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베이비붐 세대의 성공적 노화에 관한 연구 : Rowe & Kahn 이론을 적용하여
Study on the Successful Aging of Baby-Boom Generation : Application of Rowe & Kahn's Theory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19 no.10, 2019년, pp.69 - 83  

전병주 (충북대학교 아동복지학과) ,  한혜숙 (한국교통대학교 간호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한국에서 전체 인구의 15%를 차지하는 베이비붐 세대가 노년기에 진입하는 현실을 반영하여 베이비붐 세대의 성공적 노화 수준 및 영향요인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 과정에서 Rowe & Kahn의 이론을 적용하였고, 고령화연구패널조사의 5차 기본조사와 특별조사의 데이터를 결합하여 총 2,577명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 자료 분석은 IBM SPSS Statistics ver. 20.0을 이용하였으며,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에서 베이비붐 세대의 성공적 노화 수준(범위: 0~9점)은 $6.36{\pm}1.39$로 나타나 베이비붐 세대의 성공적 노화에 대해 긍정적으로 평가할 수 있다. 하지만, 성공적 노화의 하위요인에 따라 성공적 노화로 판단된 비율이 크게 다른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베이비붐 세대의 성공적 노화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한 결과, 조사대상자의 용돈 수준, 교육수준, 자녀관계 만족도 등이 크게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이 본 연구는 성공적 노화의 대표적 모델이라고 할 수 있는 Rowe & Kahn의 이론을 적용함으로써 베이비붐 세대의 성공적 노화에 대해 통합적으로 파악하며 그에 따른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나아가, 베이비붐 세대의 성공적 노화에 대해 보다 정확히 규명하기 위해서 성공적 노화에 대한 보다 엄밀한 개념화를 시도하고, 사회적으로 합의된 측정요인을 발굴하는 것이 전제되어야 함을 제언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Considering the reality that the baby boom generation which takes up 15% of the Korean population enters the old age,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level and factors affecting successful aging of the baby boom generation. The theory this study used is Rowe & Kahn, and the data it used are from 2,5...

주제어

표/그림 (7)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Rowe & Kahn(1998)[17]의 이론을 적용하여 베이비붐 세대의 질병, 기능 및 사회참여 등의 실태를 정확히 파악하여 고유 특성을 이해하고자 하였다. 나아가 베이비붐 세대의 성공적 노화 가능성에 관련된 기초자료를 구축함으로써 초고령사회에서의 성공적 노화를 준비하고 실천할 수 있는 함의를 도출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한국고용정보원의 고령화연구패널조사 (Korean Longitudinal Study of Aging)를 이용하여 Rowe & Kahn의 모델을 바탕으로 베이비붐 세대의 성공적 노화 수준과 영향요인을 파악하기 위한 이차자료 분석연구이다.
  • 본 연구에서 질병 및 장애의 부재를 파악하기 위해 만성질환, 건강행태, 주관적 건강상태를 조사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Rowe & Kahn(1998)[17]의 이론을 적용하여 베이비붐 세대의 질병, 기능 및 사회참여 등의 실태를 정확히 파악하여 고유 특성을 이해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베이비붐 세대의 성공적 노화에 대해 긍정적으로 평가할 수 있었다. 하지만, 성공적 노화의 하위요인에 따라 성공적 노화로 판단된 비율이 크게 다르다는 것을 유념해야 할 것이다.
  • 본 연구에서는 전체 인구의 15%를 차지하는 베이비붐 세대가 노년기에 진입하는 현실을 반영하여 베이비붐 세대의 성공적 노화에 주목하였고, 성공적 노화의 대표적 모형이라고 할 수 있는 Rowe & Kahn의 이론을 적용하여 베이비붐 세대의 성공적 노화 수준 및 영향요인에 대해 파악하고자 하였다.
  • 이러한 맥락에서 본 연구에서는 Rowe & Kahn의 모델을 적용하여 베이비붐 세대의 성공적 노화에 대해 분석하고자 하였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Rowe & Kahn(1998)[17] 이론을 적용하여 베이비붐 세대의 성공적 노화에 대해 살펴 보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한국의 고령화는 어떻게 나타나고 있는가? 한국의 고령화는 전 세계적으로 유례가 없을 정도로 매우 빠르게 진행되어 2017년에 65세 이상의 인구 비율이 전체 인구의 14%를 넘는 고령사회에 진입하였으 며, 2026년에는 그 인구가 20%를 넘어 초고령사회가될 전망이다[1]. 이러한 추세는 지속되어 2050년에는 65세 이상의 인구 비율이 37%에 이를 것으로 예상되어 한국에서의 노인문제는 개인 또는 가족이 아닌 사회적 차원의 접근이 필요함을 알 수 있다.
베이비붐 세대는 배우자의 죽음을 통해 어떻게 바뀌는가? 특히, 한국에서 주거를 소유하지 못한 경우에 주거 불안에 따른 스트레스를 경험하며 삶의 질이 저하되며[24], 베이비붐 세대는 이후 세대보다 부동산 자산이 삶의 만족도에더 큰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25]. 그리고 배우자가 있는 경우에 성공적 노화 정도가 높다고 인식하거나 삶의 질이 더 좋은 것으로 보고되었으며[21], 노년기가 길어지면서 배우자의 죽음 사건을 기점으로 자녀와의 관계는 노년기 삶에서 더욱 특별한 의미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23].
성공적 노화는 어떤 평가를 받고있는가? 최근에는 노년기의 질병과 쇠퇴에 대한 관심에서 벗어나 보다 행복한 노후의 삶을 영위할 수있는 이른바 ‘성공적 노화(successful aging)’에 주목 하며, 이에 대한 영향요인을 규명하는 등 본격적인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7][8]. 노인이 잘 늙는다는 것, 즉 ‘성공적 노화’라는 패러다임은 노년기의 ‘상실’, ‘저하’에 초점을 맞춰온 과거의 패러다임과 비교해 볼 때, 노화에 대한 부정적인 모습을 제거하고 노년기의 잠재력을 증진함으로써 전반적으로 삶의 질 향상에 기여한다는 점에서 긍정적인 평가를 받고 있다[9].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8)

  1. 통계청, 장래인구추계, 대전: 통계청, 2016. 

  2. 차성란, "베이비붐 세대를 위한 미래 사회적 자본,"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제16권, 제1호, pp.67-83, 2012. 

  3. 최은영, 최혜경, "성공적 노화 인식과 은퇴 기대가 은퇴준비 행동에 미치는 영향," Financial Planning Review, 제8권, 제4호, pp.23-57, 2015. 

  4. 정순둘, 이현희, "가족특성과 노후준비의 관계," 노인복지연구, 제58권, pp.209-231, 2012. 

  5. 이은환, 최현진, 김희선, "베이비부머의 의료이용 관련 영향요인 분석연구," 보건사회연구, 제35권, 제3호, pp.335-354, 2015. 

  6. 이옥진, 박현식, "베이비부머 대상 연구의 성공적 노화모델 적용 경향 분석," 한국노년학, 제37권, 제1호, pp.251-270, 2017. 

  7. 김희경, "남성노인과 여성노인의 성공적 노화 영향요인," 한국노년학, 제32권, 제3호, pp.819-834, 2012. 

  8. 강욱모, 김지훈, "베이비부머의 성공적 노화 주요 변인 간의 인과관계 연구," 노인복지연구, 제65권, pp.341-360, 2014. 

  9. 김혜숙, 강기은, "제주 노인들의 성공적 노화에 관한 인식 연구," 노인복지연구, 제59권, pp.159-186, 2013. 

  10. 김미령, "노후연령 인식 여부에 따른 성공적 노화 구성요소 차이 및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사회복지학, 제65권, pp.227-245, 2013. 

  11. 박창제, "베이비붐과 전 베이비붐의 재무적 노후준비에 관한 연구," 노인복지연구, 제63권, pp.309-335, 2014. 

  12. 김은주, "노인의 성공적 노화 측정도구에 대한 요인 구성타당도 평가," 대한간호학회지, 제43권, 제4호, pp.568-578, 2013. 

  13. 한송이, 윤순녕, "한국 노인의 성공적 노화와 영향을 미치는 요인," 지역사회간호학회지, 제26권, 제4호, pp.372-379, 2015. 

  14. 이수진, 송미순, "Rowe & Kahn의 모델을 바탕으로 한 한국 노인의 성공적 노화," 대한간호학회지, 제45권, 제2호, pp.231-239, 2015. 

  15. 전병주, 곽현주, 김현수, "남성 베이비부머의 은퇴 유형별 외상 수준과 외상 후 성장의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 한국웰니스학회지, 제14권, 제1호, pp.69-80, 2019. 

  16. 강인, "베이비붐 세대의 성공적 노화 인식과 노후준비에 관한 연구,"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6권, 제9호, pp.460-472, 2016. 

  17. J. W. Rowe and R. L. Kahn, Successful aging, New York: Pantheon Books, 1998. 

  18. L. Araujo, O. Ribeiro, L. Teixeira, and C. Paul, "Successful aging at 100 years: the relevance of subjectivity and psychological resources," International psychogeriatrics, Vol.28, No.2, pp.179-188, 2016. 

  19. R. D. Romo, M. L. Wallhagen, L. Yourman, C. Yeung, G. Micco, and A. K. Smith, "Perceptions of successful aging among diverse elders with late-life disability," The Gerontologist, Vol.53, No.6, pp.939-949, 2013. 

  20. 성혜영, 조희선, "Rowe와 Kahn의 구성요소를 활용한 성공적 노화 모델," 한국노년학, 제26권, 제1호, pp.105-123, 2006. 

  21. 전병주, 최은영, "다문화가족 노인의 성공적 노화 수 준과 영향요인," 사회과학연구, 제32권, 제1호, pp.1-29, 2016. 

  22. 최해경, "지역사회 거주 노인의 성공적 노화 수준과 예측요인," 사회과학연구, 제24권, 제1호, pp.193-217, 2013. 

  23. 안정신, 정영숙, 정여진, 서수균, "성공적 노화 연구의 비판적 고찰," 한국심리학회지: 발달, 제24권, 제3호, pp.35-54, 2011. 

  24. 이민관, 이주영, "노인 가구의 특성에 따른 주택의 점유형태 및 유형 선택에 관한 연구," 디자인융복합연구, 제24권, pp.88-103, 2010. 

  25. 강소랑, 최은영, "베이비붐 세대와 이전 및 이후 세대간 비교분석," 사회보장연구, 제32권, 제2호, pp.1-30, 2016. 

  26. 백지은, 최혜경, "한국 사회와 서구 사회의 성공적 노화의 구성요소에 대한 비교 문화적 연구," 한국가정관리학회지, 제25권, 제2호, pp.137-153, 2007. 

  27. 박경숙, "한국 노인의 사회적 관계," 한국사회학, 제34권, 제3호, pp.621-647, 2000. 

  28. 배나래, 박충선, "노년기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생태체계적 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노년학, 제29권, 제2호, pp.761-779, 2009. 

  29. 한국노동연구원, 고령화연구패널조사 기본조사 데이터 생성변수 안내서, 세종: 한국노동연구원, 2007. 

  30. 김명일, 김세진, 김준표, "전.후기 노인의 건강증진행위 유형과 우울에 관한 연구," 사회과학연구, 제28권, 제3호, pp.285-307, 2017. 

  31. 김정연, 이석구, "노인에서 건강행태, 건강수준, 일상 생활수행능력, 건강관련 삶의 질과의 관계," 한국노년학, 제30권, 제2호, pp.471-484, 2010. 

  32. 김지영, 최은영, 김혜숙, "노인의 건강증진행위, 생활 만족도 및 가족지지와의 관계 연구," 노인간호학회지, 제5권, 제1호, pp.7-16, 2003. 

  33. 강상경, "삶의 만족도와 관련 요인의 세대 간 차이에 대한 탐색적 연구," 사회복지연구, 제43권, 제4호, pp.91-119, 2012. 

  34. 신영희, 이혜정, "일도시 노인의 성공적 노화 관련 요인," 한국노년학, 제29권, 제4호, pp.1327-1340, 2009. 

  35. 정여진, 유나영, 김비아, 신현정, 정영숙, "한국인의 성공적 노화 관련 변인에 관한 메타분석," 한국노년학, 제34권, 제4호, pp.781-797, 2015. 

  36. 안주석, 임근욱, "노인의 여가활동 참여와 지속의도 에 관한 연구," 관광연구저널, 제31권, 제2호, pp.113-125, 2017. 

  37. 조경욱, "여성 노인의 건강지위, 사회적 지지와 여가활동에 관한 연구," 노인복지연구, 제27권, pp.203-229, 2005. 

  38. 남은영, 최유정, "사회계층 변수에 따른 여가 격차," 한국인구학, 제31권, 제3호, pp.57-84, 2008. 

  39. 한수정, 한진숙, 문영숙, "노인의 성공적 노화와 영향 요인," 성인간호학회지, 제21권, 제4호, pp.423-434, 2009. 

  40. 전병주, 최은영, "노인의 사회적 배제 특성, 주거 점유형태가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및 사회적 관계 망의 완충효과," 사회과학연구, 제26권, 제1호, pp.77-107, 2015. 

  41. C. A. Depp and D. V. Jeste, "Definitions and predictors of successful aging: comprehensive review of larger quantitative studies," The American Journal of Geriatric Psychiatry, Vol.14, No.1, pp.6-20, 2006. 

  42. 안정신, 강인, 김윤정, "한국 중노년 성인들의 노화척도 개발에 관한 연구," 한국가족관계학회지, 제13권, 제4호, pp.225-245, 2009. 

  43. 라규원, 이해종, "전기노인과 후기노인의 가계의료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비교분석," 보건경제와 정책연구, 제23권, 제2호, pp.37-60, 2017. 

  44. 김기홍, 양세정, "은퇴가구의 경제상태 및 은퇴생활 만족도에 관한 연구," Financial Planning Review, 제10권, 제1호, pp.27-60, 2017. 

  45. 김안나, "한국의 사회적 배제 실태에 관한 실증적 연구," 사회이론, 제32권, pp.227-330, 2007. 

  46. 박순미, "노인의 건강상태가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노인복지연구, 제53권, pp.291-318, 2011. 

  47. 안지원, "지역사회 노인의 성공적 노화 예측요인과 초월감의 매개효과,"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6권, 제4호, pp.582-593, 2016. 

  48. 전병주, 베이비붐 세대의 성공적 노화에 미치는 영향 요인, 한국교통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8.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