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인구특성과 접근성을 고려한 방사능재난 대피시설 입지 적정성 분석 -부산광역시 기장군, 금정구, 해운대구를 대상으로-
Appropriateness of Location of Nuclear Accident Evacuation Shelters based on Population Characteristics and Accessibility -The Case of Busan Gijang-gun, Geumjeong-gu and Haeundae-gu in Korea- 원문보기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v.22 no.4, 2019년, pp.131 - 145  

동아현 (부산대학교 도시공학과) ,  이상혁 (부산대학교 도시공학과) ,  강정은 (부산대학교 도시공학과)

초록

우리나라는 원자력재난 발생 시 인근에 거주하는 주민들을 보호하기 위해 「원자력시설 등의 방호 및 방사능 방재 대책법」에서 방사선비상계획구역을 설정하고 있다. 그러나 방사능사고에 대한 전반적인 관심이 부족하여 원자력 대피시설의 적합성과 관련된 연구는 활발히 이루어지지 않는 것으로 파악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취약인구 분포 및 접근성 분석을 기반으로 현재 부산시 방사선 비상계획구역 중 긴급보호조치계획구역의 대피시설의 입지 적정성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분석 결과, 현재 원전시설이 입지하고 있어 가장 위험성이 큰 기장군은 전체 도시지역 면적의 4.05% 만이 5분 내 대피가능지역으로 분석되었으며, 금정구는 36.93%, 해운대구는 37.23% 만이 대피시설 서비스 가능지역에 포함되어 해당 지역에 더 많은 대피시설이 필요한 것으로 보인다. 또한, 노인 인구 집중지역에서 대피시설이 부족한 곳이 많았고, 같은 구내에서도 동 간 격차가 커, 취약계층뿐 아니라 지역 간 형평성을 모두 고려하여 긴급보호조치계획구역 내 대피시설 입지 우선순위를 결정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Korea has set up a radiation emergency planning zone based on the 「Act on Physical Protection and Radiological Emergency」 to protect residents living near nuclear power plants in the event of nuclear disasters. Little research has been conducted on the appropriateness of existing nucle...

주제어

표/그림 (10)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에 본 연구는 국내에서 최초로 건설되었을 뿐 아니라 위험성에 대한 논의가 지속해서 이루어지고 있는 고리원자력발전소를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고리원자력발전소의 비상계획구역 중 거주하는 취약계층인 어린이와 노인의 인구비율이 가장 높은 부산광역시를 사례지역으로 선정하였고, 취약계층의 보행특성과 접근성을 고려하여 대피시설의 입지적정성을 분석하고자 한다.
  • 다음으로 LISA분석을 통해 취약계층의 상대적인 분포를 파악하고자 한다. 기장군은 총 5개 읍·면 모두 긴급보호조치구역이다.
  • 본 연구는 인구특성과 접근성을 고려하여 부산광역시의 긴급보호조치계획구역의 대피시설의 입지의 적정성을 세밀히 분석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자료를 활용였다.
  • 네트워크분석 시 필요한 도로망 자료는 국가공간정보포털에서 제공하는 새주소 도로구간을 이용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취약계층이 대피할 때, 도보로 이용할 수 있는 도로를 활용하고자 하였고, 이에 따라 고속도로를 제외한 주간선도로, 보조간선도로, 소로, 골목길을 분석자료 선택하였다.
  • 본 절에서는 네트워크분석을 통해 대피시설의 입지 적정성을 분석하고자 서비스 권역을 도출하였다. 이렇게 도출된 서비스 권역의 면적을 각 구·군의 읍·면·동 별로 세분화하여 도시지역 면적과 비교하고, 취약계층 중에서 서비스를 받을 수 있는 인구의 비율을 도출하여 대피시설 입지 적정성과 취약지역을 정량적으로 검토하고 정책적 대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 이렇게 도출된 서비스 권역의 면적을 각 구·군의 읍·면·동 별로 세분화하여 도시지역 면적과 비교하고, 취약계층 중에서 서비스를 받을 수 있는 인구의 비율을 도출하여 대피시설 입지 적정성과 취약지역을 정량적으로 검토하고 정책적 대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 최근 몇 년간 국내에서는 대규모 지진이 발생하였고, 다양한 연구를 통하여 한반도는 더는 지진 안전지대가 아니라는 것이 밝혀지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방사능재난이 발생할 경우, 안전 취약계층인 어린이와 노인이 안전하게 대피시설로 대피할 수 있는지 살펴보았다.
  • 안전취약계층인 노인, 어린이는 다른 연령층에 비해 신체적, 정신적 능력이 약하여 보행 속도가 느려 신속한 대피에 어려움을 겪을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안전취약계층의 보행속도와 관련된 선행연구를 기반으로 본 연구에서는 어린이와 노인의 보행속도를 0.8m/sec로 설정하고자 한다(Lee, Gu, Chun and Park, 2015; Lei, Lee and Kim, 2016; Ministry of the Interior and Safety, 2015; Ma and Kim, 2011). 0.
  • 그러므로 대피시설의 입지적절성 및 대피시설 여건은 방사능사고 대응의 가장 중요한 요소로 고려 될 것이다. 이에 본연구는 사례지역의 일반 대피시설을 대상으로 입지적절성을 분석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예방적보호조치구역이란? 예방적보호조치구역은 방사선 비상이 발생할 경우, 사전에 주민을 소개하는 등 예방적으로 주민보호조치를 실시하기 위하여 정하는 구역이며, 원전 3㎞에서 5㎞ 반경을 기초범위로 설정하고 있다. 긴급보호조치계획구역은 방사선비상 또는 방사능재난이 발생할 경우, 방사능영향평가 또는 환경감시 결과를 기반으로 하여 주민에 대한 긴급보호조치를 위하여 정하는 구역으로 반경 20㎞~30㎞를 그 경계로 한다(Act on Physical Protection and Radiological Emergency, 2019).
원자력 발전 시설의 붕괴가 미치는 영향은? 특히 우리나라의 원자력 발전 시설은 대부분 해안지역에 분포되어 있어 지진·해일로 인한 원자력시설의 붕괴, 폭발이 발생할 가능성이 크다. 원자력 발전 시설의 붕괴로 방사능물질이 누출되면 인근 지역주민의 방사선 피복, 농·수산물, 가축 및 취수원 오염, 도시경제 활동에 막대한 영향을 미치게 된다.
방사능재난에 초점을 맞춘 대피시설의 입지 및 시설 적정성에 관한 연구는 아직 미흡한 수준인 이유는? 이에 반해 방사능재난에 초점을 맞춘 대피시설의 입지 및 시설 적정성에 관한 연구는 아직 미흡한 수준이다. 이는 원전의 입지가 특정 지역에 집중적으로 분포되어 있어 지역주민을 제외한 일반인들의 관심이 적고,‘원전사고는 발생 확률이 낮다’라는 인식에서 비롯된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앞서 언급했듯이 지진 발생과 연계된 원자력 발전소의 사고 발생에 대한 우려가 증가하고 있으며, 원자력 사고를 대비한 대피시설 입지에 관한 연구의 필요성 역시 증대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6)

  1. An, Y.S., S.M. Jang and S.I. Lee. 2012. A Study on the Distribution Pattern of Commercial Facilities around a Subway Station Using GIS Network Analysis : Focused on Sillim Station of Seoul Subway Line 2. Korea Planning Association 47(1):199-213 

  2. Bae, K.Wan., H.J. Park, S.M. Jun and J.C. Jung. 2018. Evaluating the Location of Tsunami Emergency Shelters for the Children and the Old.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Hazard Mitigation 18(1):113-123 

  3. Bandana, K and M.E. Hodgson. 2008. A GIS-Based Model to Determine Site Suitability of Emergency Evacuation Shelters. Transaction in GIS 12(2):227-248. 

  4. Choi, J.H. and S.M. Joo. 2013. An Analysis on the Characteristics of Obstetrics and Gynecology Distribution in Daegu Metropolitan City using GIS Spatial Analysis, Journal of Daegu Gyeongbuk Development institute 12(2):149-156 

  5. Eom, Y.H., K.H. Eom, S.H. Han and S.Y. Choi. 2017. The Direction of Recovery for Large-scale Complex Disasters in Korea : The Case of Disaster Recovery Strategy in Japan. Crisisonomy 13(8):69-84 

  6. Gang, B.W. 2006. Consideration on efficiency of radiation disaster management measures. The Magazine of the Korean Society of Hazard Mitigation 6(4):15-26 

  7. Heo, B.Y and S.H. Park. 2016. A Study on Improvement of the Procedure of Selection and Maintenance for Natural Disaster Shelter,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Hazard Mitigation 16(5):105-112 

  8. Joo, S.M., J.H. Choi and B.J. Kim. 2014. A Study on Boundary Set-up of Metropolitan Areas in Dae-gu using Network Analysis in GIS, Journal of the Korean cadastre information association 12(3):85-95 

  9. Kim, H.S., D.G. Han and D.H. Kim. 2018. Development of Flood Inundation Map and Selection of Optimal Shelter for Mega Flood. Journal of Civil Engineering 2017:1729-1730 

  10. Kim, L.B and J.S. Ahn. 2014. A Comparative Study of the Accessibility to Social Welfare Facilities for Use in Gyeongbuk Province Utilizing GIS, Social Welfare Academy 41(3):107-129 

  11. Kil, H.M., H.S. Park and J.Y. Park. 2015. Analyzing the Location-Selecting Factors for Care Hospitals Using Kernel Density Function and LISA based on GISFocusing on the Demand and Supply Factors of the Metropolitan Area-. Residential Environment Institute Of Korea 13(4):283-299 

  12. Kim, H.D., H.J. Shin and M.H. Beak. 2013. A Study on Actual Status of Tsunami Shelters and Residents Consciousness-Based on Samcheok Area,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Hazard Mitigation 13(2):185-190 

  13. Kwon, P., Y.M. Lee, Y. Huh and K.Y. Yu. 2015. Rearranging Emergency Medical Service Region Using GIS Network Analysis - Daejeon Metropolitan City Case Study. The Korean Society for Geo-spatial Information Science 23(3):11-21 

  14. Lawrence, M. W., Y.S. Choi and S. Denuit. 2010. Analyzing Evacuation Versus Shelter-in-Place Strategies After a Terrorist Nuclear Detonation. Risk Analysis 30(9):1315-1327. 

  15. Lee, S.I., D.H. Cho, H.G. Sohn and M.O. Chae. 2010. A GIS-Based Method for Delineating Spatial Clusters: A Modified AMOEBA Technique. The Geographical Journal of Korea 45(4):502-520 

  16. Lee, S.J. and J.Y. Lee. 2011. Vulnerability Analysis on Fire Service Zone using Map Overlay Method in GI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urveying 29(1):587-596 

  17. Lee, S.H., M.S. Kim and Y.W. Chun. 2018. Spatial Analysis of Accessibility to Shelters - Case Study of Pohang Earthquake at Nov. 15, 2017. Korean spatial Information Society. 2018:105-106 

  18. Lee, S.H., S.H. G., Y.W. Chun. and Y.J. Park. 2015. The Spatial Location Analysis of Disaster Evacuation Shelter for Considering Resistance of Road Slope and Difference of Walking Speed by Age - Case Study of Seoul, Korea.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Geospatial Information Science 23(2):69-77 

  19. Lei, H.Y., H.J. Lee and Jung Gon Kim. 2016. The Suitability Assessment of Disaster Evacuation Shelter for Considering Walking Speed of the Aged. The Korean Society for Geo-spatial Information Science 2016(5):94-95 

  20. Ma, S.I. and H.S. Kim. 2011. Accessibility to Welfare Facilities for the Aged through GIS Network Analysis : Focused on Inland Areas in Incheon. The Korea Spatial Planning Review 70:61-75 

  21. Ministry of Public Safety and Security. 2018. Framework Act on The Management of Disasters and Safety. 

  22. Ministry of Public Safety and Security. 2016.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the Standard for the Prevention of Urban Defense Residents. 

  23. Nuclear Safety and Security Commission. 2018. The Act on Physical Protection and Radiological Emergency. 

  24. Oh, K.S. and H.S. Jeong. 2005. An Assessment of the Spatial Distribution of Urban Parks using GIS, Korea Planning Association. 40(3):189-203 

  25. Park, J.K. and D. M. Kim. 2012. Analysis of Shelter Service Areas According to Walking Speed Using Network Analysi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Geospatial Information Science 20(4):37-44 

  26. Sung, K.W. and I.M. Choi. 2011. A Research on Building Protecting System for the Socially Vulnerable in Large Scale Disaster Area. Crisisonomy 7(1):1-22 

  27. Yoo, H.H. and S.R. Son. 2012. Suitability Assessment for Flood Disaster Shelters of Jinju City.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Geo-spatial Information Science 20(3):91-99 

  28. Yoo, H.J. 2008. Study for Securing the Safety Right-Focused on the Criterion of the Acceptable Risk Level for Disadvantaged Class-. Journal of Safety and Crisis Management 4(2):17-31 

  29. Busan Metropolitan City. 2019. http://www.busan.go.kr/index. 

  30. Center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19. https://www.cdc.gov/. 

  31.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2019. Earthquake Rates in Korea. http://www.weather.go.kr/weather/earthquake_volcano/domesticlist.jsp 

  32. Ministry of Public Safety and Security. 2019. http://www.mois.go.kr/frt/a01/frtMain.do. 

  33. Ministry of Public Safety and Security. 2015. Guidelines for the Integration of Children, the Elderly and the Disabled. 

  34. National Disaster Management Institute. 2019. http://www.ndmi.go.kr/. 

  35. Nuclear Safety and Security Commission. 2019. http://nssc.go.kr/nssc/index.jsp. 

  36. Statistics Korea. 2019. http://kostat.go.kr/portal/korea/index.action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