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해양치유시설 계획기준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Planning Criteria for Thalassotherapy Facility 원문보기

한국항해항만학회지 = Journal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v.44 no.1, 2020년, pp.20 - 31  

이한석 (한국해양대학교 해양공간건축학부) ,  강영훈 (한국해양대학교 해양과학기술연구소) ,  성해민 (한국해양대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해양치유시설의 계획기준을 마련하는 연구로서 해양치유시설의 주요 계획항목인 입지선정, 환경계획, 공간계획을 대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먼저 해양치유시설 특성을 살펴보고 해양치유시설계획의 기초가 되는 치유자원과 치유요법을 조사하며 해양치유시설 관련 해외기준을 분석한다.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해양치유시설의 입지선정, 환경계획, 공간계획을 위한 기준을 제시한다. 연구결과 입지선정기준으로는 해안선에서 1km 이내 거리에 위치하고 오염물질 배출시설이 없으며 더위체감지수와 체감온도가 연중 80%이상 '주의' 이하로 유지되는 곳으로 한다. 환경계획기준에서 수질은 국내기준 혹은 ISO 17680 기준 가운데 가장 엄격한 기준으로 하고 공기의 질은 「환경정책기본법」의 대기환경기준치의 60% 수준으로 하며 공기 중 SO2, NO2, O3, PM10 농도는 연간기준초과횟수를 EU기준에 맞도록 하고 소음은 주간 50dB 이하, 야간 40dB 이하로 한다. 공간계획기준은 공간의 특성에 따라 「건축법」의 기준, 건축계획실무기준, 국제기준을 따르도록 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planning criteria for the thalassotherapy facility. Among the various contents of the planning criteria, the crucial parts of the thalassotherapy facility planning are the location, facility environment, and room space. To do this, we first examined the chara...

주제어

표/그림 (7)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해양치유시설을 계획하고 설계하는 실무자들을 위한 계획기준 1) 을 마련하는 것이 목적이다. 특히 해양치유시 설이 적절한 치유여건을 갖추려면 무엇보다 적당한 입지선정, 필요한 치유환경의 유지, 치유요법에 맞는 치유공간의 확보가 중요하다.
  • 본 연구에서는 건축설계 실무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해양 치유시설의 특성, 치유자원과 치유요법, 그리고 해외시설기준을 고려하여 해양치유시설의 입지조건, 치유환경 그리고 치유 공간에 대하여 계획기준을 제시하였다. 해양치유시설은 일반병원건물이나 요양시설과 다른 특성을 가지고 있으며 우리나 라에는 없었던 새로운 시설물이고 앞으로 해안에 많이 들어설전망이므로 해양치유시설에 대한 적절한 계획기준이 필요하 다.

가설 설정

  • 공간규모나 배치 등은 해외 시설인증기준과 국내 관련 법규 및 기준에 모두 적합할 것
  • 모든 공간은 위생적이고 쾌적하게 유지 관리하기에 편리할 것
  • 설비구역에는 폐기물처리시설을 갖추고 냉난방, 해수, 하수등 배관은 구별되게 색상과 표지판을 계획한다.
  • 수질은 장소 및 용도에 따라 적용되는 국내기준 혹은 ISO 17680기준을 만족시키도록 한다. 예를 들어 해수의 생물학적 요구사항은 ISO 17680의 Annex A(해수의 미생물학적 기준)을, 중금속기준은 ISO 17680의 Annex B (해수의 중금속기준)을 적용하며 ISO 17680에서 정하지않은 사항은「환경정책기본법」시행령 제2조의 ‘해수의사람건강보호기준’을 적용한다.
  • 유해물질로 인한 물과 대지의 오염, 가스나 미립자 혼합물질에 의한 대기오염, 소음공해 등 환경오염이 없을 것
  • 주변 자연에서 얻어지는 치유자원의 오염을 방지할 것 ․ 시설의 건설이나 지역개발 시 환경영향을 최소화할 것 ․ 환경보호 및 보전에 관련된 법률을 준수할 것
  • 질병의 예방, 완치 또는 증상완화를 위한 해양치유시설을 구비할 것
  • 해양치유를 위해 규정된 교육을 이수하고 자격을 취득한수치료사, 미용사, 물리치료사 등 전문 인력을 관련 규정에 따라 배치할 것
  • 해양치유시설은 환경에 민감한 환자를 위한 시설이므로 일반적인 환경기준보다 엄격한 기준을 적용할 것
  • 해양치유시설의 관리와 운영은 승인받은 공적 기관에 의해 통제 및 감시를 받도록 할 것
  • 해양치유시설의 특성을 지역토지이용계획안에 반영할 것 ․ 단지 내 및 주변에 공장 등이 입지할 수 있는 용도지역 및지구는 지정하지 말 것
  • 시설과 장비 ․ 해양치유시설은 해안선에서 1km 거리 이내에 위치할 것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해양치유란? 해양치유는 해양기후, 해수, 해양광물, 해양생물 등 바다의 자연자원을 활용해서 심신을 치유하는 행위이다. 해양치유는 치유자원, 치유요법, 치유대상에 따라 다양하며 치유효과를 위해서는 치유시설의 역할이 매우 크다.
해양치유시 설이 적절한 치유여건을 갖추기 위해 중요한 것은? 본 연구는 해양치유시설을 계획하고 설계하는 실무자들을 위한 계획기준 1) 을 마련하는 것이 목적이다. 특히 해양치유시 설이 적절한 치유여건을 갖추려면 무엇보다 적당한 입지선정, 필요한 치유환경의 유지, 치유요법에 맞는 치유공간의 확보가 중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시설계획사항 가운데 해양치유시설의 입지조건, 환경계획, 공간계획 등 세 분야를 연구내용으로 한다.
해양치유시설을 공간별로 구분하면 어떻게 구분되는가? 31)에 따르면 사용형태에 따라 공용구역, 관리구역, 치유 구역, 설비구역으로 구성되며 치유구역은 공용치유공간과 개인치유공간으로 구분된다. 또 공간별 용도에 따라 옥외공간, 물을 사용하지 않는 공간, 물을 사용하는 공간으로 구분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8)

  1. AFNOR(2014), XP X 50-844 : Thalassotherapie-Exigences relatives a la prestation de service. 

  2. Deutscher Heilbaderverband e.V & Deutscher Tourismusverband e.V(2016), Begriffsbestimmungen-Qualitatsstandards fur Heilbader und Kurorte, Luftkurorte, Erholung sorte. 

  3. Global Wellness Institute(2016), Guide to hydrothermal spa & wellness development standards, 2nd edition 

  4. Hong, J. W. et al.(2019), Introduction of Marine Recreation and Welfare Service through Promoting Coastal Wellness Industry, KMI. 

  5. ISO 17680(2015), Tourism and related services- Thalassotherapy- Service requirements. 

  6. Jann Saathoff(2012), Norderney. Band 2: Gesundheit ausdem Meer. Die Wandlung des Fischerdorfes zum rdseeheilbad. 

  7. KMI(2017), A study on Uljin-gun Marine Healthcare Complex Development Project. 

  8. KIOST(2013-2014), A study on Hazard Assessment and Functionality of Marine Resource. 

  9. Korea Environment Corporation(2019), The Air Quality Standards by Country, https://www.airkorea.or.kr 

  10. Lee, S. J. et al.(2018), The base study to discover and to commercialize for the resources of sea healing to activate marine industry, KIMST. 

  11.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2017), Enforcement Rule of Installation and Utilization of Sports Facilities Act, Ordinance of the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No. 309, https://www.law.go.kr. 

  12. Ministry of Environment(2018), Enforcement Decree of the Framework Act on Environmental Policy, Presidential Decree No. 28720, https://www.law.go.kr. 

  13.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2016), Act on Guarantee of Promotion of Convenience of Persons with Disabilities, The Aged, Pregnant Women, etc, Act No. 14005, https://www.law.go.kr. 

  14.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2018), Enforcement Rule of Act on Guarantee of Promotion of Convenience of Persons with Disabilities, The Aged, Pregnant Women, etc, rdinance of the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No. 557, https://www.law.go.kr. 

  15.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2017),Building Act, Act No. 14792, https://www.law.go.kr. 

  16. WelcamI&D(2016), Wando-gun Marine Healthcare Complex Master Plan. 

  17. Yoon, D. G. et al.(2008), Architectural Design & Planning, Munwoondang. 

  18. Yoon, I. J. et al.(2017), A Study on Introducing Way of Marine Wellness Facilities in Korea, KMI.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