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랜덤포레스트를 이용한 낙동강 본류의 남조류 발생 영향인자 분석
Analysis of influential factors of cyanobacteria in the mainstream of Nakdong river using random forest 원문보기

한국습지학회지 = Journal of wetlands research, v.23 no.1, 2021년, pp.27 - 34  

정우석 (인제대학교 환경공학과(낙동강유역환경연구센터)) ,  김성은 (서울연구원 안전환경연구실) ,  김영도 (명지대학교 토목환경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랜덤포레스트를 이용하여 8개 보 지점별 남조류 발생 주요 영향인자를 도출하고, 조류경보제 기반의 범주형 예측모델을 개발하였다. 8개 보 지점의 랜덤포레스트의 변수 중요도를 살펴본 결과, 상류의 보 지점들은 남조류 발생에 있어 보 운영에 따른 영향을 직접적으로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효율적인 보 운영을 통한 남조류 관리가 가능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중류 구간은 DO와 E.C가 주요 영향인자로 도출되었다. 공간적으로 구미와 김천에 대규모 산업공단들이 밀집되어 있으며, 환경기초시설의 배출량이 큰 영향을 끼치는 구간이다. 따라서 폭염 및 가뭄 시기에 중류 유역에서 배출되는 환경기초시설의 방류는 본류의 E.C를 증가하게 하고 남조류 발생을 촉진 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하류에 위치한 보 지점들은 폭염 및 가뭄의 영향을 가장 많이 받는 지역으로 여름철 가뭄에 따른 남조류 대발생에 대비하여 선제적인 관리가 필요한 지점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지점별 남조류 발생 영향인자를 도출하였으며, 맞춤형 조류관리를 위한 정책적 의사결정의 기초자료로 제공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the main influencing factors of the occurrence of cyanobacteria at each of the eight Multifunctional weirs were derived using a random forest, and a categorical prediction model based on a Algal bloom warning system was developed.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importance of variables i...

주제어

표/그림 (9)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특히 낙동강수계에 위치한 8개 보 지점을 대상으로 머신러닝을 이용한 조류경보제 기반의 영향인자들을 분석한 사례는 전무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낙동강 수계의 8개 보 지점들을 대상으로 보 방류량과 수질, 기상학적 영향까지 포괄한 남조류 발생의 주요 영향인자를 각 지점별로 도출하고자 한다.
  • 특히 낙동강수계에 위치한 8 개 보 모든 지점을 대상으로 조류경보제 기반의 남조류 발생 영향인자를 분석한 사례는 전무한 실정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보 운영과 수질, 기상학적 영향까지 포괄하여 조류경보제 기반의 랜덤포레스트 모델을 개발하여 보 지점별 남조류 발생의 주요 영향인자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 본 연구에서는 랜덤포레스트를 이용하여 8개 보 지점별 남조류 발생 주요 영향인자를 도출하고, 조류경보제 기반의 범주형예측모델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랜덤포레스트는 여러 개의 의사결정트리를 만들고, 투표를 시켜 다수결로 결과를 결정하는 방법이다.
  • 본 연구에서는 랜덤포레스트를 이용하여 낙동강 본류에 위치하고 있는 8개 보 지점들의 남조류발생의 주요 영향인 자를 도출하였다. 상류에 위치한 SJ지점과 ND지점은 Out Flow(보 방류량)이 주요 영향인자로 도출되었다.
  • 보 지점의 상류 500 m 지점에서 남조류 세포수를 측정하고 있다. 연구에서는 물환경정보시스템(http://water.nier.go.kr)에서 제공하는 보 지점별 수질 측정망 자료를 이용하여 남조류 발생 영향인자들을 분석하였다. 기상자료는 기상청의 기상자료개방 포털(https://data.
  • 현재 낙동강 8개 보 가운데 조류경보제를 시행하고 있는 지점은 CG, GG, CH으로 총 3지점이다. 본 연구에서는 조류경보제 지점과 더불어 낙동강본류 8개 모든 보 지점을 대상으로 랜덤포레스트를 이용한 남조류 발생 영향인자들을 분석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1)

  1. Canale, R.P, Vogel, A.H (1974). Effects of temperature on Phytoplankton growth. J. of Environmental Engineering Division, 100(1), pp. 231-241. 

  2. Choi, HG, Han, GY, Park, JH (2017). Reproducibility evaluation of stratification using EFDC model in Nakdong river. J. of Kore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37(3), pp. 561-573. [Korean Literature] [DOI:10.12652/Ksce.2017.37.3.0561] 

  3. Hayes, M, Svoboda, M, Wall, N, Widhalm, M (2011). The Lincoln declaration on drought indices: universal meteorological drought index recommended. Bulletin of the American Meteorological Society, 92(4), pp. 485-488. [DOI:10.1175/2010bams3103.1] 

  4. Jung, WS, Kim, YD (2019). Effect of abrupt topographical characteristic change on water quality in a river. KSCE J. of Civil Engineering, 23(7), pp. 3250-3263. [DOI:10.1007/s12205-019-2131-6] 

  5. Jung, WS, Jo, BG, Kim, YD, Kim SE (2019).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cyanobacteria in the mainstream of Nakdong river using decision trees. Journal of Wetlands Research, 21(4), pp. 312-320. [Korean Literature] [DOI:10.17663/JWR.2019.21.4.312] 

  6. Lee, HM, Shin, RY, Lee, JH, Park, JG (2019).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yanobacteria and Environmental Factors in Yeongcheon Lake. Journal of Korean Society on Water Environment, 35(4), pp. 352-361. [Korean Literature] [DOI:10.15681/KSWE.2019.35.4.352] 

  7. Kim, YH, Lee, EH, Kim, KH, Kim SH (2016). Analysis of Exclusive Causality between Environmental Factors and Cell Number of Cyanobacteria in Guem River. Journal of Environmental Science International, 25(7), pp. 937-950. [Korean Literature] [DOI:10.5322/JESI.2016.25.7.937] 

  8. Mosley, LM (2015). Drought impacts on the water quality of freshwater systems : review and integration. Earth Science, 140, pp. 203-214. [DOI:10.1016/j.earscirev.2014.11.010] 

  9. Park, DY, Park, HS, Kim, SJ, Chung, SW (2019). Analysis of water quality variation by lowering of water level in Gangjeong-Goryong weir in Nakdong river. J. of Environ. Impact Assess, 28(3), pp. 245-262. [Korean Literature] [DOI:10.14249/eia.2019.28.3.245] 

  10. Seo, DI, Kim JY, Kim, JS (2020). Analysis of influence on water quality and harmful algal blooms due to weir gate control in the Nakdong River, Geum River, and Yeongsan River. J. Korea Water Resour. Assoc, 53(10), pp. 877-887. [Korean Literature] [DOI:10.3741/JKWRA.2020.53.10.877] 

  11. Shin JK, Kang BG, Hwang, SJ (2016). Water-Blooms (Green-Tide) Dynamics of Algae Alert System and Rainfall-Hydrological Effects in Daecheong Reservoir, Korea. Korean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49(3), pp. 153-175. [Korean Literature] [DOI:10.11614/KSL.2016.49.3.153]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