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MCNPX를 이용한 양성자 치료기의 구성품에서 발생하는 중성자 에너지 분포계산
Calculation of Neutron Energy Distribution from the Components of Proton Therapy Accelerator Using MCNPX 원문보기

한국방사선학회 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Radiology, v.13 no.7, 2019년, pp.917 - 924  

배상일 (동남권원자력의학원 방사선종양학과) ,  신상화 (부산가톨릭대학교 보건과학대학 방사선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양성자 치료기의 Passive Scattering System 노즐을 모의모사 하여 노즐 내 각 구성품에서 발생되는 중성자를 에너지별로 평가하였다. MCNPX code를 이용하여 치료환경에 사용되는 양성자 에너지 220 MeV, 도달거리 20 cm, 6 cm 길이의 SOBP를 구현하고, 치료기 가동 시 발생하는 중성자를 각 구성품에 따라 종류별로 분류하였다. 양성자 가속기 구성품 중 산란체에서 중성자가 가장 높게 발생되었으며 양성자의 중심 선속에서부터 멀어질수록 중성자의 선속은 감소되었다. 본 연구는 양성자 가속기의 유지 보수 및 해체에 필수적인 방사화 평가를 진행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assive scattering system nozzle of the proton therapy accelerator was simulated to evaluate the neutrons generated by each component in each nozzle by energy. The Monte Carlo N-Particle code was used to implement spread out Bragg peak with proton energy 220 MeV, reach 20 cm, and 6 cm length use...

주제어

표/그림 (8)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두가지 방식 중 Passive Scattering System의 경우 좁은 펜슬빔 형태의 양성자를 넓게 퍼뜨리는 산란체를 사용하므로 구성부품에 의한 이차방사선의 발생 확률이 높다.[13] 이에 본 연구에서는 Passive Scattering System 을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여 중성자 발생률을 보수적으로 평가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양성자 가속기 가동 시 각 구성품의 중성자 생성과 특성을 분석하여 가속기 방사화의 기초자료로 활용하기 위하여 진행되었다.
  • 본 연구는 양성자 가속기 시설의 방사화 평가를 진행하기 위한 선행연구로써 양성자 가속기 시설에서 발생하는 중성자를 분석하고자 하였으며, 양성자 가속기 노즐에서 발생되는 이차입자중에 중성자를 산정하고자 하였다.
  • 미국 표준연구소(NIST : National Institute of Standards and Technology)에서는 양성자 비정에 대하여 국제적으로 표준화 된 자료를 제시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 계산한 비정을 NIST 자료와 비교하여 모사한 양성자 치료기에 대한 신뢰도를 확보하였다.[15]
  • 이에 본 연구에서는 궁극적으로 양성자 가속기의 방사화 문제를 연구하기 위해 우선 단계로써 중성자에 대한 연구를 시행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MCNPX code를 이용하여 중성자를 어떻게 분류하였는가? 양성자 치료기의 Passive Scattering System 노즐을 모의모사 하여 노즐 내 각 구성품에서 발생되는 중성자를 에너지별로 평가하였다. MCNPX code를 이용하여 치료환경에 사용되는 양성자 에너지 220 MeV, 도달거리 20 cm, 6 cm 길이의 SOBP를 구현하고, 치료기 가동 시 발생하는 중성자를 각 구성품에 따라 종류별로 분류하였다. 양성자 가속기 구성품 중 산란체에서 중성자가 가장 높게 발생되었으며 양성자의 중심 선속에서부터 멀어질수록 중성자의 선속은 감소되었다.
가속기 방사화의 기초자료로 활용하기 위하여 진행된 연구 결과는? 연구 결과, 양성자 가속기 각 부품 중 선속 내에 위치하는 산란체에서 가장 많은 중성자가 발생하였으며, 중성자 발생 경향은 Target에서 멀어지거나 빔의 선속 밖에 위치할수록 중성자의 생성량이 줄어드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양성자 가속기를 이용한 치료는 어떻게 제안되었는가? 양성자 가속기를 이용한 치료는 1946년 Robert Wilson에 의하여 제안되었으며[1] 1955년 Berkeley Radiation Lab에서 최초로 양성자 치료를 시작하였다.[2] 국내에는 2007년 국립암센터(KNCC : Korea National Cancel Center)를 시작으로 양성자 치료를 시행하고 있으며[3], 최근 양성자가속기 연구센터 (KOMAC : Korea Multi-Purpose Accelerator Complex)등의 설립으로 의료, 보건분야 뿐만 아니라 다양한 연구에도 사용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8)

  1. R. R. Wilson, "Radiological use of fast protons," Radiology, Vol. 47, No. 5, pp. 487-491, 1946. 

  2. D. W. Miller, "A review of proton beam radiation therapy," Medical physics, Vol. 22, No. 11, pp. 1943-1954, 1995. 

  3. https://www.ncc.re.kr/ 

  4. Y. H. Jung, Y. S. Choi, K. S. Chung, "Development of a beam current and position measurement system for the Korea multipurpose accelerator (KOMAC)," Journal of the Korean Physical Society, Vol. 44, No.5, pp. 1067-1070, 2004. 

  5. D. R. Olsen, O. S. Bruland, G. Frykholm, I. N. Norderhaug, "Proton therapy-a systematic review of clinical effectiveness," Radiotherapy and oncology, Vol. 83, No. 2, pp. 123-132, 2007. 

  6. F. d'Errico, "NCRP Report no.144-Radiation protection for particle accelerator facilities," National Council on Radiation Protection and Measurements, Vol. 113, No. 4 pp. 456-457 2005. 

  7. X. G. Xu, B. Bednarz, H. Paganetti, "A review of dosimetry studies on external-beam radiation treatment with respect to second cancer induction," Physics in Medicine & Biology, Vol. 53, No.13, pp. 193-241, 2008. 

  8. C. Z. Jarlskog, H. Paganetti, "Risk of developing second cancer from neutron dose in proton therapy as function of field characteristics, organ, and patient age," International Journal of Radiation Oncology Biology Physics, Vol. 72, No.1, pp 228-235, 2008. 

  9. R. N. Woo, Y.M. Kim, M.C. Song, D. H. Cho. J. S. Lee,W. T. Kim,"A Sutdy on the Adoption of Cyclotron Decommissioning Plan Criteria by the Analysis of Domestic Relocation and Abroad Dismantling Practices," Journal of Radiation Protection, Vol. 38, No.2, pp. 91-99, 2013. 

  10. C. Z. Jarlskog, H. Paganetti, "Risk of developing second cancer from neutron dose in proton therapy as function of field characteristics, organ, and patient age," International Journal of Radiation Oncology Biology Physics, Vol. 72, No. 1, pp 228-235, 2008. 

  11. H. Paganetti, B. Athar, S. M. Moteabbed, J. A. Adams, U. Schneider, T. I. Yock, "Assessment of radiation-induced second cancer risks in proton therapy and IMRT for organs inside the primary radiation field," Physics in Medicine & Biology, Vol. 57 No. 19, pp. 6047-6061, 2012. 

  12. S. Kim, B. J. Min, M. Yoon, J. Kim, D. H. Shin, S. B. Lee, D. H. Kim, "Secondary radiation doses of intensity-modulated radiotherapy and proton beam therapy in patients with lung and liver cancer," Radiotherapy and oncology, Vol. 98, No.3,pp 335-339, 2011. 

  13. W. T. Chu, B. A. Ludewigt, T. R. Renner, "Instrumentation for treatment of cancer using proton and light-ion beams," Review of Scientific Instruments, Vol. 64, No. 8, pp 2055-2122, 1993. 

  14. J. W. Kim, "Proton therapy facility project in National cancer center, Korea," Journal of the Korean Physical Society, Vol. 43, pp. 50-54, 2003. 

  15. https://www.ptcog.ch/ 

  16. N. J. Carron, "An introduction to the passage of energetic particles through matter," p.308, CRC Press, 2006. 

  17. A. Perez-Andujar, W. D. Newhauser, P. M. DeLuca Jr, "Neutron production from beam-modifying devices in a modern double scattering proton therapy beam delivery system," Physics in Medicine & Biology, Vol. 54 No. 4, pp. 993-1008, 2009. 

  18. S. E. Han, G. Cho, S. B. Lee, "An Assessment of the Secondary Neutron Dose in the Passive Scattering Proton Beam Facility of the National Cancer Center," Nuclear Engineering and Technology, Vol. 49 No. 4, pp. 801-809, 201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