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UV/H2O2 고도산화기술을 이용한 수중 잔류의약물질 제거
Degradation of residual pharmaceuticals in water by UV/H2O2 advanced oxidation process 원문보기

上下水道學會誌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Water and Wastewater, v.33 no.6, 2019년, pp.469 - 480  

박진영 (인천광역시 상수도사업본부 수질연구소) ,  서상원 (인천광역시 보건환경연구원 해양조사과) ,  조익환 (인천광역시 상수도사업본부 수질연구소) ,  전용성 (인천광역시 상수도사업본부 수질연구소) ,  하현섭 (인천광역시 상수도사업본부 수질연구소) ,  황태문 (한국건설기술연구원 국토보전연구본부)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degradation and mineralization of PPCPs (Pharmaceuticals and Personal Care Products) using a CBD(Collimated Beam Device) of UV/H2O2 advanced oxidation process. The decomposition rate of each substance was regarded as the first reaction rate to the ultraviole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현재까지 국내에는 시흥 정수장과 고양 정수장 2곳에 UV/H2O2 고도산화기술이 도입되어 운영 중에 있고, 향후 UV/H2O2 고도산화기술의 도입 확대가 지속적으로 늘 것으로 예상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최근 국내 상수원에서도 검출된 사례가 있는 의약품 및 생활 관련 화학물질인 PPCPs에 대하여 UV/H2O2 고도산화기술의 처리특성을 검토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acetaminophen이란? 항생제 가운데 chlortetracycline은 세균의 단백질 합성을 억제하여 항균작용을 하는 tetracycline계 항생제로 알려져 있고, sulfamethoxazole은 설폰아미드계 항생제로서 세균의 엽산생성을 억제하여 항균작용을 보이는 물질로 구분된다. Caffeine은 커피, 녹차 등의 기호식품에 포함되어 있을 뿐 아니라, 감기약 등에도 사용되고, acetaminophen은 해열, 두통 등 여러 통증에 이용되는 acetanilide계 의약물질이다.
정수처리공정의 주목적은? 정수처리공정은 입자성 물질과 유기 물질의 제거를 주목적으로 하고 잔류 의약물질을 제거하기 위해 설계된 공정이 아니므로 시설에 따라 제거율이 다양할 수 있다. 또한 의약물질의 물리적, 화학적 특성에 따라 제거율이 달라진다.
PPCPs별 분해속도상수에서 과산화수소의 농도가 높아질수록 직선의 기울기가 커졌으며 즉 분해속도상수가 높아지는 것을 통해 확인할 수 있는 것은? 각 PPCPs별 분해속도상수를 살펴보면 atenolol의 경우, 과산화수소의 농도가 높아질수록 직선의 기울기가 커졌으며 즉 분해속도상수가 높아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과산화수소의 농도가 높아질수록 제거율이 커진다는 것을 의미하며 수체별 시료 모두 과산화수소 농도에 대하여 분해속도상수가 직선성을 보였으며, 특히 과산화수소가 없는 상태에서의 분해속도상수가 0에 가까운 값을 보이고 있어, UV 조사만으로는 제거하기 힘들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Chlortetracycline의 경우, UV 조사량이 비교적 적은 1,000 mJ/cm2에서도 90% 이상(과산화수소 10 mg/L 투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8)

  1. Adams, C., ASCE, M., Wang, Y., Loftine, K. and Meyer, M., (2002). Removal of antibiotics from surface and distilled water in conventional water treatment processes, J. Environ. Eng., 128. 253-260. 

  2. Ahn, J.C. (2016). Development of analysis and DB on concern of emerging contaminants in the waterworks, Korea Environmental Industry & Technology Institute, The ministry of Environment. 

  3. Ahn, J.C., Jeng, K.J., Kwon, H.S., An, C.H., Kim, J.I., Youn, U.H., Lee, I.J., Son, B.Y., Moon, B.R. and Lee, S.W. (2016). Pharmaceuticals in drinking-water, Seoul Water Institute, 9. 

  4. Bendz, D., Paxdus, N.A., Ginn. T.R. and Loge, F.J. (2005). Occurrence and fate of pharmaceutically active compounds in the environment, a case study: Hoje River in Sweden, J. Hazard. Mater., 122, 195-204. 

  5. Buxton, G.V., Greenstock, C.L., Helman, W.P. and Ross, A.B. (1988). Critical review of rate constants for reactions of hydrated electrons, hydrogen atoms and hydroxyl radicals in aqueous solution, J. Phys. Chem., 17(2), 513-886. 

  6. Hofman-Caris C.H.M., Harmsen D.J.H., Wols B.A., Beerendonk E.F. and Keltjens L.L.M. (2015a). Determination of reaction rate constants in a collimated beam setup: the effect of water quality and water depth, Ozone : Sci. Eng., 37(2), 134-142. 

  7. Huber, M.M., Canonica, S., Park, G.Y. and Gunten, U.V. (2003). Oxidation of pharmaceuticals during ozonation and advanced oxidation processes, Environ. Sci. Technol., 37. 1016-1024. 

  8. Huber, M.M, Korhonen, S., Ternes, T.A. and Gunten U. (2005). Oxidation of pharmaceuticals during water treatment with chlorine dioxide, Water Res., 39, 3607-3617. 

  9. Khiari, D. (2007). Endocrine disruptors, pharmaceuticals, and personal care products in drinking water: an overview of AwwaRF research to date, Denver, CO, Awwa Research Foundation. 

  10. Kim, S.D., Cho, J., Kim, I.S., Vanderford, B.J. and Snyder, S.A. (2007). Occurrence and removal of pharmaceuticals and endocrine disruptors in South Korean surface, drinking and waste waters, Water Res., 41, 1013-1021. 

  11. Moldovan. Z. (2006). Occurrences of pharmaceutical and personal care products as micropollutants in rivers from Romania, Chemosphere, 64, 1808-1817. 

  12. Pereira, V.J., Linden, K.G. and Weinberg, H.S. (2007). Evaluation of UV irradiation for photolytic and oxidative degradation of pharmaceutical compounds in water, Water Res., 41(19), 4413-4423. 

  13. Seo, H.J., Park, Y.H., Kang, I.S., Myong, H.B., Song, Y.S. and Kang, Y.J. (2016). Evaluation on the removal efficiency of pharmaceutical compounds in conventional drinking water treatment processes, Anal. Sci. Technol., 29, 126-135. 

  14. Shin, H.S. (2011). The study of investigation and analysis of residual pharmaceuticals,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15. Snyder, S.A., Westerhoff, P,, Yoon Y. and Sedlak, D.L. (2003). Pharmaceuticals, personal care products and endocrine disruptors in water: implications for the water industry, Environ. Eng. Sci., 20, 449-469. 

  16. Ternes TA, Stuber J, Hermann N, Ried A, Kampmann M, and Teiser B. (2003). Ozonation: a tool for removal of pharmaceuticals, contrast media and musk fragrances from wastewater?, Water Res., 37. 1976-1982. 

  17. US EPA. (2006). Ultraviolet disinfection guidance manual for the final long term 2 enhanced suraced water treatment rule, C-1. 

  18. Zwiener C. and Frimmel F.H. (2000). Oxidative treatment of pharmaceuticals in water, Water Res., 34(6). 1881-1885.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