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함평만 무안 지역 갯벌의 식생 및 비식생 환경에서 이산화탄소 농도와 플럭스의 계절 변동
Seasonal variations of CO2 concentration and flux in vegetation and non-vegetation environments on the Muan tidal flat of Hampyong Bay 원문보기

한국습지학회지 = Journal of wetlands research, v.21 no.4, 2019년, pp.257 - 266  

소윤환 (부경대학교 환경연구소) ,  강동환 (부경대학교 환경연구소) ,  권병혁 (부경대학교 환경대기과학과) ,  김박사 (부경대학교 환경대기과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함평만에 속하는 무안 지역의 갯벌에서 갈대가 서식하는 식생 지역과 갈대가 없는 비식생 지역을 6개 지점씩 선정하여 저조시에 계절별로 이산화탄소 농도와 플럭스지온의 변화를 관측하였다. 관측은 2012년 5월 30일(봄)과 8월 8일(여름), 2013년 1월 31일(겨울)에 각각 수행되었다. 관측 결과, 식생 지역의 이산화탄소 평균농도는 전체적으로 겨울에 가장 높았고 봄, 여름 순으로 나타났으며, 비식생 지역도 식생 지역과 같은 농도변화를 보였다. 식생 지역의 이산화탄소 플럭스는 봄과 여름에 모두 양(+)의 값으로 방출(emission)의 형태를 보이나, 겨울에는 반대로 흡수(uptake)하는 음(-)의 값으로 나타났다. 이산화탄소 플럭스의 평균값은 봄이 가장 높았으나 여름과 거의 유사하였고, 겨울은 낮은 음의 값으로 나타났다. 비식생 지역은 봄에 양의 값으로 방출의 형태를 보였고, 여름과 겨울에는 흡수하는 음의 값으로 나타났다. 평균값은 봄이 가장 높았고, 여름과 겨울의 차는 작게 나타났다. 연구지역 이산화탄소 플럭스의 계절적인 변화특성은 봄의 경우 식생과 비식생 지역 모두 호흡에 의한 방출이 우세하였으며, 여름은 식생 지역에서 방출이 우세하였고 비식생 지역은 식물플랑크톤의 광합성에 의한 흡수가 확인되었으나 매우 미미하였다. 겨울은 식생 지역에서 이산화탄소 플럭스의 변화가 거의 나타나지 않았으며, 비식생 지역은 흡수가 일부 확인되었으나 매우 미미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we selected 6 vegetation sites (reed community) and 6 non-vegetation sites (tidal flat) in the Muan tidal flat of Hampyeong Bay, and observed seasonal changes in carbon dioxide concentration, flux and soil temperature at low tide conditions. The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cha...

주제어

표/그림 (13)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다양한 종류의 식물상이 분포하는 무안 갯벌 중에서 현경면 815번 지방도 인근에 위치한 갈대가 서식하는 지역과 갈대가 서식하지 않는 인접 지역에서 2012년 5월 30일(이후 ‘봄’으로 표기), 8월 8일(이후 ‘여름’으로 표기), 2013년 1월 31일(이후 ‘겨울’로 표기)의 저조시에 각각 관측된 이산화탄소 농도와 플럭스 및 지온 자료를 바탕으로 식생 지역과 비식생 지역의 계절적인 변화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연구를 수행하였다.
  • 본 연구는 함평만 무안 갯벌의 갈대가 서식하는 식생 지역과 인접한 비식생 지역에서 각각 6개 지점을 선정하여 계절별로 저조(low-tide) 조건에서 폐쇄형 역학 챔버를 이용하여 이산화탄소 농도와 플럭스 및 지온의 변화를 관측하였다. 봄과 여름, 겨울에 각각 관측된 이산화탄소 농도와 플럭스 및 지온의 변화를 통해 계절에 따른 식생 지역과 비식생 지역의 이산화탄소 농도와 플럭스의 변화 특성을 비교 파악하여 이러한 변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규명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우리나라의 서해안과 남해안에 주로 분포하는 갯벌의 특징은? 우리나라의 서해안과 남해안에 주로 분포하는 갯벌은 연안습지의 범주에 속하는 지역으로서, 육상환경과 해양환경이 서로 영향을 주며 교차하는 전이지대이다. 갯벌과 같은 연안습지는 만조 시 해수의 영향을 직접 받으므로 전 지구적 기후변화로 야기되는 해수면 변동에 매우 민감하게 반응한다.
본 연구에서는 2012년 봄(5월 30일), 여름(8월 8일), 2013년 겨울(1월 31일) 저조시 무안 지역에서 갈대가 서식하는 갯벌과 인접하는 갈대가 서식하지 않는 갯벌에서 지온과 이산화탄소 농도 및 플럭스를 폐쇄형 역학 챔버를 이용해 관측하여 어떤 결론을 얻었는가? 1) 봄은 식생 지역과 비식생 지역에서 호흡에 의한 이산화탄소의 방출이 우세하였고, 여름은 식생 지역에서만 이산화탄소의 방출이 우세하였다. 여름의 비식생 지역과 겨울의 식생 지역과 비식생 지역은 모두 호흡에 의한 이산화탄소의 방출과 광합성에 의한 이산화탄소의 흡수가 전체적으로 매우 미약하게 나타났다. 2) 식생 지역과 비식생 지역에서 봄과 여름(특히 봄)이 겨울에 비해 이산화탄소 플럭스가 높게 나타나는 것은 지온이 높은 봄과 여름에 활발한 갈대의 호흡활동 및 갯벌에서 서식하는 생물의 호흡활동에 의해 지표 부근 이산화탄소 농도가 상승하면서 플럭스가 방출 조건(+)으로 나타났기 때문이다. 3) 식생 지역이 비식생 지역에 비해 상대적으로 뚜렷한 양의 상관관계 또는 음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으며, 식생 지역이 비식생 지역에 비해 광합성과 호흡활동에 의한 이산화탄소 농도와 플럭스의 증감 및 지온 간의 관계가 상대적으로 더 잘 반영되었음을 나타낸다.
갯벌의 퇴적환경변화를 해석하는데 있어 필수적인 요소는 무엇인가? 기후변화에 따른 해수면의 상승과 하강은 연안습지에 퇴적되는 퇴적물의 이화학적 성질을 변화시킬 뿐만 아니라 습지에 서식하는 동·식물상의 변화에도 영향을 미친다. 갯벌로 공급되는 퇴적물의 입도(grain size), 토양 유기탄소(soil organic carbon), 수소이온농도(pH), 산화환원전위(Eh), 염도(salinity) 등 이화학적 특성은 갯벌의 퇴적환경변화를 해석하는데 있어 필수적인 요소이다. 해수면의 상승 또는 하강에 의한 갯벌의 퇴적환경변화는 갯벌에 서식하는 동·식물상의 변화를 초래하여 갯벌에 저장될 수 있는 탄소의 양을 조절할 수 있으므로 연안습지 연구에 있어 매우 중요하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8)

  1. Chen, QF, Ma, JJ, Zhao, CS. and Li, RB, (2015), The spatial and temporal variation characteristics of CH4 and CO2 emission flux under different land use types in the Yellow River delta wetland, J. of Geoscience and Environment Protection, 3, pp. 26-32. [DOI:http://dx.doi.org/10.4236/gep.2015.36005] 

  2. Field, CB, Ball, JT, Berry, JA, (1989), Photosynthesis, Principles And Field Techniques. In Plant Physiological Ecology, Field Methods And Instrumentation (Pearcy, R. W., Ehleringer, J., Mooney, H. A., Rundel, P. W.,), Chapmand and Hall, New York, US, pp. 209-253. 

  3. Hirota, M, Senga, Y, Seike, Y, Nohara, S, Kunii, H, (2007), Fluxes of carbon dioxide, methane and nitrous oxide in two contrastive fringing zones of coastal lagoon, Lake Nakaumi, Japan, Chemosphere, 68, pp. 597-603. [doi:10.1016/j.chemosphere.2007.01.002] 

  4. Inglett, KS, Inglett, PW, Reddy, KR, Osborne, TZ, (2012), Temperature sensitivity of greenhouse gas production in wetland soils of different vegetation, Biogeochemistry, 108, pp. 77-90. [DOI:10.1007/s10533-011-9573-3] 

  5. Kim, DS, (2007), Greenhouse gas ( $CH_4$ , $CO_2$ , $N_2O$ ) emissions from estuarine tidal and wetland and their characteristics, J. of Korean Society for Atmospheric Environment(KOSAE), 23(2), pp. 225-241. [DOI:10.5572/KOSAE.2007.23.2.225] [Korean Literature] 

  6. Kim, DS, Na, US, (2013), Characteristics of greenhouse gas emissions from freshwater wetland and tidal flat in Korea, J. of Korean Society for Atmospheric Environment(KOSAE), 29(2), pp. 171-185. [DOI: http://dx.doi.org/10.5572/KOSAE.2013.29.2.171] [Korean Literature] 

  7. Kang, DH, Kwon, BH, Kim, PG, (2010), $CO_2$ respiration characteristics with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soils at the coastal ecosystem in Suncheon Bay, J. Env. Sci. Int., 19(2), pp. 217-227. [DOI:10.1016/S1001-0742(07)60035-7] [Korean Literature] 

  8. Kang, DH, Kwon, BH, Yu, HS, Kim, PS, Kim, GH, (2011), Seasonal and spatial variations of CO2 fluxes between surface and atmosphere in foreshore, paddy field and woods sites, J. Env. Sci. Int., 20(8), pp. 963-975. [DOI:http://dx.doi.org/10.5322/JES.2011.20.8.963] [Korean Literature] 

  9. Kang, DH, Kwon, BH, Kim, PS, (2014), Variation Analysis of CO2 concentrations at sunset before and after of summer season at the foreshore, J. Env. Sci. Int., 23(3), pp. 399-407. [DOI:http://dx.doi.org/10.5322/JESI.2014.23.3.399] [Korean Literature] 

  10. Kelsey, KC, Leffler, AJ, Beard, KH, Schmutz, JA, Choi, RT, and Welker, JM, (2016), Interactions among vegetation, climate, and herbivory control greenhouse gas fluxes in a subarctic coastal wetland, J. Geophys. Res. Biogeosci., 121, pp. 2960-2975, [doi:10.1002/2016JG003546] 

  11. Lee, EH, Lim, JH, Lee, JS, (2010), A review on soil respiration measurement and its application in Korea, Korean J. of Agricultural and Forest Meteorology, 12(4), pp. 264-276. [DOI:10.5532/KJAFM.2010.12.4.264] [Korean Literature] 

  12. Lee, JH, Jeong, KS, Woo, HJ, Kang, J, Lee, DH, Jang, S, Kim, SR, (2014), Evaluation of basin-specific CH4 emission flux from intertidal flat sediments of Sogeun-ri, Taean, mid-west Korea, J. of Wetlands Research, 16(2), pp. 281-291. [DOI:10.17663/JWR.2014.16.2.281] [Korean Literature] 

  13. Lee, SH, Kim, J, Cho, HK, Goo, TY, Ou, ML, Lee, JH, Yokota, T, (2015), Comparison of atmospheric carbon dioxide concentration trend and accuracy from GOSAT and AIRS data over the Korean peninsula, Korean J. of Remote Sensing, 31(6), pp. 549-560. [DOI:http://dx.doi.org/10.7780/kjrs.2015.31.6.5] [Korean Literature] 

  14. Li, X., Jia, Q, Liu, J, (2016), Seasonal variations in heat and carbon dioxide fluxes observed over a reed wetland in northeast China, Atmospheric Environment, 127, pp. 6-13. [DOI:http://dx.doi.org/10.1016/j.atmosenv.2015.11.058] 

  15. Luo, Y, Zhou, X, (2006), Soil Respiration And The Environment, ELSEVIER, 305pp.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National Wetland Center, http://www.wetland.go.kr 

  16. Suh, SU, Min, YK, Lee, JS, (2005), Seasonal variation of contribution of leaf-litter decomposition rate in soil respiration in temperate deciduous forest, Korean J. of Agricultural and Forest Meteorology, 7(1), pp. 57-66. [DOI:http://www.koreascience.or.kr/article/JAKO200516610519542.page] [Korean Literature] 

  17. Yoon, JI, (1999), Agrometeorology, ARCHE PUBLISHING HOUSE, 338pp. [Korean Literature] 

  18. Xu, X, Zou, X, Cao, L, Zhamangulova, N, Zhao, Y, Tang, D, Liu, D, (2014), Seasonal and spatial dynamics of greenhouse gas emissions under various vegetation covers in a coastal saline wetland in southeast China, Ecological Engineering, 73, pp. 469-477. [DOI: http://dx.doi.org/10.1016/j.ecoleng.2014.09.087]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