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해양치유자원 DB 구축 및 활용을 위한 웹 GIS 기반 해양치유포털 구축
Development of a Web GIS-based Marine Healing Portal for Building and Utilizing Marine Healing Resource DB 원문보기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v.22 no.4, 2019년, pp.146 - 157  

박용길 (인하대학교 공간정보공학과) ,  김계현 (인하대학교 공간정보공학과) ,  이재혁 (한국연안협회) ,  이성재 (고려대학교 의과대학 통합의학교실) ,  이기훈 (인하대학교 공간정보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해외에서는 각광을 받고 있는 해양치유를 국내에 적용하기 위한 시범연구로서 선정된 4개의 시범지자체를 대상으로 해사와 해수, 소금, 머드, 해조류, 산림, 기상 등 7개의 주요 해양치유 관련 자원을 수집하고 GIS 기반의 관련 DB를 구축하였다. 나아가 구축된 DB의 원활한 활용과 해양치유 관련 다양한 콘텐츠의 제공, 관련 산업의 활성화를 지원하기 위하여 웹GIS 기반의 해양치유포털을 구축하였다. 포털에는 GIS 기반의 해양치유에 필수인 해양자원의 주제도는 물론, 국내외 연구문헌, 해양치유요법 관련 매뉴얼과 시범 지자체의 해양치유 관련 다양한 프로그램 등을 포함하였다. 구축된 해양치유포털의 시범운영을 통하여 향후 국내 관련 산업의 활성화에 기여가 클 것으로 사료되었으며, 향후 해양치유자원의 확대 구축과 보다 다양한 콘텐츠의 확보를 위한 후속연구의 필요성도 대두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s a pilot study to implement and extend the marine healing which has been rapidly extending oversea areas into the domestic market, has collected seven major marine healing resources such as ocean water, sand, salt, mud, seaweeds, forest, and weather targeting selected four pilot munici...

주제어

표/그림 (16)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연안에 분포하는 해양치유가능자원의 현황 및 분포특성을 파악하여 GIS DB를 구축하고, 나아가 구축된 DB의 지속가능한 활용과 함께 다양한 해양치유 관련 콘텐츠의 제공과 활용을 통해 해양치유산업의 발전을 도모하기 위한 해양치유포털을 구축하였다.
  • 본 연구는 우리나라 연안에 분포하는 해양치유자원의 현황 및 분포특성을 파악하여 GIS DB를 구축하였으며, 해양치유의 인식 확산 및해양치유 관련 콘텐츠 제공을 위한 해양치유포털을 구축하였다. 해양치유자원의 수집을 위하여 해수, 소금, 머드, 해사, 해조류 등 74개 연안지방자치단체에 분포하고 있는 7개 분류의 해양치유자원 자료를 수집하여 지속가능한 활용을 위해 GIS DB로 구축하였으며, 해양치유 정보 제공을 위한 해양치유포털을 구축하였다.
  • 아울러 해양치유 전문 연구자를 대상으로 국내 해양치유 연구 결과를 제공하고자 해양치유 연구 관련 정보를 제공하도록 하였다. 해양치유 질환별, 자원별로 출간된 논문 정보와 연구 결과를 쉽게 찾아볼 수 있도록 해양치유자원 관련 논문, 임상실험 결과 및 해양치유자원의 안전성 검사 결과와 함께 해양치유를 수행하기 위한 매뉴얼 정보도 제공하도록 하였다.
  • 해양치유는 해수, 소금 머드 등 물질적인 자원은 물론 해양경관과 해풍과 같은 환경자원 등을 운동, 식이, 명상 등 다양한 활동과 접목하여 신체 재활, 정신 치유, 질병 예방과 건강 증진 등의 효과를 창출하고 있으며, 이와 관련된 분야의 전문가 이외에도 다양한 사람들이 해양치유에 관심을 보이고 있다. 치유가 목적인 환자나 해양치유에 대한 관심이 높은 시민, 해양치유를 연구하려는 연구자 등 여러 분야의 사용자들이 해양치유자원 및 관련 정보를 활용할 수있도록 사용자들의 접근이 용이한 웹 기반의 정보 제공 시스템을 개발하여 사용자들의 요구사항을 충족시키고자 하였다. 웹 기반의 포털시스템은 해양치유 및 해양치유자원에 관한 기본적인 대국민 정보제공 및 전문 정보의 전달을 목적으로 하였으며, 사용자 요구분석을 바탕으로 해양치유정보를 전달하기 위한 핵심 기능 위주로 설계하였다(그림 10).
  • 아울러 해양치유 전문 연구자를 대상으로 국내 해양치유 연구 결과를 제공하고자 해양치유 연구 관련 정보를 제공하도록 하였다. 해양치유 질환별, 자원별로 출간된 논문 정보와 연구 결과를 쉽게 찾아볼 수 있도록 해양치유자원 관련 논문, 임상실험 결과 및 해양치유자원의 안전성 검사 결과와 함께 해양치유를 수행하기 위한 매뉴얼 정보도 제공하도록 하였다. 또한 해양치유 전문가를 양성하기 위한 전문인력 양성 관련 정보도 함께 포함하였다.
  • 해양치유자원 DB를 구축하고 사용자에게 해양치유자원 및 해양치유 연구 결과 정보의 전달을 위한 해양치유포털을 개발하였다.해양치유포털 DB에 구축한 내용이 모두 해양치유포털에서 제공될 수 있도록 개발을 완료하였으며 그림 11은 해양치유포털의 첫 화면을 나타내고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해양치유란? , 2014). 해양치유란 풍부한 해수, 진흙, 소금 등해양자원과 해양경관, 해풍과 같은 환경자원 등을 운동, 식이, 명상 등 다양한 활동과 접목하여 신체 재활, 정신 치유, 질병 예방과 건강 증진 등의 효과를 창출해 내는 활동이다(Lee et al., 2019).
탈라소테라피라는 용어는 언제 누구에 의해 처음 쓰였는가? 이미 해외에서는 해양자원을 활용한 해양치유 활동이 활발하고 역사가 오래된 독일, 프랑스 등의 국가에서는 해양치유시설을 인증기준에 따라 조성하고 지속적인 관리를 통해 각 국가별 니즈 (needs)에 적합한 해양치유활동을 지원하고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1867년 프랑스 의학자 보날디에르 박사에 의해 탈라소테라피라는 용어가 처음 쓰인 이후로 프랑스에서는 세계 최초로 1899년에 탈라소테라피 센터를 설립하였으며, 정부와 지자체의 협력을 통한 헬스·리조트형 관광단지를 조성하고 해양치유센터, 해양병원, 해양바이오센터 등을 클러스터화 하여 해양치유 관광산업으로 육성하고 있다(Gutenbrunner, C.et al.
독일에서 쿠어오르트(Kurort)는 무슨 목적으로 운영되고 있나? , 2017). 이를 통해 환자들이 질병 예방, 치료와 재활 목적으로 중장기 체류를 하며 동시에 휴양, 지역 관광, 문화체험 등의 목적을 위해 방문하는 치료와 휴양을 병행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일본은 1990년대 후반부터 해양심층수를 활용한 탈라소테라피가 발전 중이며 전국 30여개소의 치유시설을 운영하여 활성화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2)

  1. Chae, D.R. 2017. Exploring the Possibility of Utilization on Marine Resources in Wellness Industry and Strategies for Marine Healing Tourism. Journal of Marine Tourism Research 12(2):65-81 

  2. Gutenbrunner, C., Bender, T., Cantista, P. and Karagulle Z. A proposal for a worldwide definition of health resort medicine, balneology, medical hydrology and climatology. International Journal of Biometeorol 54(5):495-507. 

  3. JO, M.H., KIM, J.B., KIM, H.S. and Jo, Y.W. 2002. Developing Forest Fire Status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using Web GIS Technology.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5(4):93-105 

  4. Kim, J.A., Kim, C.S. and Park, J.A. 2011. Implementation of Saemangeum Coastal Environmental Information System Using GIS.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14(4):128-136 

  5. Kim, J.O., Kim, N.J. and Han, S.H. 2016. A study on the effect of emotion regulation through nature and perceived environmental restorativeness on the decision-making process in healing tourism. International Journal of Tourism and Hospitality Research 30(8):47-60 

  6. Kim, J.O. and Lee, C.K. 2017. A study on the establishment of a conceptual model of Korean-style healing tourism and analysis of healing effects: Focusing on participants in nature-based outdoor recreation. International Journal of Tourism and Hospitality Research 31(5):5-21 

  7. Kim, N.S. and Kim, S.J. 2011. A Study on the Web-Based Representation of Thematic Maps Using GeoWeb Platform.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14(1):107-117 

  8. KIMST. 2018. The base study to discover and to commercialize for the resources of sea healing to activate marine industry (1st year). KIMST 

  9. Korpela, K., Borodulin, K., Neuvonen, M., Paronen, O., and Tyrvainen, L. 2014. Analyzing the mediators between nature-based outdoor recreation and emotional well-being. Journal of Environmental Psychology 37(March):1-7. 

  10. Lee, H.S., Doe, G.Y. and Kang, Y.H. 2019. A Study on Site Evaluation Process for Thalassotherapy Complex.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43(3):219-230 

  11. Lee, S.J. 2018. Domestic marine healthcare industry as a new marine industry. 2018 The Korean Association of Ocean Science and Technology Societies Conference 2018.5:7-8 

  12. Yoon, I.J., Hong, J.W., Lee, J.H. and Lee, J.A. 2017. A Study on Introducing Way of Marine Wellness Facilities in Korea. Proceedings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Ocean Science and Technology Societies 2017. pp.198-20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