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자녀의 초등학교 입학 전후 어머니의 양육불안에 미치는 영향요인 분석
An Analysis of the Influential Factors on Mother's Child-rearing Anxiety Before and After Their Children's Entrance into Elementary School 원문보기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Korean Journal of Childcare and Education, v.15 no.6, 2019년, pp.21 - 40  

신수희 (인하대학교대학원 아동복지학)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the tendencies and differences of mother's child-rearing anxiety before and after their children enter into elementary school, to analyze the factors influencing child-rearing anxiety at each time, and thereby to seek a support plan at the time of tran...

주제어

표/그림 (7)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구체적인 방법으로서 부모들의 접근이 용이한 육아지원기관이 주체가 되어 실용적인 예비학부모 교육 프로그램을 실시함과 동시에 건강가정지원센터, 육아종합지원센터, 학부모 지원센터 등에서 지원하고 있는 예비학부모 교육 프로그램을 홍보·보급함으로써 초등학교 입학에 필요한 객관적 자료를 제공하는 것이다.
  • 더불어 자녀의 입학을 계기로 취업모가 세운 근로 상태 변경 계획 및 입학 후에 변경된 근로 상태가 양육불안에 미치는 영향을 세부적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국민건강보험공단 ‘경력단절 여성 실태조사’에 따르면 2017년도에도 신학기를 전후한 2~3월에 초등학교 저학년 자녀를 둔 직장건강보험 여성 가입자 1만 5841명이 퇴직한 것으로 집계되었는데, 이는 육아지원기관이 담당하던 돌봄 공백을 채우기 위한 취업모의 걱정과 고민을 여실히 보여주고 있다.
  • 둘째, 기존의 초등학교 전이관련 연구들은 대부분 질적 연구를 수행하였는데(강경미, 2014; 김창복, 이신영, 2013; 윤미란, 2012), 초등학교 입학 전의 준비나 입학 후의 적응을 둘러싼 실태 및 어머니의 심리적 특성을 상세하게 파악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나, 소수를 대상으로 하기 때문에 사회적 현상으로 나타나고 있는 초등학교로의 전이에 대한 어려움 및 불안을 드러내기에는 한계가 있다고 보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수도권 지역에 거주하는 181명의 어머니를 대상으로 양적연구를 진행함으로써 자녀가 초등학교에 입학하기 전과 입학 후의 양육환경의 변화 및 양육불안 차이를 살펴보고자 한다.
  • 또한 신학기가 되면 사회적 이슈가 되는 ‘초등학교 입학’과 관련하여 자녀 돌봄 지원 환경의 실태 및 자녀 교육 및 양육에 대한 부모의 신념과 참여 경향을 파악하고 이들 변인이 입학 전과 입학 후 각각의 시기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 마지막으로 본 연구에서는 자녀의 초등학교 입학을 앞둔 부모가 가지는 자녀 교육 및 양육에 대한 신념과 다양한 형태의 부모 참여 경향을 살펴보고, 자녀의 초등학교 전이를 경험하는 과정에서 어머니의 양육불안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자 한다. 양육 신념은 아동의 발달이나 양육에 대한 부모의 모든 사고로서(Miller, 1988), 다른 사람이나 사회로부터 일방적으로 가르침을 받거나 개인 내부의 정신적인 과정을 통해 형성되는 것이 아니라 다른 부모나 아이를 관찰하는 등의 일상생활의 다양한 경험에서 비롯된다(안지영, 2001).
  • 이러한 제한점에도 불구하고 연구는 다음과 같은 의의를 가진다. 본 연구는 매년 신학기에 사회적 이슈로 떠오르는 초등학교 전이에 대해 자녀의 초등학교 입학 준비 및 적응을 지원하는 당사자인 어머니의 심리적 어려움과 원인을 파악하는 것에 중점을 두고 접근하였다. 자녀가 초등학교에 입학하는 가정의 자녀 돌봄 지원 환경, 자녀 신념, 부모 참여에 대한 객관적인 자료를 제시하고 전이기의 어머니의 양육불안을 입학 전과 입학 후로 나누어 살펴봄으로써 각 시기별로 적절한 지원 및 개입 방안을 모색하였다.
  • 본 연구는 초등학교로의 전이를 경험하는 어머니를 대상으로 양육불안의 경향 및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자녀의 초등학교 입학 전과 입학 후 두 차례에 걸쳐 조사를 진행하였다. 연구를 통해 실제로 자녀의 초등학교 입학 전과 입학 후 어머니가 느끼는 양육불안을 측정함으로써 사회적 현상에 대한 객관적 지표를 제공할 수 있다.
  • 양육불안은 부모가 자녀를 양육함에 있어서 역할을 수행할 때 느끼는 걱정이나 불안을 의미한다. 본 연구에서는 자녀의 초등학교로의 전이를 경험하는 어머니의 양육불안을 파악하고자 하였으나 부합하는 척도가 부재하여 한국의 사회․문화적 특징을 반영한 척도를 개발하여 사용하였다. 척도 개발을 위하여 기존에 우리나라에서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는 양육불안 측정도구와 선행연구 및 연구보고서 분석 내용을 토대로 기초 문항을 선정하고 예비조사를 실시하여 34문항의 예비척도를 구성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자녀의 초등학교로의 전이를 경험하는 어머니의 입학 전과 입학 후 양육불안 차이를 살펴보고, 관련 변인들의 영향을 분석하였다.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논의하면 다음과 같다.
  • 본 조사를 진행하기에 앞서 예비조사를 통해 잘못 응답할 가능성이 있거나 중복응답이 필요한 문항을 파악하고 이에 대해 보충 설명을 기재하는 등의 수정 절차를 거쳤다. 연구를 진행하기 위해 연구 참여에 동의한 육아지원기관에 재원중인 만 5세반 유아의 어머니를 연구대상으로 선정하고, 자녀가 초등학교에 입학하기 전과 입학 후 두 차례에 걸쳐 본 조사를 실시하였다.
  • 그간 양육불안과 같은 맥락에서 연구되어 온 양육스트레스의 유발 원인을 Abidin(1990)는 개인과 개인이 처한 환경과의 관계에서 찾은 바 있다. 이에 근거하여 본 연구에서는 아동과 어머니의 인구통계학적 특성뿐 아니라 전이를 경험하는 아동이 처한 환경이 양육불안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한다. 즉, 물리적인 자녀 돌봄 지원 환경과 더불어 자녀 양육 및 교육에 대한 부모의 신념과 참여를 아동을 둘러싼 양육환경 요인으로 보고, 전이기에 어머니가 느끼는 양육불안의 궁극적인 원인을 파악하고 지원방안을 마련하고자 한다.
  • 먼저, 자녀에게 사교육 시키고 교육정보 수집을 하는 형태의 적극적인 참여가 양육불안을 상승시키는 결과는 그 원인이 초등학교 1학년이 갖추어야 할 기본적인 수준의 학업준비가 미흡이나 경제적 여건으로 인한 지원의 어려움 때문이 아니라 자녀에 대한 지나친 기대와 과도한 교육열에 있음을 반증 한다. 이에 더하여 만 5세 아동의 지능의 개념에 대해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정도를 파악한 인지적 능력에 대한 신념이 양육불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난 본 연구의 결과가 이를 뒷받 침해주고 있다. 이러한 현상의 근본적인 원인을 무분별한 정보를 제공하는 SNS(Social Network Service)나 ‘불안 마케팅’으로 선행학습을 부추기는 사교육업계가 정보의 원천으로 자리 잡고 있는 현실에서 찾아볼 수 있겠다.
  • 종합하여, 관련 변인들이 초등학교 입학 전과 후 어머니의 양육불안에 미치는 영향력을 살펴봄으로써 초등학교 전이를 경험하는 가족의 지원 시점과 방안을 모색해보고자 한다. 이에, 기존의 초등학교 전이와 관련된 연구들의 한계를 보완하여 다음과 같이 연구를 수행하고자 한다. 첫째, 기존의 초등학교 전이 연구에서 연구대상자 선정에 한계점이 드러났다.
  • 어머니 혼자서 자녀 양육을 담당하는 현상을 의미하는 ‘독박육아’, 이를 돕기 위해 조부모가 인근에 살거나 동거하면서 손자녀를 봐주는 현상을 일컫는 ‘황혼육아’등 신조어의 등장이 이를 뒷받침해 주고 있다. 이처럼 자녀 돌봄 지원 환경이 자녀의 초등학교 입학 전후 어머니의 양육불안을 완화․상승시키는데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고 지원 방법을 모색해 보고자 한다.
  • 종합하여, 관련 변인들이 초등학교 입학 전과 후 어머니의 양육불안에 미치는 영향력을 살펴봄으로써 초등학교 전이를 경험하는 가족의 지원 시점과 방안을 모색해보고자 한다. 이에, 기존의 초등학교 전이와 관련된 연구들의 한계를 보완하여 다음과 같이 연구를 수행하고자 한다.
  • 이에 근거하여 본 연구에서는 아동과 어머니의 인구통계학적 특성뿐 아니라 전이를 경험하는 아동이 처한 환경이 양육불안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한다. 즉, 물리적인 자녀 돌봄 지원 환경과 더불어 자녀 양육 및 교육에 대한 부모의 신념과 참여를 아동을 둘러싼 양육환경 요인으로 보고, 전이기에 어머니가 느끼는 양육불안의 궁극적인 원인을 파악하고 지원방안을 마련하고자 한다. 자녀의 초등학교 입학 전과 입학 후 어머니의 양육불안에 영향을 줄 수 있는 관련요인에 대해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초등학교란 무엇인가? 아동이 처음 경험하게 되는 의무교육 기관인 초등학교는 소규모 보육중심 육아지원기관과는 달리 학습에 초점을 맞춘 대규모 공교육 기관이다(지성애, 정대현, 2006). 유아기에서 초등학교로의 전이를 겪는 초등학교 1학년은 학령 초기로서, 아동이 학교 규칙 및 학습태도와 생활습관을 익히고 독립성을 키우며, 자기주도적인 행동 양식의 첫걸음을 딛게 되는 매우 중요한 시기임이 분명하다.
초등학교 1학년 시기가 중요한 이유는? 아동이 처음 경험하게 되는 의무교육 기관인 초등학교는 소규모 보육중심 육아지원기관과는 달리 학습에 초점을 맞춘 대규모 공교육 기관이다(지성애, 정대현, 2006). 유아기에서 초등학교로의 전이를 겪는 초등학교 1학년은 학령 초기로서, 아동이 학교 규칙 및 학습태도와 생활습관을 익히고 독립성을 키우며, 자기주도적인 행동 양식의 첫걸음을 딛게 되는 매우 중요한 시기임이 분명하다. 하지만 현재 유치원과 초등학교는 교육기관 간 연계성이 낮아(송복순, 2014) 발달의 연속선상에 있는 아동이 초등학교라는 새로운 환경에 적응하고 융합되는 것은 결코 쉬운 일이 아니다.
양육불안이 높을 경우 자녀에게 생길 수 있는 문제는? 양육자의 심리적 안녕은 양육행동에 직․간접적으로 영향을 줄 수 있는데 특히 양육불안이 높을 경우 자녀에 대해 비판적이고, 대처 능력을 의심하여 과도한 통제나 과보호로 자율성을 억압하거나 새롭고 어려운 과제에 도전할 기회를 제한하는 경향을 보인다(소언주, 도현심, 2001; 장유진, 2016; 천혜영, 2011; McLeod, Weisz & Wood, 2007). 하지만 이러한 형태의 양육행동은 학령 초기 아동으로 하여금 스스로 자신의 환경을 통제할 수 없다고 믿거나 자신의 능력에 대해 낮은 기대를 갖게 할 뿐 아니라(Rubin, Coplan, & Bowker, 2009), 불안․우울 및 문제행동을 초래 하여(김우경, 2012), 학교생활 적응에 어려움을 가져올 수 있다. 이처럼 양육불안이 아동에게 미치는 부정적 영향을 미친다고 보고된 선행연구에 비추어 볼 때, 자녀의 초등학교 입학 전과 입학 후에 부모가 갖는 불안 요소를 파악하는 것은 매우 중요한 일이라 사료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52)

  1. 강경미 (2014). 놀이 중심 유치원에 다니는 취학 전 만 5세 자녀를 둔 어머니들의 학교준비도에 대한 이해와 고민 및 요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 강인귀 (2018.3). 초등학교 입학, 친구.선생님과의 관계가 가장 걱정돼. MoneyS http://moneys.mt.co.kr/news/mwView.php?type1&no2018030807598080136&outlink1에서 2018년 3월 15일 인출 

  3. 권주원 (2003). 어머니의 자녀에 대한 신념과 아동의 창의성.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 권현경 (2018.4). 초등 1학년 둔 워킹맘 "학원으로 뺑뺑이 돌리는 게 맘 아파요". 베이비 뉴스. https://www.ibaby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64270 에서 2018년 4월 21일 인출 

  5. 권혜진, 정혜욱 (2015). 아동의 학교생활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육아지원연구, 10(4), 79-96. doi:10.16978/ecec.2015.10.4.004 

  6. 김경림 (2018.3). 3월 개학 시즌 어린이 교통사고 급증. 키즈맘. https://kizmom.hankyung.com/news/view.html?aid201803070369o 에서 2018년 3월 15일 인출 

  7. 김나현, 이은주, 곽수영, 박미라 (2013). 어린 아동을 둔 취업모의 양육부담감 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여성건강간호학회지, 19(3), 188-200. doi:10.4069/kjwhn.2013.19.3.188 

  8. 김민진 (2008). 초등학교 1학년 아동의 입학 초기 학교생활 적응에 대한 연구. 교육과학연구, 39(1), 181-210. 

  9. 김성순 (2006). 유치원에서 초등학교로의 전이과정에 관한 연구. 단국대학교 특수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0. 김수정, 곽금주 (2010). 초등일학년 학교적응의 예언 변인들 간 관련성 탐색 I. 인간발달연구, 17(4), 89-109. 

  11. 김우경 (2012). 어머니 불안과 학령 전 아동의 불안/우울 및 외현화 문제행동간의 관계- 아동 애착 안정성의 조절효과-.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2. 김의철, 박영신 (2008). 한국사회와 교육적 성취: 한국 청소년의 학업성취에 대한 심리적 토대 분석. 한국심리학회지: 문화 및 사회문제, 14, 63-109. 

  13. 김창복, 이신영 (2013). 자녀의 초등학교 전이 및 적응에 대한 어머니들의 이야기. 어린이미디어연구, 12(3), 319-350. 

  14. 김해선 (2010). 장애유아의 초등학교 전이과정에 대한 부모 인식 조사. 강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5. 남혜련 (2000). 유아기 자녀를 둔 부모의 학부모 역할에 관한 연구. 순천향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6. 박선영 (2016. 3). 초등입학 의무휴직을 許하라. 경력단절의 최대 난코스 돌파하려면. 한국일보. https://www.hankookilbo.com/News/Read/201603020458175264에서 2018년 3월 14일 인출 

  17. 박애경 (2015). 어머니의 양육불안과 유아의 우울간의 상관연구. 유아교육학논집, 19(5), 375-392. 

  18. 서주현, 김진경 (2012). 영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한국영유아보육학, 73, 101-121. 

  19. 소언주, 도현심 (2001). 어머니의 분리불안: 어머니의 특성, 아동의 초기 기질 및 과보호적 양육행동과의 관계. 대한가정학회지, 39(11), 209-222. 

  20. 손서희, 이재림 (2014). 미취학 자녀를 둔 취업모의 경제활동 중단 의향. 한국가정관리학회지, 32(3), 157-177. doi:10.7466/JKHMA.2014.32.3.157 

  21. 송명숙 (2006). 취학직전 유아기 자녀 교육에 대한 부모의 신념과 참여.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2. 송복순 (2014). 초등학교 1학년 학부모의 전환교육에 대한 이해. 초등교육학연구, 21(2), 39-55. 

  23. 안미란 (2009). 서울 사교육 과열지역 초등학생의 학습동기 유발과 스트레스 비교.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4. 안지영 (2001). 2-3세 자녀를 둔 어머니의 양육 신념, 효능감 및 스트레스가 양육 행동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5. 어성식 (2013). 사교육 학습이 수업 집중도와 성적 향상 지각에 대한 영향.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6. 위지희 (2014). 양육불안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27. 육아정책연구소 (2017). 초등자녀 양육지원 방안(연구보고 2017-13). 서울: 육아정책연구소. http://www.kicce.re.kr에서 2018년 3월 14일 인출 

  28. 윤미란 (2012). 초등학교 1학년 아동과 학부모의 경험에 대한 이해. 배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9. 이윤미 (2007). 유치원에서 초등학교 1학년으로의 전이경험(transition experience) 연구에 대한 이론적 배경 고찰. 초등교육학연구, 14(1), 117-134. 

  30. 장우귀 (2012). 초등학교 입학 전후 아동과 어머니의 생활만족도에 대한 영향과 변화: 종단분석. 인하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31. 장유진 (2016). 어머니의 불안, 심리적 통제 양육과 성취관심이 유아의 과제 재도전 반응에 미치는 영향: 과제수행 효능감의 매개효과.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32. 저출산고령사회위원회 (2018. 4). [정책 참고자료] 온종일 돌봄체계 구축, 운영계획. https://www.betterfuture.go.kr/cop/bbs/anonymous/selectBoardList.do에서 2018년 4월 5일 인출 

  33. 조영희 (2014). 초등학생 방과후 돌봄 서비스 분석과 개선방안.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18(1), 141-162. 

  34. 지성애, 정대현 (2006). 유아의 초등학교 적응 과정에 대한 사례 연구. 유아교육학논집, 10(1), 207-227. 

  35. 천혜영 (2011). 어머니의 불안과 우울 및 양육스트레스가 어머니와 영유아간의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충북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6. 최수현 (2016. 3). 초등 1학년 3월이 고비? 워킹맘에겐 골든타임. 조선닷컴. http://news.chosun.com/site/data/html_dir/2016/03/16/2016031600022.html에서 2018년 3월 15일 인출 

  37. 통계청 (2015). 2015년 하반기 지역별고용조사 부가항목 조사결과(맞벌이가구 및 1인 가구 고용현황). 대전: 공공누리. 

  38. 통계청 (2016). 2016년 4/4분기 및 연간 가계동향. 대전: 공공누리. 

  39. 편은숙 (2004). 영유아기 자녀를 둔 취업모의 어머니 역할 인식과 자녀 양육스트레스.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0. 한국교육개발원 (2015). 초등학교 취학에 대한 학부모의 인식과 지원 방안(연구보고 RR 2015-06). 충북: 한국교육개발원. 

  41. 한지혜 (2004). 취학 전 자녀를 둔 어머니들의 조기교육열. 열린유아교육연구, 9(1), 219-251. 

  42. Abidin, R. R. (1990). Introduction to the special issue: The stress of parenting. Journal of Clinical Child Psychology, 19(4), 298-301. doi: 10.1207/s15374424jccp1904_1 

  43. Akazawa, K., Kinukawa, N., Shippey, F., Gondo, K., Hara, T., & Nose, Y. (1999). Factors affecting maternal anxiety about child rearing in Japanese mothers. Acta Paediatrica, 88(4), 428-430. doi: 10.1111/j.1651-2227.1999.tb01135.x 

  44. Fan, X., & Chen, M. (2001). Parental involvement and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 A metaanalysis. Educational Psychology Review, 13(1), 1-22. doi:10.1023/A:1009048817385 

  45. Fantuzzo, J., Tighe, E., & Childs, S. (2000). Family involvement questionnaire: a multivariate assessment of family participation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92(2), 367-376. doi:10.1037/0022-0663.92.2.367 

  46. Lillejord, S., Borte, K., Halvorsrud, K., Ruud, E., & Freyr, T. (2015. Dec). Transition from kindergarten to school: A systematic review. Retrived March 13, 2018 from http://www.eippee.eu/cms/Portals/41/Cache/PDFs/EIPPEE%202015%20Presentation%20RCN.pdf?ver2016-04-23-122500-213 

  47. McLeod, B. D., Weisz, J. R., & Wood, J. J. (2007). Examining the association between parenting and childhood depression: A meta-analysis. Clinical Psychology Review, 27(8), 986-1003. doi:10.1016/j.cpr.2007.03.001 

  48. Miller, S. A. (1988). Parents’beliefs about children’s cognitive development. Child Development, 59(2), 259-285. doi:10.2307/1130311 

  49. OECD (2017). Starting Strong V: Transitions from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Care to Primany Education. Paris: OECD Publishing. doi:10.1787/9789264276253-en 

  50. Okagaki, L., & Sternberg, R. J. (1993). Parental beliefs and children's school performance. Child Development, 64(1), 36-56. doi:10.1111/j.1467-8624.1993.tb02894.x 

  51. Rubin, K. H., Coplan, R. J., & Bowker, J. C. (2009). Social withdrawal in childhood. Annual Review of Psychology, 60, 141-171. doi:10.1146/annur ev.psych.60.110707.163642 

  52. Weissman, M. M., Feder, A., Pilowsky, D. J., Olfson, M., Fuentes, M., Blanco, C., et al. (2004). Depressed mothers coming to primary care: Maternal reports of problems with their children. Journal of Affective Disorders, 78(2), 93-100. doi:10.1016/S0165-0327(02)00301-4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