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위치지능화를 통한 공공데이터의 활용성 향상에 관한 연구
A Study on Improving Availability of Open Data by Location Intelligence 원문보기

지적과 국토정보 = Journal of cadastre & land informatix, v.49 no.2, 2019년, pp.93 - 107  

양성철 (대구대학교 부동산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공공데이터포털에서는 공공기관이 보유한 데이터를 취합하여 관련 법에 따라 개방과 공유하고 있는데 최근 4차 산업혁명의 활성화와 함께 우리 사회의 모든 분야에서 고품질 데이터를 요구하고 있으나 산업계에서 요구하는 수준에는 데이터는 양과 질에 있어 미치지 못하여 크게 활용되지 못하고 있다. 현실세계에서 수집된 수많은 데이터는 사이버물리공간 상에 구현하여 현실에서의 문제를 시뮬레이션함으로써 각종 사회 현안에 대한 대안을 찾을 수 있으나 현재 공공데이터는 공간정보화되어 있지 않고 제공방식에 있어서도 단순하게 범주별로 나열식으로 제공되고 있어 한계가 있다. 위치지능화는 기존 데이터를 공간상에 표현할 수 있게 하여 융복합을 통해 새로운 가치 창출이 가능케하는 기술이다. 본 연구에서는 공공데이터의 위치지능화 방안을 제시하기 위해 공공데이터 포털을 대상으로 데이터별 위치정보 보유현황을 조사하였고, 그 결과 조사 대상 데이터의 약 60%가 위치정보를 보유하고 있었으며 대표적인 유형은 주소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주소를 기준으로 한 공공데이터 위치지능화 방안과 활용방안을 제시함으로써 공공데이터가 미래 사회 데이터 기반 산업 창출과 정책 수립시 제역할을 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open data portal collects data created by public institutions and opens and shares them according to related laws. With the activation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all sectors of our society are demanding high quality data, but the data required by the industry has not been greatly utili...

주제어

표/그림 (7)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공공데이터전략위원회에서 지향하는 활용활성화의 구체적 방안을 제시하기 위해 공공데이터포털의 위치지능화를 위한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에 따른 실체적 이행방안으로 공공데이터의 위치지능화와 위치지능 지도 서비스 구축을 제시하였다. 동시에 이를 안정적으로 운영하기 위해 위치지능에 근간을 둔 지원방안 공공데이터 위치지능화 운영조직확장, 공공데이터 위치정보 등록 기준 마련, Open API기반 공공데이터 사용 빈도 측정, 지역 간 공공데이터 편차 분석까지 총 6가지를 개선 방안으로 제시한다.
  • 8%의 표본만으로도 충분하였다고 판단된다. 다만 분야에 따른 차이가 발생하지 않도록 가능한 전 분야에서 표본을 균일하게 추출하고자 하였다. 서비스되는 데이터셋의 형태는 파일다운로드 방식(director link)이 대부분을 차지하고, Open API(REST or SOAP)도 다수 존재하였으며, 교통물류 분야에서 그리드차트지도(Grid chart map)로 서비스하는 경우도있었고 LOD (Linked Open Data)는 아직 극소수에 그치고 있었다.
  • 다수의 선행 연구를 통해 공간 데이터화된 공공데이터를 이용한 서비스에 대한 수요를 확인할 수 있었으나 서비스별로 별도 수작업을 통해 공간서비스를 개발하는 한계가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공공데이터를 위치지능화하는 방안을 마련하기 위해 이에 대한 가능성 분석을 하는데 연구에 초점을 맞추었다.
  • 본 연구에서는 공공데이터전략위원회에서 지향하는 활용활성화의 구체적 방안을 제시하기 위해 공공데이터포털의 위치지능화를 위한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에 따른 실체적 이행방안으로 공공데이터의 위치지능화와 위치지능 지도 서비스 구축을 제시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공공데이터 포털에서 제공중인 데이터를 분석하여 위치정보를 속성으로 보유하고 있는지와 위치정보의 유형 분류를 통해 공공데이터의 적합한 위치지능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앞서 위치지능화를 위한 전제조건을 중심으로 연구를진행하여 본 연구에서 대상으로 삼는 비공간데이터인 공공데이터에 위치정보가 포함되어 있는지 조사하고, 가장 공통적으로 존재하며 최신성과 활용성을 고려하여 데이텀을 설정하는 순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 앞서 위치지능화를 위한 전제조건을 중심으로 연구를진행하여 본 연구에서 대상으로 삼는 비공간데이터인 공공데이터에 위치정보가 포함되어 있는지 조사하고, 가장 공통적으로 존재하며 최신성과 활용성을 고려하여 데이텀을 설정하는 순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이를 통해 공공데이터의 활용성을 향상시켜 상대적으로 커버리지가 넓고, 정확도가 우수하며, 일정하게 갱신되는 공공데이터의 새로운 가치를 창출시켜 미래 사회에서 데이터 활용 기반 강국으로서 발돋움하도록 하는 것을 연구 목표로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본 연구에서의 위치 지능화의 정의는 무엇인가? ESRI에서는 위치 지능화는 지리적 관련성을 활용하여 복잡한자료를 이해하고 조직화하는 능력으로 정의하였다(ESRI 2019). 본 연구에서의 위치 지능화는 텍스트형태 비공간데이터에 내재된 위치정보를 참조하여 일정한 데이텀(Datum)을 기준으로 공간데이터화시킨 후데이터 간 융복합을 통해 새로운 인사이트를 발굴해내는 전체 과정으로 정의하였다. 위치지능화를 위해서는 첫째 대상 비공간데이터에 위치 표현을 위한 단서가 존재하여야 하고, 둘째 비공간데이터에 내재된위치정보의 지오코딩을 위한 지리 정보인 데이텀이 정의되어야 하며, 셋째 데이텀은 기존 비공간데이터에공통적으로 적용이 가능한 범용 체계여야 한다.
공공데이터 개방이 가지는 문제점은 무엇인가? 공공데이터의 개방은 비약적으로 확대되고 있음에도 활용도가 높은 데이터는 양적으로 부족하고 활용환경도 불편하여 새로운 가치 창출로는 이어지지 못하는 것이 문제점으로 지적된다. 2018년 공공데이터전략위원회에서는 공공데이터 제공 및 이용 기반 재설계, 국민이 더욱 쉽게 데이터를 활용할 수 있는 환경조성을 추진과제로 선정하였다는 것에서 현실을 파악할 수 있다.
공공데이터 포털에 포함되는 지자체 웹사이트로는 어떤 것들이 있는가? 공공데이터 포털은 각 공공기관별로 생성 또는 취득하여 관리하고 있는 데이터셋을 한곳에 모아서 제공함과 동시에 활용에 필요한 도구와 가이드 등을 지원하고 있어 편리하고, 각 공공기관 웹사이트를 통해 자체 제공되는 데이터셋들은 공공데이터 포털에 취합되지 않은 추가 데이터를 빠르게 취득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여기에는 서울시 열린 데이터 광장이나 경기 데이터드림과 같은 지자체 웹사이트도 포함된다. 다만, 우리 사회 전체의 공공데이터를 분석하기에는 현실적인 한계가 존재하고 공공데이터 위치지능화방안을 도출하는 데 있어서 꼭 전체 데이터에 대한 분석이 필요치는 않기 때문에 본 연구에서는 공공데이터포털에서 제공되는 데이터셋을 분석대상으로 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8)

  1. Goo SH, Chun YW, Pyo KS. 2015. Korean Safety Map Public Data Opening and Utilization. Disaster & Safety. 17(3):26-31. 

  2. Kim DH, Kim JM, Yoon BC, Chang EM, Cho YS. 2015. Development Plan of Grid System Utilizing Spatial Information. Journal of Korea Spatial Information Society. 23(6):43-55. 

  3. Moon SG, Bae HN, Choi JS. 2016. Analysis on the Supply of Private Supplementary Education in Seoul Using Administrative Data on Hagwon. Survey Research. 17(3):81-108. 

  4. Shim BS, Lee HJ, Yoo DH. 2016. Development of Customized Trip Navigation System Using Open Government Data. Journal of Internet Computing and Services. 17(1):15-21. 

  5. Yoon SY. 2013. A Study on National Linking System Implementation based on Linked Data for Public Data.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30(1):259-284. 

  6. Hwang SS, Ahn JS. 2015. Mashing-up Government Data with Online Community Data: Modeling Community Mapping with the Help of Public Data Act. Korean Association For Policy Science. 19(1):189-206. 

  7. Hwang JS. 2016. Paradigms of the Intelligent Society : Analysis and Policy Implications. Informatization Policy. 23(2):3-18. 

  8. Ministry of the Interior and Safety. 2018. Public Big Data that Changes My Life[Internet]. [https://www.mois.go.kr/frt/bbs/type001/commonSelectBoardArticle.do?bbsIdBBSMSTR_000000000015&nttId61876]. Last accessed 15 Aug 2019. 

  9. Open Data Portal;[accessed 2019 Aug 30]. https://www.data.go.kr. 

  10. Daegu Map Portal;[accessed 2019 Aug 15]. http://www.gis.go.kr. 

  11. Seoul Open Data Plaza;[accessed 2019 Aug 15]. https://data.seoul.go.kr/ 

  12. Smart Seoul Map;[accessed 2019 Aug 15]. https://map.seoul.go.kr/. 

  13. Korea Joongang Daily. 2019. Public Data Open with a long way to go[Internet]. [https://news.joins.com/article/22599371#home]. Last accessed 10 Aug 2019. 

  14. Changwon Location Information Services; [accessed 2019 Sep 10]. http://bigdata.changwon.go.kr. 

  15. Hogangnono;[accessed 2019 Aug 15]. https://hogangnono.com. 

  16. Array of Things;[accessed 2019 Sep 10]. https://arrayofthings.github.io. 

  17. ESRI. 2019. Discover the Value of Location Intelligence Technology[Internet]. [https://www.esri.com/en-us/location-intelligence]. Last accessed 30 Sep 2019. 

  18. Open Grid - City of Chicago;[accessed 2019 Sep 10]. http://opengrid.io.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