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수소화 표면 개질이 나노다이아몬드 seed 입자의 분산 및 핵형성 밀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hydrogenation surface modification on dispersion and nucleation density of nanodiamond seed particle 원문보기

한국결정성장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crystal growth and crystal technology, v.29 no.6, 2019년, pp.239 - 244  

최병수 (부산대학교 나노융합기술학과) ,  전희성 (부산대학교 나노메카트로닉스공학과) ,  엄지훈 (부산대학교 나노융합기술학과) ,  황승구 (부산대학교 나노메카트로닉스공학과) ,  김진곤 (부산대학교 나노메카트로닉스공학과) ,  조현 (부산대학교 나노메카트로닉스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수소 분위기 열처리 및 수소 플라즈마 처리의 두 가지 수소화 표면개질을통해 나노다이아몬드 seed 입자의 분산 향상 및 평탄한 초미세 나노결정질 다이아몬드 박막증착을 위한 핵형성 밀도 향상을 확보하였다. 수소화 처리 이후 나노다이아몬드 입자 표면의 탄소-산소 및 산소-수소 결합기가 탄소-수소 결합기로 전환되는 화학적 표면개질이 진행되었고 Zeta 전위가 증가하였다. 분산도 향상에 따라 나노다이아몬드 응집체 크기가 현저하게 감소하였고 핵형성 밀도는 크게 증가하였다. 600℃, 수소분위기에서 열처리 이후 나노다이아몬드 평균 입자 크기가 3.5 ㎛에서 34.5 nm로 크게 감소하였고, seeding 된 Si 기판 표면에서 ~3.9 × 1011 nuclei/㎠의 매우 높은 핵형성 밀도를 확보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wo hydrogenation surface modifications, namely hydrogen atmosphere heat treatment and hydrogen plasma treatment, were found to lead to improved dispersion of nanodiamond (ND) seed particles and enhanced nucleation density for deposition of smooth ultrananocrystalline diamond (UNCD) film. After hydr...

주제어

표/그림 (4)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특히 나노다이아몬드 입자의 화학적 표면 개질 (surface chemical modification)을 통해 응집성 완화를 통한 입자 미세화가 가능하며 분산 특성 또한 향상될 수있다는 결과들이 보고되었다[10,11]. 본 연구에서는 폭발법으로 제조된 나노다이아몬드 seed 입자들의 응집성 완화를 통한 분산 특성 및 핵형성 밀도를 향상시키기 위하여 수소 플라즈마 처리 및 수소 분위기 열처리의 두 가지 수소화 표면개질을 적용하였다. 수소화 처리를 통한 화학적 표면 개질 후 나노다이아몬드 입자 표면의 화학적 작용기(chemical functionalities) 전환과 현저한 응집체 크기 감소를 확인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비 다이아몬드 기판위에 증착된 고품질의 평탄한 UNCD 박막을 얻기 위한 필수 선결 조건은? 비 다이아몬드 기판위에 증착된 고품질의 평탄한 UNCD 박막을 얻기 위해서는 증착 공정 이전의 전처리 공정에서 균일하고 미세한 결정핵 크기와 높은 핵형성 밀도 (nucleation density)를 확보하는 것이 필수 선결 조건이다. 현재까지 핵형성 밀도 향상을 위한 기판 표면의 기계적 처리를 포함한 다양한 전처리 공정 개발에 관한 연구가 진행되어 왔다[6,7].
UNCD 박막의 표면 조도를 위해 5nm 이하의 미세한 코어 입자크기(core particle size)를 갖는 나노다이아몬드 seed 입자를 기판 표면에 높은 밀도로 균일하게 분산시켜야 하는 이유는? 현재까지 핵형성 밀도 향상을 위한 기판 표면의 기계적 처리를 포함한 다양한 전처리 공정 개발에 관한 연구가 진행되어 왔다[6,7]. UNCD 박막의 표면 조도는 나노다이아몬드 핵형성 밀도에 직접적인 영향을 받기 때문에 5 nm 이하의 미세한 코어 입자크기(core particle size)를 갖는 나노다이아몬드 seed 입자를 기판 표면에 높은 밀도로 균일하게 분산시켜야 한다. 이를 위해 나노 다이아몬드 seed 입자를 DI water, 에탄올 또는 메탄올 등의 용매에 응집되지 않은 상태로 균일하게 분산시키는 것이 중요하다.
나노다이아몬드 seed 입자의 응집현 상을 제어하기 위한 기존의 연구는? 최근 열처리를 이용한 나노다이아몬드 흑연화 및 산화를 통해 극성 용매에 분산시키는 방법, 고에너지 볼밀링법에 강한 전단력을 도입한 응집체의 물리적 미세화 방법, 나노다이아몬드 입자의 불소화 처리 및 수소 플라즈마 처리와 같은 화학적 후처리를 통한 미세화 방법 등 응집현상을 제어하기 위한 집중적인 연구가 진행되어 왔다. 특히 나노다이아몬드 입자의 화학적 표면 개질 (surface chemical modification)을 통해 응집성 완화를 통한 입자 미세화가 가능하며 분산 특성 또한 향상될 수있다는 결과들이 보고되었다[10,11]. 본 연구에서는 폭발법으로 제조된 나노다이아몬드 seed 입자들의 응집성 완화를 통한 분산 특성 및 핵형성 밀도를 향상시키기 위하여 수소 플라즈마 처리 및 수소 분위기 열처리의 두 가지 수소화 표면개질을 적용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6)

  1. J. Hees, N. Heidrich, W. Pletschen, R.E. Sah, M. Wolfer, O.A. Williams, V. Lebedev, C.E. Nebel and O. Ambacher, "Piezoelectric actuated micro-resonators based on the growth of diamond on aluminum nitride thin films", Nanotechnol. 24 (2013) 025601. 

  2. N. Moldovan, O. Auciello, A.V. Sumant, J.A. Carlisle, R. Divan, D.M. Gruen, A.R. Krauss, D.C. Mancini, A. Jayatissa and J. Tucek, "Micromachining of ultrananocrystalline diamond", Proc. SPIE. 4557 (2001) 288. 

  3. M.W. Geis, N.N. Efremow, K.E. Krohn, J.C. Twichell, T.M. Lyszczarz, R. Kalish, J.A. Greer and M.D. Tabat, "A new surface electron-emission mechanism in diamond cathode", Nature 393 (1998) 431. 

  4. J. Cvacka, V. Quaiserova, J.W. Park, Y. Show, A. Muck, Jr. and G.M. Swain, "Boron-doped diamond microelectrodes for use in capillary electrophoresis with electrochemical detection", Anal. Chem. 75 (2003) 2678. 

  5. O. Auciello and A.V. Sumant, "Status review of the science and technology of ultrananocrystalline diamond (UNCD) films and application to multifunctional devices", Diamond Relat. Mater. 19 (2010) 699. 

  6. H. Wakao, T. Abe and T. Takagi, "Effect of nitric acid treatment on adhesion of diamond thin film deposited on cemented carbide", Surface Technol. 617 (2010) 516. 

  7. M. Zhibin, W. Jianhua, W. Qingchong and W. Chuanxin, "Adhesion improvement of diamond films on cemented carbides with copper implant layer", Thin Solid Films 390 (2001) 104. 

  8. E. Osawa, "Synthesis, Properties and Applications of Ultrananocrystalline Diamond", D.M. Gruen, O.A. Shenderova and Y.V. Alexander, Eds. (Springer, Berlin, 2005) p. 231. 

  9. A. Krueger, "The structure and reactivity of nanoscale diamond", J. Mater. Chem. 18 (2008) 1485. 

  10. P. Ascarelli and S. Fontana, "Similar grit-size dependence of the diamond nucleation density on substrate surface pretreatments", Appl. Surf. Sci. 64 (1993) 307. 

  11. S. Kamiya, N. Yoshida, Y. Tamura, M. Saka and H. Abe, "Enhancing nucleation density and adhesion of polycrystalline diamond films deposited by HFCVD using surface treatments on Co cemented tungsten carbide", Surf. Coat. Technol. 142 (2001) 738. 

  12. G.J. Lee, C.K. Kim, Y. Bae and C.K. Rhee, "Surface modification to improve hydrophobicity of detonation nanodiamond", J. Nanosci. Nanotechnol. 12 (2012) 5995. 

  13. Q. Zou, Y.G. Li, L.H. Zou and M.Z. Wang, "Nanopolycrystalline diamond sintered from onion-like carbon", Mater. Character. 60 (2009) 1257. 

  14. H.P. Boehm, "Surface oxides on carbon and their analysis: a critical assessment", Carbon 40 (2002) 145. 

  15. O. Mengual, G. Meunier, I. Cayre, K. Puech and P. Snabre, "Characterization of instability of concentrated dispersions by a new optical analyzer: the TURBISCAN MA 1000", Colloids & Surf. 152 (1999) 111. 

  16. L. Gines, S. Mandal, A.I. Ahmed, C.L. Cheng, M. Sow and O.A. Williams, "Positive zeta potential of nanodiamonds", Nanoscale 9 (2017) 1254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