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GIS 기법을 활용한 화학사고 대피시설의 적정성 분석 - 울산광역시를 대상으로 -
An Analysis on the Appropriation of Chemical Accident Evacuation Facility Using GIS - focused on Ulsan metropolitan city - 원문보기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v.21 no.1, 2018년, pp.71 - 82  

송봉근 (국립재난안전연구원 재난원인조사실) ,  이태욱 (국립재난안전연구원 재난원인조사실) ,  김현주 (국립재난안전연구원 재난원인조사실) ,  김태훈 (국립재난안전연구원 재난원인조사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울산광역시를 대상으로 화학사고에 대비한 대피시설 위치의 적정성을 분석하여 피해 최소화를 위한 방안을 연구하였다. 연구방법은 화학물질 배출 및 이용량 자료와 인구센서스 집계구 자료, 대피시설 위치정보 등을 활용하여 화학사고 위험성 평가와 대피시설의 접근성을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대피시설 위치의 적정성을 도출하였다. 화학사고 위험성은 석유화학공장과 인구가 밀집된 석유화학공단지역 인근 5km 이내에서 높았다. 대피시설은 대부분 화학사고 위험지역에 분포하고 있으나, 석유화학공장 인근지역에서 대피시설의 접근성이 취약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우선적으로 화학사고 예방을 위해 노후화된 공장시설의 안전점검도 필요하지만, 대피시설의 수용인원, 규모 등을 고려하여 보다 효과적인 대피방안을 마련해야 될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minimize damage of chemical accidents through the appropriation analysis of evacuation facility position focused on Ulsan metropolitan city. For analysis, informations such as pollutant release and transfer registers(PRTR), population census, and evacuation facilitie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대규모 석유화학단지가 위치하여 화학사고의 잠재적 위험성이 높은 울산 광역시를 대상으로 화학사고 및 대피시설 관련 공간정보를 활용하여 GIS 기반의 대피시설 적정성을 분석하였고, 화학사고에 따른 피해최소화를 위한 방안에 대해 알아보았다.
  • 본 연구는 울산광역시 석유화학단지를 대상으로 최근 빈번하게 발생되고 있는 화학사고와 관련해 공간정보를 기반으로 한 GIS 기법을 적용하여 화학사고의 위험성을 평가하고 대피시설 위치의 적정성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연구를 위한 기초적인 연구를 담고 있으며 우선적으로 화학사고에 대비한 현황 파악을 목적으로 수행하였다. 향후 본 연구를 확대하여 화학사고에 대비하기 위한 정책과 법, 제도 개선에 적용할 수 있는 연구를 진행할 예정이다.
  • 화학물질 배출 및 이동량은 사업장에서 제조 또는 사용과정에서 배출되는 화학물질의 양에 대한 정보를 말하는 것으로, 이에 대한 조사는 화학물질의 양을 사업자 스스로 파악하도록 하고 배출저감 노력으로 제품이나 원료물질의 배출 손실을 줄여 기업의 생산성을 향상시키고 환경오염을 최소화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는 화학 물질관리법 제11조(화학물질 배출량 조사), 동법 시행규칙 제5조(화학물질 배출량 조사 등)에 명시되어 있다.

가설 설정

  • 특히 그림 7(c)의 ①번과 ②번 지역은 화학사고 위험성도 높고 인구가 밀집된 지역으로 피해가 가장 클 것으로 예상되는 곳이다. 이 지역들을 자세히 살펴보면, ①번 지역인 그림 7(d)에서 이를 확대해 자세히 살펴보면, ①번 지역인 그림 7(d)에서 화학사고 발생위험이 큰 지역은 석유화학단지 인근의 고밀도 주거시설이 밀집된 곳으로(a, b, c) 석유화학단지와 불과 1km에 근접해 있다. 따라서 화학사고가 인근 공장에서 발생 시 신속히 대피하지 못하면 자칫 대형사고로 이어질 위험이 있다.
  • 분석방법은 대피시설 위치정보와 도로망 자료를 이용하여 ArcGIS 프로그램 Network analysis기법의 Service area 분석툴을 활용하였다. 접근시간은 화학사고 발생 시 사람이 빠른 걸음(6km/h)으로 5분 이내(500m)로 대피시설에 도착하는 것을 가정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화학사고란 무엇인가? 화학사고는 시설의 교체 등 작업 시 작업자의 과실, 시설 결함·노후화, 자연재해, 운송사고 등으로 인하여 화학물질이 사람이나 환경에 유출 및 누출되어 발생하는 일체의 상황으로 정의하고 있다(Ministry of Environment, Lee et al, 2016). 화학사고는 발생 규모와 피해정도가 상당히 크기 때문에 그 피해 또한 매우 치명적일 수 있어 화학사고에 대비한 많은 노력이 필요하다.
화학사고의 대표적인 예로는 어떤 것들이 있는가? 최근 유해화학물질의 화재, 폭발과 관련된 화학사고가 지속적으로 이어지고 있다. 여수 산업단지 염화수소 누출사고(2005년), 구미 불산누출사고(2012년), 울산 에스오일 폭발사고 (2016년), 석유공사 울산지사 배관공사 폭발사고(2016년), 구미 스타케미컬 폭발사고(2016년) 등이 대표적이라 할 수 있으며, 2002년 이후 매년 1,000여건 이상 꾸준히 발생하고 있다 (Jeong and Baik, 2014). 이와 같은 화학사고는 시설의 노후화, 작업자 안전관리규정 및 절차 미준수 등이 원인으로 작용하고 있다(You and Chung, 2014).
화학사고의 원인은 무엇인가? 여수 산업단지 염화수소 누출사고(2005년), 구미 불산누출사고(2012년), 울산 에스오일 폭발사고 (2016년), 석유공사 울산지사 배관공사 폭발사고(2016년), 구미 스타케미컬 폭발사고(2016년) 등이 대표적이라 할 수 있으며, 2002년 이후 매년 1,000여건 이상 꾸준히 발생하고 있다 (Jeong and Baik, 2014). 이와 같은 화학사고는 시설의 노후화, 작업자 안전관리규정 및 절차 미준수 등이 원인으로 작용하고 있다(You and Chung, 2014).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1)

  1. Bang, M.J., Y.W. Chon, Y.W. Hwang, and I.M. Lee. 2017. A study on the integrated analysis of chemical accidents by using the decision tree. Korean Journal of Hazardous Materials 5(1):59-66 (방미진, 천영우, 황용우, 이익모. 2017. Decision Tree 작성에 의한 화학사고의 통합 해석에 관한 연구. 한국위험물학회지 5(1):59-66.) 

  2. Jeong, G.S. and E.S. Baik. 2014.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safety management of hazardous chemicals handling in the workplace.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28(1):12-19 (정경삼, 백은선. 2014. 유해화학물질 취급작업장의 안전관리 개선에 관한 연구.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28(1):12-19.) 

  3. Jung, B.G. and C.J. Lee. 2016. Consequence analysis based research for the initial response of chemical accidents. Korean Journal of Hazardous Materials 4(2):22-29 (정병곤, 이창준. 2016. Consequence Analysis를 이용한 화학사고 초기대응에 관한 연구. 한국위험물학회지 4(2):22-29.) 

  4. Lee, D.J., T.H. Lee, and C.H. Shin. 2016. Study on improvement measures for prevention and countermeasure of chemical accident.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30(5):137-143 (이덕재, 이태형, 신창현. 2016. 화학사고 예방 및 대책에 대한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화재소방학회 논문지 30(5):137-143.) 

  5. Lee, H.Y. 2010. GIS geomatics. Bobmunsa (이희연. 2010. GIS 지리정보학. 법문사.) 

  6. Lee,, J.S. and D.M. Choi. 2015.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chemical accident response system in view of the national disaster management system.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29(5):73-78 (이재석, 최돈묵. 2015. 국가재난관리체제 관점의 화학사고 대응체계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화재소방학회 29 (5):73-78.) 

  7. Ministry of Environment. 2016. Chemical Substances Control Act (환경부. 2016. 화학물질관리법) 

  8. Oak, Y.S. and Y.S. Lee. 2017. A study on improvement of legal system for harmful chemical substance response management system. Journal of Korea Academy 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18(4):216-223 (옥영석, 이영섭. 2017. 유해화학물질 대응시스템 적용을 위한 제도 개선 연구.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18(4): 216-223.) 

  9. Song, B.G. and K.H. Park. 2010. An analysis of cold air generation area considering climate-ecological function. Journal of Korea Association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13(1):114-127 (송봉근, 박경훈. 2010. 기후생태적 기능을 고려한 찬공기 생성지역 분석. 한국지리정보학회지 13(1):114-127.) 

  10. Song, B.G. and K.H. Park. 2017. Analyzing characteristic of business district in urban area using gis methods-focused on large-scale store and traditional market-. Journal of Korea Association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20(2):89-101 (송봉근, 박경훈. 2017. GIS 기법을 활용한 도시지역 상권 특성 분석. 한국지리정보학회지 20(2):89-101.) 

  11. You, J.S. and Y.J. Chung. 2014. Case analysis of the harmful chemical substances's spill,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28 (6):90-98 (유지선. 정영진. 2014. 유해화학물질 유출의 사례 분석.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28(6):90-98.)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