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일반메밀과 쓴메밀 종실 추출물의 RAW 264.7 대식세포에서 LPS에 의해 유도되는 iNOS 및 염증성 사이토카인 발현 저해를 통한 항염증 효과 비교
Anti-inflammatory effects of seed ethanolic extracts of the common buckwheat and tartary buckwheat are mediated through the suppression of inducible nitric oxide synthase and pro-inflammatory cytokines in LPS-induced RAW 264.7 macrophage cells 원문보기

한국식품과학회지 = Korean journal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v.51 no.6, 2019년, pp.565 - 575  

김수정 (Highland Agriculture Research Institute, National Institute of Crop Science,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  손황배 (Highland Agriculture Research Institute, National Institute of Crop Science,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  이경태 (Department of Pharmaceutical Biochemistry, College of Pharmacy, Kyung Hee University) ,  신지선 (Department of Pharmaceutical Biochemistry, College of Pharmacy, Kyung Hee University) ,  김수연 (Department of Pharmaceutical Biochemistry, College of Pharmacy, Kyung Hee University) ,  남정환 (Highland Agriculture Research Institute, National Institute of Crop Science,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  홍수영 (Highland Agriculture Research Institute, National Institute of Crop Science,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  서종택 (Highland Agriculture Research Institute, National Institute of Crop Science,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  장동칠 (Highland Agriculture Research Institute, National Institute of Crop Science,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  김율호 (Highland Agriculture Research Institute, National Institute of Crop)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메밀은 전 세계적으로 알곡, 싹, 차 등 다양한 형태로 이용되고 있으며, 주요재배종으로는 일반메밀과 쓴메밀이 있다. 본 연구는 일반메밀과 쓴메밀 종실 추출물을 대상으로 항산화 및 항염증 활성 효과를 평가하였다. 루틴 함량은 쓴메밀 추출물이 일반메밀 추출물보다 65-78배 높았으며, 퀘세틴은 쓴메밀 추출물에서만 검출되었다. 플라보노이드폴리페놀 함량도 쓴메밀 추출물이 1.8-2.0배 높았다. 쓴메밀 추출물은 6.25-400 ㎍/mL 범위의 농도로 세포독성을 평가하였을 때 세포독성은 관찰되지 않았다. 또한, 세포 내 NO 생성을 유의적으로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염증성 NO 생성과 관련된 유전자 iNOS 단백질과 mRNA 발현을 확인한 결과, 쓴메밀 추출물에서만 iNOS 단백질과 mRNA 발현이 감소되었다. 염증성 사이토카인 생성억제 효과에서, TNF-α와 IL-1β의 경우 쓴메밀과 일반메밀 추출물 모두에서 생성억제 효과가 확인되었으며, IL-6의 경우 일반메밀 추출물은 생성억제 효과가 없었으나 쓴메밀 추출물에서는 그 효과가 인정되었다. 염증성 사이토카인의 mRNA 발현을 확인한 결과, 일반메밀과 쓴메밀 추출물에 의한 mRNA 발현이 감소되었으며, 쓴메밀 추출물의 억제효과가 더욱 우수하였다. 이러한 결과들을 고려하면 루틴 함량과 항염증 효과와는 밀접한 관계가 있으며, 루틴 함량이 높은 쓴메밀이 항염증 식의약 소재 개발에 활용 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ethanolic seed extracts of the common buckwheat (CB) and tartary buckwheat (TB) were examined for their anti-oxidant and anti-inflammatory effects on lipopolysaccharide (LPS)-induced RAW 264.7 cells. In this study, it was observed that the rutin content of TB extracts was 65-78 times higher than...

Keyword

표/그림 (11)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한국은 경제성장 이후 식생활의 서구화로 인한 만성퇴행성 질환 발병률과 사망률 증가에 따른 건강식에 대한 요구로 메밀에 대한 생산과 소비가 증가되고 있다(Cui 등, 2008).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메밀 추출물을 이용하여 LPS로 염증을 유도하고 활성화된 RAW 264.7 대식세포에서 NO 및 염증성 사이토카인 생성 억제 효과와 염증 관련 mRNA의 발현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여 일반메밀과 쓴메밀의 항염증 효과를 구명하고자 하였다. 또한 일반메밀에 비해 쓴메밀에 높은 함량으로 존재하는 루틴의 NO 및 염증성 사이토카인 생성 억제 효과를 통해 루틴 함량과 일반메밀과 쓴메밀의 항염증 효과 간에 상관성이 있는지를 평가하였다.
  • 메밀은 전 세계적으로 알곡, 싹, 차 등 다양한 형태로 이용되고 있으며, 주요재배종으로는 일반메밀과 쓴메밀이 있다. 본 연구는 일반메밀과 쓴메밀 종실 추출물을 대상으로 항산화 및 항염증 활성 효과를 평가하였다. 루틴 함량은 쓴메밀 추출물이 일반메밀 추출물보다 65-78배 높았으며, 퀘세틴은 쓴메밀 추출물에서만 검출되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일반메밀과 쓴메밀에서 염증성 사이토카인 생성 억제 효과의 차이점은? 염증성 NO 생성과 관련된 유전자 iNOS 단백질과 mRNA 발현을 확인한 결과, 쓴메밀 추출물에서만 iNOS 단백질과 mRNA 발현이 감소되었다. 염증성 사이토카인 생성억제 효과에서, TNFα와 IL-1β의 경우 쓴메밀과 일반메밀 추출물 모두에서 생성 억제효과가 확인되었으며, IL-6의 경우 일반메밀 추출물은 생성 억제효과가 없었으나 쓴메밀 추출물에서는 그 효과가 인정되었다. 염증성 사이토카인의 mRNA 발현을 확인한 결과, 일반메밀과 쓴메밀 추출물에 의한 mRNA 발현이 감소되었으며, 쓴메밀 추출물의 억제효과가 더욱 우수하였다.
메밀이란? 메밀은 마디풀과(Poygonaceae)에 속하는 일년생 식물로, 한국, 중국, 캐나다, 이탈리아 등 세계 여러 지역에서 재배되고 있는 식량 또는 경관용 작물이다. 메밀은 생육기간이 60-80일로 짧고 토양과 재배지역에 대한 적응성이 높아 작부체계상 유용한 작물로 활용되고 있다(Campbell, 1997; Kreft 등, 1994).
메밀의 종실에서 나타나는 생리활성 물질에는 무엇이 있는가? 메밀의 종실에는 여러가지 생리활성을 나타내는 루틴(rutin), 퀘세틴(quercetin) 등의 플라보노이드 물질과 카테킨(catechins), 트리터페노이드(triterpenoids)과 같은 페놀화합류들이 존재하고 있다. 이러한 성분은 항산화(Kang, 2014; Kim 등 2007), 항당뇨(Lee 등, 2012), 위 질환 효능(Kim, 2016), 항진균 및 항균활성(Hwang 등, 2006), 고혈압 및 심혈관질환 개선(Park, 2006), 모세혈관 건강 향상(Jeong 등, 2011), 미백개선(Han 등, 2014), 비만 예방(Yoon 등, 2012), 항암 및 항염증(Yoon 등, 2012) 등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4)

  1. Beutler B, Cerami A. The biology of cachectin/TNF- ${\alpha}$ primary mediator of the host response. Annu. Rev. Immunol. 7: 625-655 (1989) 

  2. Campbell C.G. Buckwheat Fagopyrum esculentum Moench. International Plant Genetic Resources Institute, CAB International. pp. 3-93 (1997) 

  3. Chen X, Miao J, Wang H, Zhao F, Hu J, Gao P, Wang Y, Zhang L, Yan M. The anti-inflammatory activities of Ainsliaea fragrans Champ. extract and its components in lipopolysaccharide-stimulated RAW 264.7 macrophages through inhibition of NF- ${\kappa}$ B pathway. J. Ethnopharmacol. 170: 72-80 (2015) 

  4. Choi JY. Protective effects of tartary buckwheat from recognition impairment through anti-inflammation and protection from neuronal cell. MS thesis, Pusan National Univ., Pusan, Korea (2013) 

  5. Choi Y, Lee SM, Chun J, Lee HB, Lee J. Influence of heat treatment on the antioxidant activities and polyphenolic compounds of shiitake (Lentinus edodes) mushroom. Food Chem. 99: 381-387 (2006) 

  6. Cui CB, Lee EY, Ham SS, Lee DS. Antimutagenic and cytotoxic effects of an ethanol extract of buckwheat sprout. J Korean Soc. Appl. Biol. Chem. 51(3): 212-218 (2008) 

  7. Dewanto V, Xianzhong W, Liu RH. Processed sweet corn has higher antioxidant activity. J. Agr. Food Chem. 50: 4959-4964 (2002) 

  8. Folin O, Denis W. On phosphotungstic phosphomolybdic compounds as color reagents. J. Biol. Chem. 12: 239-249 (1912) 

  9. Halliwell B, Gutteridge JMC, Cross CE. Free radicals, antioxidants and human disease: where are we now. J. Lab. Clin. Med. 119(6): 598-620 (1992) 

  10. Han NK, Park CM, Kwon JC, Joung MS, Choi JW. Whitening effect of Fagopyrum tataricum extract. J. Soc. Cosmet. Sci. Korea 40(2): 179-186 (2014) 

  11. Hibi M, Nakajima K, Hirano T. IL-6 cytokine family and signal transduction: a model of the cytokine system. J. Mol. Med. 4: 1-12 (1996) 

  12. Higuchi M, Hisgahi N, Taki H, Osawa T. Cytolytic mechanism of activated macrophages. Tumor necrosis factor and L-arginine dependent mechanisms act synergistically as the major cytolytic mechanisms of activated macrophages. J. Immunol. 144: 1425-1431 (1990) 

  13. Hinz B, Brune K. Cyclooxygenase-2-10 years later. J. Pharmacol. Exp. Ther. 300: 367-375 (2002) 

  14. Hirano T, Matsuda T, Nakajima K. Signal transduction through gp130 that is shared among the receptors for the interleukin 6 related cytokine subfamily. Stem Cells 12: 262-277 (1994) 

  15. Hwang EJ, Lee SY, Kwon SJ, Park MH, Boo HO. Antioxidative, antimicrobial and cytotoxic activities of Fagopyrum esculentum Moench extract in germinated seeds. J. Korean Medicinal Crop Sci. 4: 1-7 (2006) 

  16. Jeong CH, Jeong HR, Chol SG, Shim KH, Heo HJ. Neuronal cell protection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hot water extract from commercial buckwheat tea. Korean J. Food Preserv. 18(3): 358-385 (2011) 

  17. Kang HW. Antioxidant and anti-inflammatory effect of extracts from Flammulina velutipes (Curtis) Singer. J. Korean Soc. Food Sci. Nutr. 41: 1072-1078 (2012) 

  18. Kang HW. Antioxidant and anti-inflammation effects of water extract from buckwheat. Korean J. Culinary Res. 20: 190-199 (2014) 

  19. Kang NJ. Rutin suppresses neoplastic cell transformation by Inhibiting ERK and JNK signaling pathways. Korean J. Food Nutr. 28: 579-585 (2015) 

  20. Kang BK, Kim KBWR, Kim MJ, Bark SW, Pak WM, Kim BR, Ahn NK, Choi YU, Ahn DH. Anti-inflammatory activity of an ethanol extract of Laminaria japonica root on lipopolysaccharide-induced inflammatory responses in RAW 264.7 cells. Korean J. Food Sci. Technol. 46: 729-733 (2014) 

  21. Kim SY. Anticancer effects of quercetin and rutin on KB human oral cancer cells. PhD thesis, Chosun University. Gwangju, Korea (2011) 

  22. Kim MJ. Bae NY, Kim KBWR, Park JH, Park SH, Cho YJ, Ann DH. Inhibitory anti-inflammatory effect of Zostera marina ethanolic extract on LPS-induced RAW 264.7 cells and mouse model. Korean Soc. Biotech. Bioengineering J. 32: 182-190 (2015) 

  23. Kim MJ, Bae NY, Kim KBWR, Park JH, Park SH, Choi JS, Ahn DH. Anti-inflammatory effect of Grateloupia imbricata Holmes ethanol extract on LPS-induced RAW 264.7 cells. J. Korean Soc. Food Sci. Nutr. 45: 181-187 (2016) 

  24. Kim SM, Cho YS, Sung SK. The antioxidant ability and nitrite scavenging ability of plant extracts. Korean J. Food Sci. Technol. 33: 626-632 (2001) 

  25. Kim SJ, Kim YH. Agricultural guide Buckwheat.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Jeonju, Korea. pp. 07-90 (2018) 

  26. Kim SJ, Lee KT, Choi HE, Ha TJ, Nam JH, Hong SY, Chang DC, Kim KS. Anti-inflammatory effects of flavonoids in Korean chrysanthemum species via suppression of inducible nitric oxide synthase and cyclooxygase-2 in LPS-induced RAW 264.7 macrophages. Food Sci. Biotechnol. 24(DOI 10.1007/s10068-015-0 (2015) 

  27. Kim SH, Lee EY, Ham SS. Antioxidation and antigenotoxic effects of buckwheat sprout extrac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6: 955-959 (2007) 

  28. Kim SJ, Sohn HB, Suh JT, Kim GH, Hong SY, Kim KD, Chang DC, Koo BJ, Kim YH. Domestic and overseas status of buckwheat production and future trends. J. Korean Soc. Int. Agric. 29: 226-233 (2017a) 

  29. Kim SJ, Sohn HB, Kim GH, Lee YY, Hong SY, Kim KD, Nam JH, Chang DC, Suh JT, Koo BJ, Kim YH. Comparison and validation of rutin and quercetin contents according to the extraction method of tartary Buckwheat (Fagopyrum tataricum Gaertn.) Korean J. Food Sci. Technol. 49: 258-264 (2017b) 

  30. Kreft I, Bonafacci G, Zigo A. Secondary metabolites of buckwheat and their importance in human nutrition. Food Technol. Biotech. 32: 195-197 (1994) 

  31. Lee HH. A study on the utilization of functional cosmetics materials using the bioactive compounds from buckwheat. Korean J. Aesthet. Cosmetol. 6: 1-8 (2008) 

  32. Lee JH. Studies of antioxidant and anti-inflammatory activity for Elsholtzia splendens. Ann. Plant Res. Res. 6: 147-161 (2007). 

  33. Lee SJ, Kim EK, Hwang JW, Oh HJ, Cheng SH, Moon SH, Jeon BT, Lee SM, Park PJ. Purific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an antioxidative peptide from enzymatic hydrolysates of duck processing by-products. Food Chem. 123: 216-220 (2010) 

  34. Lee KH, Ham HM, Kim HJ. Park HY, Sim EY, Oh SK, Kim WH, Jeong HS, Woo KS. Functional components and radical scavenging activity of germinated brown rice according to variety. Korean J. Food Nutr. 29: 145-152 (2016) 

  35. Lee CC, Hsu WH, Shen SR, Cheng YH, Wu SC. Fagopyrum tataricum (buckwheat) improved high-glucose-induced insulin resistance in mouse hepatocytes and diabetes in fructose-rich dietinduced mice. Experimental Diabetes Res. 1-10 (2012) 

  36. Lee SL, Seo EY. Effects of rutin on anti-inflammatory in adipocyte 3T3-L1 and colon cancer cell SW-480 J. Korean Soc. Food Cult. 34: 84-92 (2019) 

  37. Nathan C. Nitric oxide as a secretory product of mammalian cells. FASEB J. 6: 3051-3064 (1992) 

  38. Park CH. Development of new cultivar and technology of cultivation and utilization in tartary buckwheat as a new agricultural material. Ministry of Agriculture. pp. 12-197 (2006) 

  39. Sakihama Y, Cohen MF, Grace SC, Yamasaki H. Plant phenolic antioxidant and pro-oxidant activities: phenolics-induced oxidative damage mediated by metals in plants. Toxicol. 177: 67-80 (2002) 

  40. Scalbert A, Johnson IT, Saltmarsh M. Polyphenols: antioxidants and beyond. Am. J. Clin. Nutr. 81: 215S-217S (2005) 

  41. Willoughby DA. Heberden Oration, 1974. Human arthritis applied to animal models. Towards a better therapy. Ann. Rheum. Dis. 34: 471-478 (1975) 

  42. Yi H, Heo SK, Yun HJ, Choi JW, Jung JH, Park SD. Anti-oxidative and anti-inflammatory effects of Draconis Resina in Mouse macrophage cells. Korean J. Herbol. 23: 179-192 (2008) 

  43. Yoon SJ, Cho NJ, Na SH, Kim YH, Kim YM. Develoment of optimum rutin extraction process from Fagopyrum tatricum.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16: 573-577 (2006) 

  44. Yoon BR, Cho BJ, Lee HK, Kim DJ, Rhee SK, Hong HD, Kim KT, Cho CW, Choi HS, Lee BY, Lee OH. Antioxidant and anti-adipogenic effects of ethanolic extracts from tartary and common buckwheats. Korean J. Food Preserv. 19: 123-130 (2012) 

저자의 다른 논문 :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