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의사결정나무를 이용한 낙동강 본류 구간의 남조류 발생특성 연구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cyanobacteria in the mainstream of Nakdong river using decision trees 원문보기

한국습지학회지 = Journal of wetlands research, v.21 no.4, 2019년, pp.312 - 320  

정우석 (인제대학교 환경공학과) ,  조부건 (인제대학교 환경공학과) ,  김영도 (인제대학교 환경공학과) ,  김성은 (하와이주립대 도시환경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남조류의 대발생은 대량 번성 및 사멸에 따라 수체 내 산소 고갈 및 유기물 증가와 같은 문제를 야기하고 있다. 매년 여름철 폭염 및 가뭄의 영향으로 조류대경보가 발령되고 있으며, 낙동강 본류 구간의 선제적 녹조관리를 위해 남조류 발생특성을 정량적으로 규명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시각화 분석 및 상관관계 분석을 이용한 남조류 발생 주요 영향인자 분석과 더불어 머신러닝 기법인 의사결정나무를 이용하여 영향인자에 따른 남조류 발생조건을 정량적으로 분석하였다. 8개 보 모든 지점에서 기상학적 요인인 기온과 SPI 가뭄지수는 남조류 세포수와 유의한 상관관계 특성을 보였다. 이는 폭염일수 증가 및 가뭄에 따른 수체 내 물의 혼합 차단 및 성층현상이 지속되어 남조류 발생을 촉진시키는 것으로 보여지며, 장기적으로 기상학적 영향을 고려한 남조류 발생의 선제적 관리도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occurrence of cyanobacteria causes problems such as oxygen depletion and increase of organic matter in the water body due to mass prosperity and death. Each year, Algae bloom warning System is issued due to the effects of summer heat and drought. It is necessary to quantitatively characterize th...

주제어

표/그림 (8)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낙동강 본류의 남조류 연구동향을 살펴보았을 때, 남조류 발생의 천이현상 및 분류학적인 연구, 군집구조 분석과 더불어 남조류 발생의 수질인자와의 상관관계 및 발생특성을 유추하여 분석한 연구가 주로 이루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남조류발생의 주요 영향인자 도출뿐만 아니라 구간별 하천환경특성에 따른 명확한 남조류 발생조건을 현재 정책적으로 시행하고 있는 조류경보제를 기반으로 분석하여 선제적 녹조관리를 위한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단순한 사용 편의와 다양한 시각화 기능을 제공하고 있는 Tableau라는 시각화 툴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낙동강 8개 보 지점별 남조류 발생의 영향인자에 대한 특성을 분석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명확한 남조류 발생조건을 살펴보기 위해 남조류 관리가 시급한 하류지점인 DS, HC, CH을 중심으로 의사결정나무를 구축하고 조류경보제 등급별 발생조건을 분석하였다. 변수들은 앞서 상관관계 분석을 통해 유의한 변수들을 선별하여 분석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남조류의 대발생은 어떤 문제를 발생시키는가? 남조류의 대발생은 대량 번성 및 사멸에 따라 수체 내 산소 고갈 및 유기물 증가와 같은 문제를 야기하고 있다. 또한 남조류가 분비하는 독성물질 또한 수생태계와 인체에 유해하다. 그리고 인체에는 무해하다고 밝혀졌지만 수돗물 등에서 흙냄새와 같은 좋지 않은 냄새를 유발하는 냄새물인 지오스민, 2-MIB을 분비하여 정수공급체계의 악영향을 미친다. 본 연구 대상 지점인 낙동강은 다기능 보 건설로 인해 하천 수심이 증가하고 유속이 느려지면서 정체성 수역 특성을 나타내고 있다.
낙동강은 다기능 보 건설로 어떤 특성을 나타내고 있는가? 그리고 인체에는 무해하다고 밝혀졌지만 수돗물 등에서 흙냄새와 같은 좋지 않은 냄새를 유발하는 냄새물인 지오스민, 2-MIB을 분비하여 정수공급체계의 악영향을 미친다. 본 연구 대상 지점인 낙동강은 다기능 보 건설로 인해 하천 수심이 증가하고 유속이 느려지면서 정체성 수역 특성을 나타내고 있다. 이는 호소성 수역 특성을 나타내고 있음과 동시에 녹조발생과 같은 수질환경적 변화가 이루어지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Jung, 2019).
본 연구는 시각화 분석 및 상관관계 분석을 이용한 남조류 발생 주요 영향인자 분석과 머신러닝 기법인 의사결정나무를 구축하여 영향인자에 따른 남조류 발생조건을 정량적으로 분석하였는데 연구 결과는? (1) 지점별 남조류 발생현황은 8개 보 지점 모두 3분기(7~9월)에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하류 4개 보 지점 모두 조류경보제 기준으로 경계단계를 나타냈으며, 계절상 하절기에 남조류 발생에 있어서 가장 취약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낙동강 하류로 갈수록 평균적으로 남조류 발생이 높은 수치를 나타내었으며, 이는 유속저하 및 수심증가에 따른 정체성 수역 특성을 나타냄에 따라 남조류 발생의 유리한 조건을 따르는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하절기에 집중되어 대발생하는 경향은 일사량 증가 및 광합성을 통한 남조류 성장 촉진과 수온 상승으로 인한 남조류 성장에 유리한 조건이 지속되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2) 보 지점별 남조류 세포수와 변수 들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하류 DS, HC, CH 지점은 COD(0.337, 0.509, 506)가 양의 상관성(p<0.01)을 보였다. 또한 pH(0.329, 0.413, 0.402)도 양의 상관성(p<0.01)을 나타났다. 이는 남조류가 광합성을 하면서 이산화탄소 소모하고 pH를 증가시켜 남조류 성장에 따른 현상으로 판단된다. 8개 보 모든 지점에서 기상학적 요인인 기온과 SPI 가뭄지수는 남조류 세포수와 유의한 상관관계 특성을 보였으며, 기상학적 영향을 고려한 남조류 발생의 선제적 관리가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다. (3) 명확한 남조류 발생조건을 살펴보기 위해 남조류 관리가시급한 하류지점인 DS, HC, CH을 중심으로 의사결정나무를 구축하였다. DS지점은 기온이 19℃ 미만 일 때, 77%의 확률로 Normal 등급이 이 될 수 있으며, 19℃이상, SPI 0.48 미만, pH도 7.4 이상, COD 6.8 mg/L 이상일 때 Warning 등급이 될 확률이 62%가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HC지점에서 기온이 20℃ 미만, DO가 8.7 mg/L 이상일 때 74%의 확률로 Normal 등급이 이 될 수 있으며, 기온 20℃이상, pH 7.8 이상일 때 Warning 등급이 될 확률이 67%가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CH지점에서 기온이 20℃ 미만 일 때, 60%의 확률로 Normal 등급이 될 수 있으며, 기온이 20℃이상, pH도 7.7 이상일 때는 Warning 등급이 될 확률이 77%가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4) 본 연구에서는 보 지점별 남조류 발생조건을 입력변수의 수치적 기준과 경보등급에 따른 확률을 제시함으로써 지점에 따른 맞춤형 남조류 관리를 위한 의사결정에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조류경보제 발령을 기준으로 선제적 관리를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2)

  1. Berry, M.J.A, Linoff, GS (1997). Data Mining Techniques, New York, John Wiley & Sons Publisher 

  2. Canale, R.P, Vogel, A.H (1974). Effects of temperature on Phytoplankton growth. J. of Environmental Engineering Division, 100(1), pp. 231-241. 

  3. Choi, HG, Han, GY, Park, JH (2017). Reproducibility evaluation of stratification using EFDC model in Nakdong river. J. of Kore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37(3), pp. 561-573. [Korean Literature] [DOI:10.12652/Ksce.2017.37.3.0561] 

  4. Choi, JH, Han, ST, Kang, HC, Kim, ES (1998). Data Mining Decision Tree Analysis with AnswerTree, Seoul, SPSS Academy Publisher 

  5. Hayes, M, Svoboda, M, Wall, N, Widhalm, M (2011). The Lincoln declaration on drought indices: universal meteorological drought index recommended. Bulletin of the American Meteorological Society, 92(4), pp. 485-488. [DOI:10.1175/2010bams3103.1] 

  6. Jung, WS, Kim, YD (2019). Effect of abrupt topographical characteristic change on water quality in a river. KSCE J. of Civil Engineering, 23(7), pp. 3250-3263. [DOI:10.1007/s12205-019-2131-6] 

  7. Lee, SM, Kim, IG (2017). Analysis of correlation between Cyanobacterial population and water quality factors in the middle and down stream region of Nakdong river. J. of Korean Society of Water and Wastewater, 31(1), pp. 93-101. [Korean Literature] [DOI:10.11001/jksww.2017.31.1.093] 

  8. Mosley, LM (2015). Drought impacts on the water quality of freshwater systems : review and integration. Earth Science, 140, pp. 203-214. [DOI:10.1016/j.earscirev.2014.11.010] 

  9. Park, DY, Park, HS, Kim, SJ, Chung, SW (2019). Analysis of water quality variation by lowering of water level in Gangjeong-Goryong weir in Nakdong river. J. of Environ. Impact Assess, 28(3), pp. 245-262. [Korean Literature] [DOI:10.14249/eia.2019.28.3.245] 

  10. Ryu, HS, Shin, RY, Seo, KA, Lee, JH, Kim, KH (2018). Succession of Cyanobacterial species and taxonomical characteristics of Dolichospermum spp. (Nostocales, Cyanophyceae) in the weir regions of the Nakdong river. J. of Korean Society on Water Environment, 34(5), pp. 503-513. [Korean Literature] [DOI:10.15681/KSWE.2018.34.5.503] 

  11. Son, HJ (2013). The analysis of Phytoplankton community structure in the middle-lower part of the Nakdong river. J. Kor. Soc. Environ. Eng., 35(6), pp. 430-435. [Korean Literature] [DOI:10.4491/ksee.2013.35.6.430] 

  12. Yang, SC, Xia, TT, Kang, TH (2017). Causes and Overcoming of the Algae Excess in a Dam Water. J. Korean Env. Res. Tech., 20(4), pp. 1-13. [Korean Literature] [DOI:10.13087/kosert.2017.20.4.1]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