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여름철 천수만 해수에서 담수 대량 방류에 따른 영양염, 유기물 및 미량금속의 변화
Effect of Freshwater Discharge on the Seawater Quality (Nutrients, Organic Materials and Trace Metals) in Cheonsu Bay 원문보기

바다 : 한국해양학회지 = The sea :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oceanography, v.24 no.4, 2019년, pp.519 - 534  

이지윤 ((주)환경과학기술) ,  최만식 (충남대학교 해양환경과학과) ,  송윤호 ((주)한국엠에이)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여름철 인공호수(간월호, 부남호)로 부터의 담수방류시 천수만 수질(영양염, 유기물, 미량금속)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기 위해 2011년 6, 7, 8, 10월에 평상시와 담수방류 시기 각 2회씩의 해수를 채취하였다. 담수가 방류되면 용존 무기 질소(DIN)의 농도가 만내의 모든 수층에서 약 3-4배 증가하였고, 평상시 암모니아성 질소(NH4+-N)가 우세하다가 담수방류시 질산성 질소(NO3--N)가 우세하였다. 용존 무기인(DIP)의 경우 내만 표층에서 절반으로 감소하였고 저층에서는 1.5배 증가하였으며 규산염(Si(OH)4)은 내만 저층에서 2배 증가하는 모습을 보였다. Redfield ratio는 담수 방류시 인 제한 환경으로 바뀌었다. 용존 유기 탄소(DOC) 및 질소(DON)는 약 2배 증가하였고, 입자상 유기 탄소(POC), 질소(PON), 인(POP) 및 생물기원 규소(Bio-SiO2)는 내만 표층에서 약 2배 이상 증가했다. 용존 금속(Fe, Co, Ni, Cu)은 내만의 표층에서 증가하였으나, 용존 Cd의 경우 만의 표층에서 절반으로 감소하였다. 이와 같은 결과로 미루어 볼 때 영양염, 유기물 및 금속 농도가 높은 인공호수의 물이 만으로 유입되면, 천수만 내의 영양염 및 용존 유기물, 금속농도가 증가하고, 식물플랑크톤 대증식이 발생하여 표층에서 산소 과포화, 저층에서 빈산소를 발생시킨다. 빈산소와 함께 내만의 저층에서는 매우 높은 농도의 영양염(DIN, DIP, Si(OH)4) 농도가 존재하였다. 수질 평가 지수값을 통해 천수만의 부영양화 정도를 평가한 결과, 평상시에는 3등급 이하로 나타나다가 방류시 5등급으로 바뀌게 됨을 알 수 있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When the fresh water from the artificial lakes (Ganwolho and Bunamho) were discharged to Cheonsu Bay in summer to prevent the flood over the reclaimed farmland near the lakes, the impact on water qualities (nutrients, organic matters, trace metals) within the bay was investigated through four survey...

주제어

표/그림 (10)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인공 담수호에 오염물질이 축적되는 이유는? 큰 강의 하구를 막아 건설한 하구언(금강호, 영산호), 만 내의 일부를 막아 만들어진 호수(아산호, 간월호, 부남호 등) 그리고 조간대 외해를 직접 막아 건설된 호수(새만금호, 시화호) 등 다양한 형태의 인공 담수호가 있다. 이러한 인공 담수호는 하천에 비해 저수용량이 크고, 비점오염원으로부터 발생되는 오염부하가 많으며, 강우시 홍수 유출율이 높아져 주변 지역에서 발생된 오염물질이 일시에 담수호로 유입이 되고 더딘 자정작용으로 오염물질이 축적 된다. 또한, 여름철 집중호우 발생 시 호수 주변 및 상류 지역의 범람 방지를 위해 담수를 대량으로 연안역으로 방류하여 연안 환경의 급격한 변화를 초래하고 있다.
천수만은 어디에 위치해 있는가? 천수만은 충청남도 서해 중부 연안에 위치한 반폐쇄성 내만(북위 36° 23′ ~ 36° 37′, 동경 126° 20′ ~ 126° 30′)으로 홍성군 서쪽에 위치하고 있다. 남쪽 원산도에서 북쪽 간월도까지 약 25 km이고, 만 중앙부의 최대 폭은 약 10 km이며 서쪽의 안면도와 북쪽의 간월호 및 부남호의 방조제로 둘러싸여 있다.
천수만의 수심은 어떠한가? 남쪽 원산도에서 북쪽 간월도까지 약 25 km이고, 만 중앙부의 최대 폭은 약 10 km이며 서쪽의 안면도와 북쪽의 간월호 및 부남호의 방조제로 둘러싸여 있다. 만 내 평균 수심은 약 10 m로 입구에서 약 30m의 최대 수심을 보인다. 농지 및 농업용수 확보를 위해 1980년부터 15년 동안 이루어진 간척사업으로 천수만 A지구와 B지구에는 해수를 가로막는 7.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3)

  1. Berger, C.J.M., S.M. Lippiatt, M.G. Lawrence and K.W. Bruland, 2008. Application of a chemical leach technique for estimating labile particulate aluminum, iron, and manganese in the Columbia River plume and coastal waters off Oregon and Washington. Journal of Geophysical Research-Oceans, 113(C00B01): 1-16. 

  2. Boyle, E.A., S.S. Huested and B. Grant, 1982. The Chemical Mass Balance of the Amazon Plume. 2. Copper, Nickel, and Cadmium. Deep Sea Research, Part 1: Oceanographic Research Papers, 29(11): 1355-1364. 

  3. Brzezinski, M.A., 1985. The Si:C:N ratio of marine diatoms: interspecific variablity and the effect of some environmental variables. Journal of Phycology, 21: 347-357. 

  4. Choi, Y.S., J.H. Song, S.P. Yoon, S.O. Chung, K.H. An and K.J. Park, 2014. The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and factors on the cultured manila clam (Ruditapes philippinarum) at Hwangdo and Jeongsanpo of Taean in the west coast of Korea. The Korean Journal of Malacology, 30(2): 117-126. 

  5. Edmond, J.M., A. Spivack, B.C. Grant, H. Ming-Hui, C. Zexiam, C. Sung, and Z. Xiushau, 1985. Chemical dynamics of the Changjiang estuary. Continental Shelf Research, 4: 17-36 

  6. Froelich, P.N., L.W. Kaul, J.T. Byrd, M.O. Andreae and K.K. Roe. 1985. Arsenic, barium, germanium, tin, dimethylsulfide and nutrient biogeochemistry. Estuarine Coastal and shelf Science, 21: 239-264. 

  7. Head, P.C., 1985. Practical Estuarine Chemistry. Cambrige Univ. Press, 337 pp 

  8. Hecky, R.E., and P. Kilham, 1988. Nutrient limitation of phytoplankton biomass in in freshwater and marine environments: A review of recent evidence on the effects of enrichment. Limnology and Oceanography, 33: 796-822. 

  9. Hydes, D.J. and P.S. Liss, 1977. The behaviour of dissolved aluminium in estuarine and coastal waters. Esuarine and Coastal Marine Science, 5: 755-769 

  10. Jung, K.Y., Y.J. Ro, Y.H. Choi and B.J. Kim, 2015. Hypoxia in a transient estuary caused by summer lake-water discharge from artificial dykes into Chunsu Bay, Korea. Marine Pollution Bulletin, 95: 47-62. 

  11. Kaplan, W.A., 1983. Nitrification. In: Nitrogen In Marine Environment, edited by Carpenter, E.J. and D.C. Capone, Academic Press, New york, pp. 139-190. 

  12. Kim, D.S., D.I. Lim, S.K. Jeon and H.S. Jung, 2005. Chemical characteristics and eutrophication in Cheonsu Bay, west coast of Korea. Ocean and Polar Research, 27(1): 45-58. 

  13. Lee, D.K., K.H. Kim and J.S. Lee, 2016. Hypoxia and characteristics of nutrient distribution at the bottom water of Cheonsu Bay due to the discharge of eutrophicated artificial lake water. Jou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rine Environment & Safety. 22(7): 854-862. 

  14. Lee, J.K., C. Park, D.B. Lee and S.W. Lee, 2012. Variations in plankton assemblage in a semi-closed Cheonsu Bay, Korea. The Sea, 17(2): 95-111. 

  15. Lee, S.W., C. Park, D.B. Lee and J.K. Lee, 2014. Effects of frashwater discharge on plankton in Cheonsu Bay, Korea during rainy season. The Sea, 19(1): 41-52. 

  16. Lee, T.W., 1996. Change in species composition of fish in Chonsu Bay. 1. Demersal fish. Journal of Korean Fishery Society, 29(1): 71-83. 

  17. Moon, C.H., C. Park and S.Y. Lee, 1993. Nutrients and particulate organic matter in Asan Bay. Bulletin of Korean Fishery Society., 26(2): 173-181. 

  18. Nixon, S.W. and M.E. Pilson, 1983. Nitrogen in Estuaries and Coastal Marine System. In:Nitrogen In Marine Environment, edited by Carpenter, E.J. and D.C. Capone, Academic Press, New york, pp. 565-638 

  19. Paasche, E. and I. Ostergren, 1980. The annual cycle of plankton diatom growth and silica production in the inner Oslofjord. Limnology and Oceanography, 25: 481-494. 

  20. Park, S.Y., G.S. Park, H.C. Kim, P.J. Kim, J.P. Kim, J.H. Park and S.Y. Kim, 2006. Long-term changes and variational characteristics of water quality in the Cheonsu Bay of the Yellow Sea, Korea. Journal of the Environmental Sciences. 15(5): 447-459. 

  21. Ragueneau, O., N. Savoye, Y. Del Amo, J. Cotten, B. Tardiveau and A. Leynaert, 2005. A new method for the measurement of biogenic silica in suspended matter of coastal waters: using Si : Al ratios to correct for the mineral interference. Continental Shelf Research, 25(5-6): 697-710. 

  22. Redfield, A.C., 1958. The biological control of chemical factors in the environment. American Science, 46: 205-221. 

  23. Rho, T.G., T.S. Lee, S.R. Lee, M.S. Choi, C. Park, J.H. Lee, J.Y. Lee and S.S. Kim, 2012. Reference values and water quality assessment based on the regional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The Sea 17(2): 45-58. 

  24. Shim, J.H and W.H. Lee, 1979. On phytoplankton of the Cheonsu Bay, west coast. Journal of the Oceanological Society of Korea, 14(1): 6-14. 

  25. Shim, J.H. and H.G. Yeo, 1988. Spatial and temporal variations of phytoplankton in Ch?nsu Bay. Journal of the Oceanological Society of Korea, 23(3): 130-145. 

  26. Shim, J.H. and K.H. Yoon, 1990. Seasonal variation and production of zooplankton in Chonsu Bay, Korea. Journal of the Oceanological Society of Korea, 25(4): 229-239. 

  27. Shim, J.H. and Y.K. Shin, 1989. Biomass of primary producer in the Ch?nsu Bay - relationships between phytoplankton carbon, dell number and chlorophyll. Journal of the Oceanological Society of Korea, 24(4): 194-205. 

  28. Shin, Y.K., J.H. Shim, J.S. Jo and Y.C. Park, 1990. Relative significance of nanoplankton in Chonsu Bay: Species composition, abundance, chlorophyll and primary productivity. Journal of the Oceanological Society of Korea. 25(4): 217-228. 

  29. Sohrin, Y., S. Urushihara, S. Nakatsuka, T. Kono, E. Higo, T. Minami, K. Norisuye and S. Umetani, 2008. Multielemental determination of GEOTRACES key trace metals in seawater by ICPMS after preconcentration using an ethylenediaminetriacetic acid chelating resin. Analytical Chemistry, 80(16): 6267-6273. 

  30. Song, Y.H. M.S. Choi and Y.W. Ahn, 2011. Trace metals in Chun-su Bay sediments. The Sea, 16(4): 169-179. 

  31. Sugimura, Y. and Y. Suzuki, 1988. A high-temperature catalytic-oxidation method for the determination of non-volatile dissolved organic carbon in seawater by direct injection of a liquid sample. Marine Chemistry, 24(2): 105-131. 

  32. Windom, H.L., R.G. Smith and C. Rawlinson., 1989. Particulate trace metal composition and flux across the southeastern U.S. continental shelf. Marine Chemistry, 27(3-4): 283-297. 

  33. Zeitzschel B., 1970. The quantity, composition and distribution of suspended particulate matter in the gulf of California. Marine Biology, 7(4): 305-318.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