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일반농산어촌개발사업에 있어 농촌경관계획과 경관사업부문의 위상변화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Status Change in Rural Landscape Planning and Landscape Project in the General Agriculture Fishing Village Development Project 원문보기

농촌계획 : 韓國農村計劃學會誌, v.25 no.4, 2019년, pp.119 - 128  

이수현 (한국농어촌공사 농촌개발처) ,  조동범 (전남대학교 조경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lthough the General Agricultural Fishing Village Development Project had a significant impact on the landscape formation and management in rural area, the rural landscape planning and project sectors was not stable by fluctuation variables. On the basic understanding the institutional status of ru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이러한 현상들에 주목하여 농촌경관형성에 지대한 영향을 미치는 일반농산어촌개발사업의 경관계획수립과 경관사업의 특징 및 양적, 질적 변화과정에서 경관부문이 어떠한 위상을 가지고 있는지 분석한 후 그 지위변화 배경 요인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일반농산어촌개발사업 속에서 경관계획과 사업의 방향을 모색하고, 농촌경관계획과 관리를 위한 실무 차원의 지향점을 모색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 본 연구는 현장중심형 사업의 경관부문을 사업지침 수준의 환경변화를 중심으로 전반적 수준에서 분석하였기 때문에 기초자료가 정책 및 사업사료에 국한된 한계를 가지고 있었다. 추후 양적인 데이터에 근거한 비교분석을 위해서는 지역적 차이나 개별사업의 비교를 통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 본 연구에서는 특히 일반농산어촌개발사업의 경관계획수립의 양적 변화에 주목하여 경관사업의 변화 특성을 반영한다고 보는 포괄사업별 사업건수와 사업비를 분석하였다. 경관계획과 경관사업의 비중은 상위사업의 내용에 포함되기 때문에 별도의 사업량과 사업비로 구분하기 어렵다는 점에서 경관계획수립 건수로 파악하였다.
  • 본 연구는 이러한 현상들에 주목하여 농촌경관형성에 지대한 영향을 미치는 일반농산어촌개발사업의 경관계획수립과 경관사업의 특징 및 양적, 질적 변화과정에서 경관부문이 어떠한 위상을 가지고 있는지 분석한 후 그 지위변화 배경 요인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일반농산어촌개발사업 속에서 경관계획과 사업의 방향을 모색하고, 농촌경관계획과 관리를 위한 실무 차원의 지향점을 모색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농촌경관의 특성은 어떠한가? 농촌경관은 농촌을 구성하는 지형⋅생태⋅공간⋅물리⋅역사생활⋅문화적 특성을 총칭하며(김승근 외,2012), 도시경관과 달리 매우 다양한 요소들이 유기적으로 구성되어 지역의 문화경관적 정체성을 드러내는 가치를 지닌다(성주인, 2010). 1960∼70년대부터 도시화,산업화, 새마을운동 등을 배경으로 시작된 농촌경관의변화에서는 그러한 본질적 가치가 지향되기보다는 물적,양적인 측면이 강조되어온 편이었고, 농어촌경관에 대한국민인식에서도 잠재적 가치를 위협할 만큼 난개발 실태가 심각하며 경관관리를 위해 규제강화가 필요하다고보는 인식이 높게 나타나고 있다(농림축산식품부, 2012).
우리나라에서 농촌경관의변화에 대한 인식은 어떠한가? 농촌경관은 농촌을 구성하는 지형⋅생태⋅공간⋅물리⋅역사생활⋅문화적 특성을 총칭하며(김승근 외,2012), 도시경관과 달리 매우 다양한 요소들이 유기적으로 구성되어 지역의 문화경관적 정체성을 드러내는 가치를 지닌다(성주인, 2010). 1960∼70년대부터 도시화,산업화, 새마을운동 등을 배경으로 시작된 농촌경관의변화에서는 그러한 본질적 가치가 지향되기보다는 물적,양적인 측면이 강조되어온 편이었고, 농어촌경관에 대한국민인식에서도 잠재적 가치를 위협할 만큼 난개발 실태가 심각하며 경관관리를 위해 규제강화가 필요하다고보는 인식이 높게 나타나고 있다(농림축산식품부, 2012).자연환경과 역사적 맥락을 고려하지 못하는 난개발이나 부조화와 같은 농촌경관 문제의 배경에는 농촌경관개념과 인식의 미정립, 경관관리제도의 실효성 부족, 경관관리 주체의 역량 미비 등이 지적되기도 한다(이상민외, 2016).
우리나라의 최근 경관사업 양적 변화의 특성은? 2010년부터 2017년까지 8년간의 일반농산어촌개발사업량과 사업비는 총 7조 2,439억원이 투입된 것으로 집계되었으며, 읍면소재지를 대상으로 하는 중심지정비569개소, 마을권역을 대상으로 하는 정비는 1,344개소에서 이루어졌다(Table 6). 시설중심사업인 농촌중심지활성화, 창조적마을만들기, 기초생활인프라에 사업량이 집중된 편이며, 소프트웨어 중심사업인 시.군 역량강화 사업량은 상대적으로 적지만 매년 점차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8)

  1. Kim, Seung Geun, 2012. Improvement of the system through the empirical study of landscape of farming and fishing villages. 

  2. Seong, Joo In.Park, Ju Young, 2010. Trends and Tasks of Landscape Management Policy in Rural and Community. 

  3. Ministry of Agriculture, Food and Rural Arrairs. 2012. Public awareness of land use in rural areas. 

  4. Lee Sang Min, 2016. Status and improvement of rural landscape management in Korea. 

  5. Choi, Jin Ah, 2017. Post-management plan of village project to revitalize rural tourism - Based on landscape. ecology field of 'Creative village development projects' 

  6. Park Si Hyun, 2000. Eco-friendly rural development in Europe. 

  7. Lee, Jeung Won, 2013. A Study on Activating Plans for Community Participation in Rural Landscape Planning and Management. 

  8. Kim, Seung Geun, 2012. Improvement Strategy of Law-System for Rural Landscape Planning. 

  9. Kim, Sang Bum, 2012. A Study on the Rural Landscape Planning at Landscape Act. 

  10. Shin, Ji Hoon, 2010. A Study on Introducing the Landscape Project for Conservation and Improvement of Rural Landscape. 

  11. Pyon, Hey Seon, 2009. Designation of Landscape Projects Considering Rural Development Projects in Rural Area - Focused on the Cases of Chungbuk Province. 

  12. Oh, Byung Tae, 2012. A Study on the Policy Direction of the Rural Village Development Project. 

  13. National Institute of Agricultural Sciences, 2017. A Study on Rural Landscape Management and Regional action plan. p 105-113. 

  14. Ministry of Agriculture, Food and Rural Arrairs. 2014. Guideline for implementation of general agricultural fishing development project. 

  15. Ministry of Agriculture, Food and Rural Arrairs. 2015. Guideline for implementation of general agricultural fishing development project. 

  16. Ministry of Agriculture, Food and Rural Arrairs. 2016. Guideline for implementation of general agricultural fishing development project. 

  17. Ministry of Agriculture, Food and Rural Arrairs. 2017. Guideline for implementation of general agricultural fishing development project. 

  18. Ministry of Agriculture, Food and Rural Arrairs. 2018. Guideline for implementation of general agricultural fishing development project.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