구에서는 ICT 수업매체와 관련한 교사 전문성 개발을 위해 ICT 활용 교육정책 이해, ICT 교육과정의 목표와 평가 이해로 구성된 ICT 소양교육과 교수학습방법 활용, 디지털 기술의 적용, ICT 학습 환경 구성 및 관리를 포함한 ICT 활용교육으로 구성하여 ICT 중심 교사 교육과정 안을 제안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an ICT-oriented teacher curriculum in order to improve early childhood teacher's competency using ICT instructional media. To this end, a surve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importance and current level of early childhood teacher's competency. After identi...

주제어

표/그림 (6)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유아교사 역량에 대한 중요도와 실제 역량 수준을 조사해 보고 ICT 역량에 대한 교육 필요 정도를 확인한 후 ICT 중심 교사 교육과정 내용 구성안을 제안해 보고자 한다. 이를 위한 구체적인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 본 연구는 유아교사를 대상으로 ICT 수업매체 역량에 대해 조사하고 이에 기반 하여 ICT 수업매체 활용에 관련된 교사 전문성 개발을 위한 교육과정 구성 방향을 제안하는데 있다. 이를 위한 본 연구에서는 ICT 수업매체를 포함한 교사역량수준을 조사하기 위해 서울과 경기도에 소재한 유치원 및 어린이집에서 근무하는 유아교사 207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 또한 교육과정 구성안은 교사들의 역량수준에 따라 교육내용들을 범주화시킨 것으로 향후 연구에서는 각 범주에 따라 교육내용을 더욱 세분화시켜 구체적인 교육방법과 함께 제안해볼 수 있다. 이를 통해 유아교육에 있어 ICT 수업매체 활용 교사교육의 실현 확대를 이루어 4차 산업혁명 사회에서 역량 있는 유아교사로 성장하여 유아교육의 질적 향상을 기대해 보고자 한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유아교사들의 ICT 수업매체 역량 강화와 이를 위한 교사교육의 중요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유아교사들을 대상으로 ICT 수업매체를 포함한 교사역량 진단조사를 실시하였고 ICT 수업매체 역량 강화를 위한 교사교육 기본 교육과정 구성안을 제시해 보았다. 교사들의 ICT 수업매체 역량에 대한 중요도와 현재수준을 조사한 결과 ‘유아에 대한 이해 및 태도 역량’과 ‘자기개발역량’에 대한 중요도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나 현재수준 간의 차이를 통한 교육 필요 정도에서는 ‘ICT 수업매체 활용역량’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 반면 ICT 매체 활용교육은 정보소양능력을 기반으로 수업 상황에서 나타나는 문제해결을 위해 정보통신 기술을 활용할 수 있는 역량을 양성하는 교육을 의미한다[1]. 즉 ICT 매체를 도구적으로 활용하여 수업의 목적을 달성하려는 것으로 교사가 창의적인 사고를 가지고 학습활동을 하도록 지원하여 학습목표를 효과적으로 달성하도록 하는 것으로 각 교과의 특성에 적합하게 ICT 매체를 활용하여 학습효과를 극대화시키고자 한다[1].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ICT 매체를 유아교육에 효과적으로 적용하여 교육의 질적 수준을 제고하기 위해서 중요한 것은? ICT 매체를 유아교육에 효과적으로 적용하여 유아의 학습경험을 다양화하고 새로운 경험을 구축함으로써 교육의 질적 수준을 제고하기 위해서는 ICT 매체 활용 역량을 가진 우수한 교사의 확보가 무엇보다도 중요하다[1][2][3]. ICT 교육이 강조하는 자기주도적 학습이 초·중·고등학교와 달리 유아교육에서는 유아의 발달적 특성과 유아교육환경의 제한적 특성으로 인해 새로운 개념으로 재정립되기 때문에 유아중심의 ICT 매체 활용 교육은 유아 주도적인 ICT 매체 활용에 한계로 작용하므로 유아교사의 역할이 더욱 중요해 질 수 밖에 없다[4].
유아교육에서 ICT 매체의 교육 현장 도입은 어떻게 이루어졌나? 그러나 지식정보화사회, 4차 산업혁명 사회로의 변환은 ICT 매체의 교육 현장 도입을 거부할 수 없는 상황으로 만들어 주어 유아교육에서도 ICT 매체를 활용한 교육의 진입을 더 이상은 거부할 수 없게 되었다. 이에 수차례에 걸친 유치원 교육과정 개정을 통해 유아교육에서도 90년대 후반부터 정보능력 함양을 위한 교육실시가 시작되었고 수업에 컴퓨터 등의 매체 활용이 이루어지기 시작했다.
정보통신기술이 학교교육에 본격적으로 도입된 시기는? 정보통신기술(ICT: Information, Communication and Technology 이하 ICT)이 학교교육에 본격적으로 도입되기 시작한 것은 1987년 12월 교육부의 ‘학교컴퓨터 교육 강화 방안’을 발표한 시점이며 이후 정보화 사회로의 진입과 발전을 위해 학교교육에 컴퓨터를 활용한 수업을 지속적으로 확대하기 시작했다. 그러나 컴퓨터를 활용한 교육은 주로 초·중·고등학교를 중점으로 이루어졌고 유아교육에서는 1995년 이후에야 적용을 시작하게 되었다[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1)

  1. Y. O. Yoo, "Toward exploring direction of ICT education on early childhood's teachers", Journal of Living Science Research, Vol. 31, pp.115-127, 2005. 

  2. W. W. Buckleitner, & C. F. Hohmann, "Technological Priorities the education of young children", Child Education, pp.337-340, 1987. DOI: http://dx.doi.org/10.1080/00094056.1987.10521483 

  3. S. D. Kim, A study upon the application of the computer program for numeral education in kindergarten, Master's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Korea, pp. 22-23, 1991. 

  4. G. J. Yoo, "Use of ICT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Children's Media, pp.87-109, 2005. 

  5. K. J. Yoo, J. S. Yoo, J. E. Kang, "Meta-analysis of effects of using ICT media in education activities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The Journal of Korea Open Association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Vol.22, No.4, pp.309-328, 2017. DOI: http://dx.doi.org/10.20437/KOAECE22-4-14 

  6. A. S. Drigas, G. K. Kokkalia, "ICTs in Kindergarten", Internationl journal of Emerging technologies in Learning, Vol.9, No.2, 2014. DOI: http://dx.doi.org/10.3991/ijet.v9i2.3278 

  7. M. Kallery, "Science in Early Years Education: Introducing Floating and Sinking as a Property of Matter", International Journal of Early Years Education, Vol.23, No.1, pp. 31-53, 2015. DOI: http://dx.doi.org/10.1080/09669760.2014.999646 

  8. K. Nikolopoulou, & V. Gialamas, "ICT and play in preschool: early childhood teachers' beliefs and confidence", International Journal of Early Years Education, pp. 1-17, 2015. DOI: http://dx.doi.org/10.1080/09669760.2015.1078727 

  9. UNESCO, Recognizing the potential of ICT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Analytic survey, UNESCO institution for information Technologies in Education, Russia, pp. 83-86, 2010. 

  10. G. S. Lee, Early childhood Curriculum, p.47, Seoul:Gyomunsa, 2013, p.86-113. 

  11. H. J. Choi, The meaning of national kindergarten curriculum revision and teachers' guidebooks change in Japan, Master thesis, Sejong University, Seoul, Korea, pp.10-11, 2007. 

  12. Y, R, Jeon, "Preschool Education Reforms: A Comparative Overview of Current Implementations in Korea, China, and Japan", East Asian Humanities Society, Vol. 18, pp.409-451, 2010. 

  13. S. Y. Y, "Difference of Operating Education According to the Degree of Confidence in Education Using ICT of Early Childhood Teachers and Predictive Factors for Their Confidence", Korea Journal of Child Care and Education, Vol. 95, pp.127-151, 2015. 

  14. K. J. Yoo, M. K. Kim, "The analysis of cognition and requirement about ICT Literacy education of Preservice teachers and early childhood teachers ", The Journal of Korea Open Association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Vol.16, No.5, pp. 269-292, 2011 

  15. Y. M. Lee, S. Y. Park. "A Delphi Study on the development of Diagnostic tool for the Kindergarten Teacher s Competencies including ICT instructional Media Competency".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Vol.19, No.1, pp. 723-752, 2019. DOI: https://doi.org/10.22251/jlcci.2019.19.1.723 

  16. UNESCO, ICT competency Framework for teachers, United Nations Educational, Scientific and Cultural Organization, France, pp.22-58, 2018. 

  17. N. Vernadakis, A. Avgerinos, E. Tsitskari, E. Zachopoulou, "The Use of Computer Assisted Instruction in Preschool Education: Making Teaching Meaningful", Early Childhood Education Journal, Vol.33, No.2, pp. 99-104, 2005. DOI: http://dx.doi.org/10.1007/s10643-005-0026-2 

  18. BEC TA, A review of the evidence on the use of ICT in the Early Years Foundation Stage, 2008, Available from http://www.becta.org.uk (accessed Sep. 2019). 

  19. N. Zaranis, "The use of ICT in Preschool Education for geometry teaching", In R. Pinto, V. Lopez, & C. Simarro (Eds.), Proceedings of the 10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Computer Based Learning in Science, Learning Science in the Society of Computers, Centre for Research in Science and Mathematics Education(CRECIM), Barcelona, pp. 256-262, 2012. 

  20. E. Chronopoulou, V. Riga, "The contribution of music and movement activities to creative thinking in pre-school children", Creative Education, Vol. 3, pp. 196-204, 2012. DOI: http://dx.doi.org/10.4236/ce.2012.32031 

  21. N. Zaranis, M. Kalogiannakis, "The use of ICT in preschool education for science teaching with the Van Hiele theory", In M. F. Costa, B. V. Dorrio, & S. Divjak (Eds.) Proceedings of the 8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Hands-on Science, University of Ljubljana, Slovenia, pp. 21-27, 2011.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