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조기진통으로 입원한 임부 배우자의 스트레스 영향요인
Factors Influencing Stress in Spouses of Hospitalized Women Diagnosed with Preterm Labor 원문보기

KJWHN :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 v.25 no.4, 2019년, pp.459 - 473  

이정임 (경북전문대학교 간호학과) ,  홍세훈 (차의과학대학교 간호대학)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identify to identify the nursing needs and stress levels among spouses of women hospitalized with preterm labor, and to determine factors influencing spousal stress. Methods: Data were collected from 95 spouses of hospitalized pregnant women due to preterm l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일 대학병원 분만실에 입원한 조기진통 임부의 배우자만을 대상으로 하여 간호요구도와 스트레스의 정도를 확인하고 그 영향요인을 파악한 횡단적 조사연구로서 배우자만을 대상으로 하여 임부의 자료와 비교가 어렵고, 연구 결과를 일반화하고 변화양상을 파악하는데 제한점이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본 연구는 국내에서 처음으로 조기진통으로 입원한 임부 배우자의 간호요구도와 스트레스 정도를 확인하고, 스트레스 영향요인을 파악함으로써 배우자를 간호의 대상자로 인식하도록 돕고, 적절한 간호중재를 개발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 조기진통으로 입원한 임부뿐만 아니라, 배우자의 간호요구도와 스트레스 영향요인을 파악하고 적절한 중재를 제공한다면 배우자의 간호만족도가 높아질 것이며, 궁극적으로 임부에게도 긍정적인 효과가 나타날 수 있을 것이라 사료된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해 이들의 구체적인 간호요구도와 스트레스를 파악하고, 스트레스 영향요인을 확인하여 조기진통 임부 배우자를 위한 효과적인 간호중재 프로그램 개발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입원한 조기진통 임부의 배우자를 대상으로 구체적인 간호요구도와 스트레스 수준을 확인하고, 스트레스 영향 요인을 파악하여 향후 조기진통을 경험하는 임부와 배우자를 위한 효과적인 간호중재 프로그램 개발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행하였다.
  • 본 연구는 조기진통으로 입원한 임부 배우자의 간호요구도와 스트레스 정도를 확인하고 스트레스 영향 요인을 파악하고자 시행되었다. 배우자의 간호요구도는 중간이상의 수준, 스트레스는 중간이하의 수준으로 나타났으며, 간호요구도와 스트레스는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다.
  • 본 연구는 조기진통으로 입원한 임부 배우자의 간호요구도와 스트레스 정도를 확인하고, 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상관관계 조사연구이다.
  • 본 연구의 목적은 조기진통으로 입원한 임부의 배우자를 대상으로 간호요구도와 스트레스 정도를 확인하고, 스트레스 영향 요인을 파악하는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입원생활에서 임부가 느끼는 정서적 문제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가? 조기진통으로 임부가 입원하게 되면 침상안정과 약물치료 등이 병행되고, 장기간의 침상안정으로 인해 근육기능의 변화, 체중감소, 골 소실 등의 문제도 나타날 수 있다[3]. 임부가 입원생활을 하게 되면 시간이 지남에 따라 사회적 고립감을 느끼고[4], 상태불안, 두려움, 스트레스가 증가하며[5] 이러한 정서적 문제는 조산에도 영향을 미친다[6-8]. 조기진통 임부 중 과반수이상이 조산으로 이어지는데, 태아의 재태연령은 주산기 예후를 결정하는 주요한 산과적 요인으로, 조산으로 인한 미숙아의 출산은 신생아 사망률 증가와도 관련이 있다[9-11].
조기진통으로 임부가 입원하게 되었을 때 발생할 수 있는 문제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가? 조기진통으로 임부가 입원하게 되면 침상안정과 약물치료 등이 병행되고, 장기간의 침상안정으로 인해 근육기능의 변화, 체중감소, 골 소실 등의 문제도 나타날 수 있다[3]. 임부가 입원생활을 하게 되면 시간이 지남에 따라 사회적 고립감을 느끼고[4], 상태불안, 두려움, 스트레스가 증가하며[5] 이러한 정서적 문제는 조산에도 영향을 미친다[6-8].
배우자에게 간호중재가 필요한 이유는 무엇인가? 한편, 배우자의 스트레스가 높을수록 임부의 스트레스도 높았는데[16], 선행연구에 따르면 임부에게 관심을 표현하고 불안한 마음을 안심시켜주는 배우자의 지지가 임부가 입원한 상황을 겪어 나가는데 가장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16,17]. 이처럼 입원한 임부에게 가장 큰 영향을 줄 수 있는 배우자가 높은 수준의 스트레스 상황에 처해 적절하게 대처하지 못하면 조기진통 임부에게 정서적 지지를 제공하기 어렵고, 예후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으므로[14,15], 배우자의 스트레스를 중재하는 것이 중요하겠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Statistics Korea. Disease statistics, 2014-2016 [Internet]. Daejeon: Statistics Korea; 2017 [cited 2018 Mar 27]. Available from: http://kostat.go.kr/wnsearch/search.jsp. 

  2. Korean Society of Obstetrics and Gynecology. Obstetrics. 5th ed. Seoul: Korean Society of Obstetrics and Gynecology; 2015. p.561-585. 

  3. Maloni JA. Antepartum bed rest for pregnancy complications: efficacy and safety for preventing preterm birth. Biological Research for Nursing. 2010;12(2):106-124. 

  4. Kim MK, Lee YH, Cho IS, Lim JY. Change of stress and nursing needs after hospitalization in preterm labor women.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 2009;15(1):24-31. 

  5. Cole-Lewis HJ, Kershaw TS, Earnshaw VA, Yonkers KA, Lin H, Ickovics JR. Pregnancy-specific stress, preterm birth, and gestational age among high-risk young women. Health Psychology. 2014;33(9):1033-1045. 

  6. May KA. Impact of maternal activity restriction for preterm labor on the expectant father. Journal of Obstetric, Gynecologic, and Neonatal Nursing. 1994;23(3):246-251. 

  7. Chen MJ, Grobman WA, Gollan JK, Borders AE. The use of psychosocial stress scales in preterm birth research. American Journal of Obstetrics and Gynecology. 2011;205(5):402-434. 

  8. Go JI, Kim KH, Yeoum SG. Relationship with physical suffering, emotional state, and nursing needs of pregnant women in preterm labor.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 2009;15(4):280-293. 

  9. Kim JI, Cho MO, Choi GY. Multiple factors in the second trimester of pregnancy on preterm labor symptoms and preterm birth.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017;47(3):357-366. 

  10. Di Renzo GC, Giardina I, Rosati A, Clerici G, Torricelli M, Petraglia F, et al. Maternal risk factors for preterm birth: a country-based population analysis. European Journal of Obstetrics, Gynecology, and Reproductive Biology. 2011;159(2):342-346. 

  11. Kang MC, Cho HJ, Choi SJ, Han SJ, Song CH. Epidemiologic study of preterm birth in Chosun University Hospital. Korean Journal of Obstetrics and Gynecology. 2004;47(5):931-937. 

  12. Seravalli L, Patterson F, Nelson DB. Role of perceived stress in the occurrence of preterm labor and preterm birth among urban women. Journal of Midwifery & Women's Health. 2014;59(4):374-379. 

  13. Lee JY, Choi ES. Stress and coping style of high-risk pregnant women's spouses.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 2010;16(3):234-244. 

  14. Maloni JA, Ponder MB. Fathers' experience of their partners' antepartum bed rest. Image: The Journal of Nursing Scholarship. 1997;29(2):183-188. 

  15. Hsieh YH, Kao CH, Gau ML. The lived experience of first-time expectant fathers whose spouses are tocolyzed in hospital. Journal of Nursing Research. 2006;14(1):65-74. 

  16. Kim KW, Lee KH. Woman's experience of risk situation on the high-risk pregnancy.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Women's Health Nursing. 1998;4(1):121-133. 

  17. Nie C, Dai Q, Zhao R, Dong Y, Chen Y, Ren H. The impact of resilience on psychological outcomes in women with threatened premature labor and spouses: a cross-sectional study in Southwest China. Health and Quality of Life Outcomes. 2017;15(1):26. 

  18. Choi SH, Kim HJ, Kim KY, Lee SW. The effects of stress and its related factors on pregnant women in preterm labor.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ternal and Child Health. 2011;15(2):230-240. 

  19. Yu WJ, Song JE. Effects of abdominal breathing on state anxiety, stress, and tocolytic dosage for pregnant women in preterm labor.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010;40(3):442-452. 

  20. Son HJ, Park JS. Relationship between preterm labor stress, fetal attachment and maternal role confidence in pregnant women with preterm labor.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ternal and Child Health. 2014;18(1):86-96. 

  21. Kim NH, Tae YS, Choi YS, Bae JH. Influencing factors on stress in caregivers of stroke patients being admitted in rehabilitation centers.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2016;17(2):188-201. 

  22. Jang S. Needs of the family members of intensive care unit patients [master's thesis]. Seoul: Hanyang University; 2007. 69 p. 

  23. Wilson-Barnett J, Carrigy A. Factors influencing patients' emotional reactions to hospitalization. Journal of Advanced Nursing. 1978;3(3):221-229. 

  24. Kim SH, Cho Chung HI. Stress, coping style and nursing needs for hospitalized pregnant women due to preterm labor.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 2015;21(2):83-92. 

  25. Noftall A. The experience of men whose partners are hospitalized for high-risk pregnancies - a phenomenological study [master's thesis]. Newfoundland: Memorial University of Newfoundland; 2000. 150 p. 

  26. Su YT, Chen FH. Paternal grief and nursing care in perinatal deaths. Hu Li Za Zhi The Journal of Nursing. 2013;60(6):90-95. 

  27. Armstrong DS, Hutti MH, Myers J. The influence of prior perinatal loss on parents' psychological distress after the birth of a subsequent healthy infant. Journal of Obstetric, Gynecologic, and Neonatal Nursing. 2009;38(6):654-666. 

  28. Wang HJ, Park HS, Kim IO. Comparison of prenatal health management state and educational needs for pregnant women with advanced maternal age and under the age of 35.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 2013;19(4):230-241. 

  29. Kent RA, Yazbek M, Heyns T, Coetzee I. The support needs of high-risk antenatal patients in prolonged hospitalisation. Midwifery. 2015;31(1):164-169. 

  30. Condon JT, Boyce P, Corkindale CJ. The first-time fathers study: a prospective study of the mental health and wellbeing of men during the transition to parenthood. Australian and New Zealand Journal of Psychiatry. 2004;38(1-2):56-64.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