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그린케어(Green Care) 도입을 위한 시설과 프로그램 유형분류 및 중요도 분석
Classification and Prioritizing the Importance of the Facility and Program for Green Care Introduction 원문보기

농촌계획 : 韓國農村計劃學會誌, v.25 no.4, 2019년, pp.77 - 86  

최영완 (경상대학교 농업생명과학연구원) ,  김영주 (경상대학교 지역환경기반공학과(농업생명과학연구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rvey and analyze the operating state and characteristics of domestic and foreign green care, prioritize the facilities and programs for green care introduction through expert survey of importance, and thereby to provide a basic material for introducing green care i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이 연구의 목적은 국내 농촌체험시설 등 지역개발사업지구에 그린케어를 도입하기 위하여 국내외 그린케어 운영현황 및 특성을 조사⋅분석하고, 전문가 설문조사(Delphi)를 통해 그린케어의 필요시설(H/W)과 프로그램(S/W)의 유형을 분류하고자 한다.
  • 국내의 그린케어 관련 연구를 살펴보면, Gim et al (2013)은 치유농업 선진국의 정책과 제도, 조직, 관련법, 인력 등에 대한 문헌분석을 통해 치유농업의 개념을 정의하였다. 또한, 우리나라 치유농업의 현황 및 특성 분석을 통해 치유농업의 정착과 발전을 위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RDA(2013a)는 지역 특성을 고려한 산촌형 및 도시형에 맞는 마을 단위의 시스템과 수익분배 구조를 통하여 녹색치유 활성화를 꾀하는 녹색치유농장 모델과 실천 전략을 제시하였다.
  • 이 연구에서는 국내 농촌체험시설 등 지역개발사업지구에 그린케어를 도입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고자 연구의 범위를 기존 시설을 활용하거나 최소한의 시설을 추가하는 것으로 한정하였다.
  • 이 연구의 목적은 국내외 그린케어 운영현황과 특성 등을 조사⋅분석하고, 전문가 중요도 조사를 통해 그린케어 도입에 필요한 시설과 프로그램의 우선순위를 산정하여 국내 농촌체험시설 등 지역개발사업지구에 그린케어를 도입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데 있다.
  • 따라서 이 연구의 목적은 국내 농촌체험시설 등 지역개발사업지구에 그린케어를 도입하기 위하여 국내외 그린케어 운영현황 및 특성을 조사⋅분석하고, 전문가 설문조사(Delphi)를 통해 그린케어의 필요시설(H/W)과 프로그램(S/W)의 유형을 분류하고자 한다. 이 유형분류를 토대로 하여 전문가 AHP 조사를 통해 그린케어 도입에 필요한 시설과 프로그램의 중요도를 산정해 앞으로 국내 그린케어 도입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그린케어는 무엇인가? 그린케어는 농장을 기반으로 인간의 정신적 신체적건강을 증진시키고자 하는 활동(유럽)으로 농장의 여러구성요소 중 동물, 식물, 정원, 산림 그리고 자연환경(Landscape)을 오락이나 작업 활동의 도구로 활용하는 활동이다(Haugan et al., 2005).
그린케어 도입에 필요한 시설과 프로그램의 유형은 어떻게 대분류되는 가? 그린케어 도입에 필요한 시설과 프로그램의 유형은 필요시설(H/W) 4개(숙박시설, 휴게시설, 체험시설, 치유 시설)와 S/W프로그램은 3개(학습체험형, 치유형, 돌봄형) 로 대분류하였다. H/W시설은 숙박시설 2개 항목(도농교 류센터, 한옥/농가민박), 휴게시설 4개 항목(쌈지공원/체 육시설, 아라마루쉼터, 건강관리실, 다목적시설), 체험시 설 3개 항목(체험장/공예실/전시관, 생태관찰로/생태연못, 목장/농장/식물원), 치유시설 5개 항목(동물매개치유시설, 원예치유시설, 농업치유시설, 산림치유시설, 명상치유시 설)으로 분류하였다.
지역개발사업지구의 시 설 활성화를 위해서 그린케어를 도입하기 위해 무엇을 검토해야하는 가? 결론적으로 농촌체험시설 등 지역개발사업지구의 시 설 활성화를 위해 그린케어를 도입하기 위해서는 시설보 다 프로그램 선정이 중요하며, 프로그램을 도입할 때 이 연구의 AHP 중요도 조사결과의 항목별 우선순위를 고려 할 필요가 있다. 즉, 기존의 체험시설과 숙박시설, 마을 숲 등의 자원을 활용하여 활동적인 프로그램과 더불어 자연을 느끼며 체험하는 자연생태체험이나 산림욕, 원예 활동 등 심신을 편안하게 할 수 있는 프로그램 도입을 적극적으로 검토해야 할 것이다. 또한, 그린케어 프로그 램을 효율적으로 운영하기 위해 사업지구에 대한 교육 및 컨설팅과 그린케어 전문인력 양성이 필요할 것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5)

  1. Choi, Y.W., 2010, The Classification and Activation Strategy of Rural Development Projects, Master Thesis, Graduate School of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12-15. 

  2. Choi, Y.W., M.W. Jang, S.J. Bae, K.H. Jung and S.W. Hwang, 2019, Prioritizing the Importance of the Factors Related to the Vulnerability of Agricultural Water Resources and Infra-structures to Climate Chang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Rural Planning, 25(1), 75-87. 

  3. Di lacovo, Francesco and Deirdre O'Connor, 2009, Supporting Policies for Social Farming in Europe : Preogressing Multifunctioality in Responsive Rural Areas, Agenzia Regionale per lo Sviluppo e l'Innovazione nel settore Agricolo-forestale(Arsia), Firenze. 

  4. Gim, G.M., 2015, Understanding and Trends in 'Therapy Functions of Agricultural'(국문: '농업의 치유 기능'에 대한 이해와 최근 동향),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Seminar Presentation. 

  5. Gim, G.M., J.Y. Moon, S.J. Jeong and S.M. Lee, 2013, Analysis on the Present Status and Characteristics of Agro-healing in Korea, Journal of Agricultural Extension & Community Development, 20(4), 909-936. 

  6. Hassink, J. and M. van Dijk, 2006, Farming for Health. Green-care Farming Across Europe and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Ordrecht : Springer(Wageningen UR Frontis series vol. 13). 

  7. Haubenhofer, Elingsir, Hassink and Hine, 2010, The Development of Green Care in Western European Countries, Explore 6(2), 107. 

  8. Haugan, L., R. Nyland, E. Fjeldavli, T. Meistad and B.O. Braastad, 2005, Green care in Norway: farms as a resource for the educational, health and social sector, Frontis, Volume 13 Farming for Health: Green-Care Farming across Europe and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Chapter 9, 109-126. 

  9. Hine, R., J. Peacock and J. Pretty, 2008, Care Farming in the UK: Evidence and Opportunities, A Report for the National Care Farming Initiative(UK), Colchester: University of Essex. 

  10. Kim, A.R., E.J. Cho, S.M. Choi and S.C. Kim, 2016, The Operation Condition Analysis on Green Care Practice in South Korea,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Rural Planning, 22(1), 69-79. 

  11. Kim, J.O. and C.K. Lee, 2017, A Study on the Establishment of a Conceptual Model of Korean-style Healing Tourism and Analysis of Healing Effects : Focusing on Participants in Nature-based Outdoor Recreation, International Journal of Tourism and Hospitality Research, 31(5), 5-21. 

  12. Kim, S.H., B.H. Jeong and J.K. Kim, 2006, Decision Analysis and Application(국문: 의사결정분석 및 응용), Youngji Publishers, 337-340. 

  13. Ministry of Agriculture, Food and Rural Affairs (MAFRA), 2016, Feasibility Study on Green Care Complex Development Project: Final Report(국문: 녹색농 업치유단지 조성사업 타당성 조사 연구 - 최종보고서). 

  14.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RDA), 2013a, International Survey of Green Care in Agriculture and Development of Strategy in Domestic, RDA Research Report. 

  15.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RDA), 2013b, Strategic Long Term Planning of Green Care Based on Agrohealing Survey, RDA Research Report, National Institute of Horticultural and Herbal Science(NIHHS).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