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중압 자외선과 과산화수소 공정을 이용한 하수 3차 처리수중 총유기탄소와 미량오염물질 제거
Removal of Total Organic Carbon and Micropollutants in Tertiary Treated Sewage by Medium Pressure UV/H2O2 원문보기

한국물환경학회지 = Journal of Korean Society on Water Environment, v.36 no.4, 2020년, pp.314 - 321  

이재엽 (한국건설기술연구원 국토보전연구본부) ,  김일호 (한국건설기술연구원 국토보전연구본부)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evaluated the applicability of UV-AOP process using medium-pressure UV lamp and H2O2 to remove TOC and emerging micropollutants in the effluent from a sewage treatment plant. The UV lamp with higher output(1.6~8.0 kW) showed slightly higher amount of power in removing TOC of 1 mg/L(0.09 k...

주제어

표/그림 (11)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TOC 및 신종 미량오염물질 제거를 목적으로 한 중압 자외선 램프와 H2O2 병용 자외선 고도산화처리공정의 현장 적용성을 평가하고자 실제 하수 3차 처리수를 대상으로 한 성능평가 연구를 수행하였다. 본 연구로부터 얻은 지견은 다음과 같다.
  • 이와 같이 중압 자외선 램프 기반 고도산화처리공정의 효과적인 유기물질 제거가 보고되어 왔으나, 아직까지 하수처리시설 방류수중 TOC 제거를 목적으로 한 적용가능성에 대한 연구결과는 미흡하다. 본 연구에서는 중압 자외선 램프/H2O2 공정 운영시 자외선 투입 전력량과 H2O2 주입량이 TOC 제거에 미치는 영향을 중심으로 평가하였으며, 또한 이 공정의 일부 대표적 잔류성 미량오염물질 제거 가능성도 추가 검토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하수도법시행규칙에 의해 기존 COD를 대체하여 적용된 TOC의 기준은? 2020년 2월 24일 개정된 『하수도법시행규칙』은 2021년 1월 1일부터 공공하수처리시설⋅간이공공하수처리시설의 방류수수질기준에 기존 COD를 대체하여 TOC가 적용되는 기준이 제시되어 있다. 이 기준에서는 1일 하수처리용량 500 m3 이상이고 Ⅰ, Ⅱ 지역에 위치하는 시설은 TOC 15 mg/L 이하의 방류수수질기준을 만족시켜야 하며, Ⅲ, Ⅳ지역에 위치하는 1일 하수처리용량 500 m3 이상의 시설 및 1일 하수처리용량 50 m3 이상 500 m3 미만과 50 m3 미만의 시설은 모두 25 mg/L 이하의 TOC 기준에 부합해야 한다. 현재 90% 이상의 공공하수처리시설 방류수 TOC 농도가 15 mg/L 이하(Jeong et al.
고도산화처리공정의 장점은? , 2019; Roy and Moholkar, 2019) 정수 및 하폐수처리 분야에서의 TOC 제거목적으로 O3, 자외선, H2O2, TiO2 등을 이용한 고도산화처리공정이 적용가능하다. O3과 달리 자외선을 기반으로 하는 고도산화처리공정은 산화부산물 생성 우려가 적다는 장점이 있으나, 저압 자외선 램프를 이용하는 경우는 램프 1개당 출력이 작아 그 설비규모가 커지게 되며, 따라서 규모가 큰 처리시설에서는 중압 자외선 램프 이용이 권장될 수 있다. 중압 자외선 램프를 이용한 유기물질 분해에 관한 연구는 상당히 제한적이기는 하나, 한 연구에서는 중압 자외선 램프/H2O2 고도산화처리공정이 하수처리장 방류수 중 Carbamazepine, 2,4-Dichlorophenoxyacetic acid 및 내분비계 장애물질의 효과적인 분해, 제거기술로 활용될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환경정책기본법시행령에서의 TOC 기준은? Total Organic Carbon(TOC)가 물환경에서 난분해성 유기물질을 포함한 전체 유기물질에 대한 신규 관리지표로 제안된 이래 2013년부터 환경정책기본법시행령의 수질 및 수생태계 환경기준에 TOC 항목이 추가되었으며, 하천과 호소 생활환경기준 모두 등급에 따라 2 mg/L 이하(매우좋음, Ia등급)에서 8 mg/L 초과(매우나쁨, VI등급)까지 TOC 기준이 설정되어 있다. 2020년 2월 24일 개정된 『하수도법시행규칙』은 2021년 1월 1일부터 공공하수처리시설⋅간이공공하수처리시설의 방류수수질기준에 기존 COD를 대체하여 TOC가 적용되는 기준이 제시되어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Ali, F., Khan, J. A., Shah, N. S., Sayed, M., and Khan, H. M. (2018). Carbamazepine degradation by UV and UV-assisted AOPs: Kinetics, mechanism and toxicity investigations, Process Safety and Environmental Protection, 117, 307-314. 

  2. Chen, S., Zhou, Y., Meng, J., and Wang, T. (2018). Seasonal and annual variations in removal efficiency of perfluoroalkyl substances by different wastewater treatment processes, Environmental Pollution, 242(Part B), 2059-2067. 

  3. Chen, T., Ma, J., Zhang, Q., Xie, Z., Zeng, Y., Li, R., Liu, H., Liu, Y., Lv, W., and Liu, G. (2019). Degradation of propranolol by UV-activated persulfate oxidation:Reaction kinetics, mechanisms, reactive sites, transformation pathways and Gaussian calculation, Science of the Total Environment, 690, 878-890. 

  4. Dodd, M. C., Buffle, M. O., and von Gunten, U. (2006). Oxidation of antibacterial molecules by aqueous ozone: moiety-specific reaction kinetics and application to ozone-based wastewater treatment, Environmental Science and Technology, 40, 1969-1977. 

  5. Hong, Y. M., Lee, I. G., Lee, W. S., and Kim, H. W. (2019). Mass-balance-model-based evaluation of sewage treatment plant contribution to residual pharmaceuticals in environmental waters, Chemosphere, 225, 378-387. 

  6. Huang, Y., Kong, M., Coffin, S., Cochran, K. H., Westerman, D. C., Schlenk, D., Richardson, S. D., Lei, L., and Dionysiou, D. D. (2020). Degradation of contaminants of emerging concern by $UV/H_2O_2$ for water reuse: Kinetics, mechanisms, and cytotoxicity analysis, Water Research, 174, 115587. 

  7. Huber, M. M., Canonica, S., Park, G. Y., and von Gunten, U. (2003). Oxidation of pharmaceuticals during ozonation and advanced oxidation processes, Environmental Science and Technology, 37, 1016-1024. 

  8. Jallouli, N., Pastrana-Martinez, L. M., Ribeiro, A. R., Moreira, N. F. F., Faria, J. L., Hentati, O., Silva, A. M. T., and Ksibi, M. (2018). Heterogeneous photocatalytic degradation of ibuprofen in ultrapure water, municipal and pharmaceutical industry wastewaters using a $TiO_2/UV-LED$ system, Chemical Engineering Journal, 334, 976-984. 

  9. Jeong, D. H., Cho, Y., Ahn, K., Chung, H. M., Park, H., Shin, H., Hur, J., and Han, D. (2016). A study on the determination method of TOC effluent limitation for public sewage treatment plants,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Water and Wastewater, 30(3), 241-251. [Korean Literature] 

  10. Keen, O. S., Dotson, A. D., and Linden, K. G. (2013). Evaluation of hydrogen peroxide chemical quenching agents following an advanced oxidation process, Journal of Environmental Engineering, 139(1), 137-140. 

  11. Li, B. and Zhang, T. (2010). Biodegradation and adsorption of antibiotics in the activated sludge process, Environmental Science and Technology, 44(9), 3468-3473. 

  12. Li, W., Xu, X., Lyu, B., Tang, Y., Zhang, Y., Chen, F., and Korshin, G. (2019). Degradation of typical macrolide antibiotic roxithromycin by hydroxyl radical: kinetics, products, and toxicity assessment, Environmental Science and Pollution Research, 26, 14570-14582. 

  13. Lima, V. B., Goulart, L. A., Rocha, R. S., Steter, J. R., and Lanza, M. R. V. (2020). Degradation of antibiotic ciprofloxacin by different AOP systems using electrochemically generated hydrogen peroxide, Chemosphere, 247, 125807. 

  14. Monteoliva-Garcia, A., Martin-Pascual, J., Munio, M. M., and Poyatos, J. M. (2020). Effects of carrier addition on water quality and pharmaceutical removal capacity of a membrane bioreactor-Advanced oxidation process combined treatment, Science of The Total Environment, 708, 135104. 

  15. Navarro, I., Torre, Adrian, Sanz, P., and Angeles Martinez, M. (2020). Perfluoroalkyl acids (PFAAs): Distribution, trends and aquatic ecological risk assessment in surface water from Tagus River basin (Spain), Environmental Pollution, 256, 113511. 

  16. Rodriguez-Chueca, J., Giustina, S. V., Rocha, J., Fernandes, T., Pablos, C., Encinas, A., Barcelo, D., Rodriguez-Mozaz, S., Manaia, C. M., and Marugan, J. (2019). Assessment of full-scale tertiary wastewater treatment by UV-C based-AOPs: Removal or persistence of antibiotics and antibiotic resistance genes?, Science of The Total Environment, 652, 1051-1061. 

  17. Roy, K. and Moholkar, V. S. (2019). Sulfadiazine degradation using hybrid AOP of heterogeneous Fenton/persulfate system coupled with hydrodynamic cavitation, Chemical Engineering Journal, 386, 121294. 

  18. Ruan, Y., Wu, R., Lam, James C. W., Zhang, K., and Lam, Paul K. S. (2019). Seasonal occurrence and fate of chiral pharmaceuticals in different sewage treatment systems in Hong Kong: Mass balance, enantiomeric profiling, and risk assessment, Water Research, 149(1), 607-616. 

  19. Shu, Z., Singh, A., Klamerth, N., McPhedran, K., Bolton, J. R., Belosevic, M., and El-Din, M. G. (2016). Pilot-scale $UV/H_2O_2$ advanced oxidation process for municipal reuse water: Assessing micropollutant degradation and estrogenic impacts on goldfish (Carassius auratus L.), Water Research, 101, 157-166. 

  20. Sellers, R. M. (1980). Spectrophotometric determination of hydrogen peroxide using potassium titanium(IV) oxalate, The Analyst, 105(1255), 950. 

  21. Song, W. H., Cooper, W. J., Mezyk, S. P., Greaves. J., and Peake, B. M. (2008). Free radical destruction of $\beta$ -blockers in aqueous solution, Environmental Science and Technology, 42(4), 1256-1261. 

  22. Wols, B. A., Hofman-Caris, C. H. M., Harmsen, D. J. H., and Beerendonk, E. F. (2013). Degradation of 40 selected pharmaceuticals by $UV/H_2O_2$ , Water Research, 47, 5876-5888. 

  23. Yoo, J., Lee, B., Hur, J., and Jung, J. (2014). Physicochemical and toxicological properties of effluent organic matters from sewage and industrial treatment plants, Journal of Korean Society on Water Environment, 30(1), 80-86. [Korean Literature] 

  24. Zhu, S., Dong, B., Wu, Y., Bu, L., and Zhou, S. (2019), Degradation of carbamazepine by vacuum-UV oxidation process: Kinetics modeling and energy efficiency, Journal of Hazardous Materials, 368, 178-185.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